• Title/Summary/Keyword: 일 함수

Search Result 89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traction of Soil Wetness Information and Application to Distribution-Type Rainfall-Runoff Model Utilizing Satellite Image Data and GIS (위성영상자료와 GIS를 활용한 토양함수정보 추출 및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적용)

  • Lee, Jin-Duk;Lee, Jung-Sik;Hur, Chan-Hoe;Kim, Suk-D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3
    • /
    • pp.23-32
    • /
    • 2011
  • This research uses a distributed model, Vflo which can devide subwater shed into square grids and interpret diverse topographic elements which are obtained through GIS processing. To use the distributed model, soil wetness information was extracted through Tasseled Cap transformation from LANDSAT 7 $ETM^+$ satellite data and then they were applied to each cell of the test area, unlike previous studies in which have applied average soil condition of river basin uniformly regardless of space-difference in subwater shed. As a resut of the research, it was ascertained the spatial change of soil wetness is suited to the distributed model in a subwater shed. In addition, we derived out a relation between soil wetness of image collection time and 10 days-preceded rainfall and improved the feasibility of weights obtained by the relation equation.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Using Mixed distribution (혼합분포를 이용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 Choi, Changhyun;Kim, Jongsung;Han, Daegun;Oh, Seung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36-237
    • /
    • 2016
  • 인류의 발전과 함께 재난관리에 대한 발전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세계은행(World Bank)의 조사에 의하면 지난 30년간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로 인해 250만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피해금액은 4조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 재난관리 체계에 많은 문제점이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우리나라는 각종 재난으로 인해 최근 10년(2006~2015)간 연 평균 약 5천억원의 피해액과, 약 1조 1천억원의 복구비를 지출하고 있다(국민안전처, 2016). 만약 재난 피해 발생 전 피해규모와 영향을 신속하게 추정할 수 있다면, 예방 및 대비 차원의 재난관리를 통해 피해액이 크게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해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한강 권역을 본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재해연보자료를 조사하여 대상지역의 호우피해 발생 현황 및 피해액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강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종관기상관측소의 강우자료를 확보하였다.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별(1~24시간) 최대강우 자료와 재해기간별 선행강우(1~5일) 자료, 그리고 재해기간의 총 강우량 자료를 산출하였다. 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재해기간의 시설물별 피해액과의 분석을 통해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호우피해 예측함수는 피해액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호우피해액이 큰 범위와 호우피해액이 작은 범위로 분류한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재해 관리체계를 확립 하고, 재해예방 및 대비 단계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amage Prediction Using Heavy Rain Risk Assessment (호우 위험도 평가를 이용한 피해예측)

  • Kim, Jong Sung;Choi, Chang Hyun;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4-154
    • /
    • 2017
  • 전 세계적인 기후변동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해에 노출된 특성을 지역적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지역별로 재해에 위험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선행되어지고, 재난 피해 발생전에 피해 지역 및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재난 피해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를 이용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Heavy rain Damage Risk Index, HDRI)를 제안하여 호우 위험도를 평가하고자하였다. 또한 도출된 지역별 위험등급에 따른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여 재해발생 전에 개략적인 피해의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별 호우 위험도 평가를 위해 압력지표, 현상지표, 대책지표를 구축하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평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인 지자체는 15개의 지자체로 나타났으며, 2등급인 지자체는 7개, 3등급인 지자체는 9개로 분류되었다. 지자체별 호우 위험도 등급에 따라서 재해기간별 총강우량, 재해일수, 선행강우량(1~5일),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24시간) 등의 자료를 설명변수로 구축하였고, 다중회귀모형과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등급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는 N-RMSE가 12~18%로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자체별 호우피해위험도 등급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평가된 호우피해위험도 등급별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을 통해 사전에 호우피해 발생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 부처에서 효과적인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n Tail Probabilities of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s with Heavy Tails (두꺼운 꼬리를 갖는 연속 확률분포들의 꼬리 확률에 관하여)

  • Yun, Seokho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5
    • /
    • pp.759-766
    • /
    • 2013
  • The paper examines several classes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with heavy tails. An (asymptotic) expression for tail probability needs to be known to understand which class a given probability distribution belongs to. It is usually not easy to get expressions for tail probabilities since most absolutely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s are specified by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and not by distribution functions. The paper proposes a method to obtain asymptotic expressions for tail probabilities using only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Some exampl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proposed method.

Architecture-Based Measuring of Software Extensibility

  • Kim, Jung-Ho;Kang, Sung-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5-430
    • /
    • 2007
  • 시스템을 결정하는 품질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이 높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유지보수성이 높은 시스템인지 여부를 시스템 개발이 완료 전에 측정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모든 품질요소가 그렇겠지만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수준에서 시스템의 품질을 명확히 측정해내지 못하고 시스템 개발 이후에 측정한다면 품질 향상을 위한 시스템 수정은 생각할 수도 없는 문제가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유지보수성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능확장성(Extensibility), 즉 기존 시스템에서 신규 서비스를 추가하려 할 때 기존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용 및 기간을 최소화하여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품질 속성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수준에서 비교하는 방법을 정의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중에서도 기능확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모듈 뷰를 기준으로 기능확장성을 측정할 갓이나 모듈 내부의 변경을 통한 기능확장성은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모듈의 추가로 인한 기능확장성을 고려하였다. 본 논문은 기 수립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모듈 뷰가 가지는 고유한 기능확장성을 측정하는 함수를 제시하고 여기에 새로운 모듈이 추가될 매 변화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기능확장 effort 함수를 제시한다. 이 두 함수를 통해 두 개의 대안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모듈 뷰에서 어떤 것이 더 기능확장성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우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능확장성이 좋다고 제시되고 있는 디자인 패턴(계층패턴과 Broker 패턴)을 통해 본 논문의 이론을 정립하고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수준에서 기능확장성이 얼마나 가능한지 서로 비교 가능한 수치를 제시하였고 이 수치를 통해 실제 개발이 완료되기 전 시점에 시스템의 기능확장성을 명백히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 기능 확장에 들어가는 많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Array for Improvement of the Traversal Time (탐색시간의 개선을 위한 함수형 배열의 설계 및 구현)

  • Ju, Hyeong-Seok;Yu, Won-Hui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5
    • /
    • pp.1262-1272
    • /
    • 1996
  • Pure functional languages have the referential transparency feature sothat all objects cannot be updated destuctively. Once an aggregated data structure such as array is updated, both the original and newly updated array must be preserved to maintain reverential transparency.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icient mechanism with which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while maintaining referential transparency for whole data. This study is to suggest a functional array to solve the problem, and them test it. For that, the proposed mechanism was implemented on a combinator graph reduction machine. The result shows that proposed mechanism reduces traversal time for array operations. Also, updating all versions and accessing the recent version are achieved in constant time without reconstruction of updated data in execution time.

  • PDF

The Effect of Curing Temperature History on Concrete Strength Development (양생온도 이력이 콘크리트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

  • 고훈범;양은익;음성우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89-100
    • /
    • 1998
  • 본 연구는 양생온도이력이 콘크리트 강도에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물 시멘트비가 60%, 45%, 26%인 3종류의 콘크리트에대하여 5$^{\circ}C$부터 5$0^{\circ}C$까지의 항온양생과 초기재령에 고온도이력을 변수로 한 변동온도양생을 실시한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그 실험결과에 강도평가 방법의 하나인 Maturity 개념을 도입하여 강도평가에 미치는 재령, w/c, 온도이력 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항온양생 실험결과에 따르면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초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은 높게 나타나며 양생온도 5$0^{\circ}C$인 경우를 제외하고 재령7일까지의 강도발현은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변동온도양생실험결과에 의하면 초기재령에서 고온양생한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은 물시멘트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1주 이후의 양생온도가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1주까지의 고온도이력에 대한 영향에 비교해 2차적이다. 기존의 Maturity개념인 Saul-Bergstrom의 함수와 Ooi의 함수를 가지고 항온 및 변동온도 양생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Saul-Bergstrom식에 의한 경우가 실험값과의 차이가 작게 나타났으나 두 식 모두 Maturity 가 큰 경우에는 계산에 의한 값이 실험에 의한 값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장기 재령시 강도평가는 한계강도 개념을 고려한 새로운 Matruity함수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Parametric nonparametric methods for estimating extreme value distribution (극단값 분포 추정을 위한 모수적 비모수적 방법)

  • Woo, Seunghyun;Kang, Kee-H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531-536
    • /
    • 2022
  • This paper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parametric method and the nonparametric method when estimating the distribution for the tail of the distribution with heavy tails. For the parametric method,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and the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were used, and for the nonparametric method,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method was applied. For comparison of the two approaches, the results of function estimation by applying the block maximum value model and the threshold excess model using daily fine dust public data for each observatory in Seoul from 2014 to 2018 are shown together. In addition, the area where high concentrations of fine dust will occur was predicted through the return level.

Change in Storage Protein during Germination of Peanut Seed (땅콩발아시 저장단백질의 변화)

  • 김종진;박재욱;신동현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9 no.6
    • /
    • pp.564-570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ed storage protein pattern and structural character of differed peanut cultivars during germination. Soluble protein content in both Namdae and Daekwang cultivars remarkably decreased in cotyledon site at 2 or 3 days after incubation(DAI) and in embryonic axis site at 1 or 2 DAI, showing 28∼29% in cotyledon site and 10% in embryonic axis site at 5 DAI. Protein subunits such as 66, 43, 40 and 35.5kD bands in the cotyledon site of Namdae and Daekwang cultivars disappeared, but 21.5-23kD band disappeared slightly, but low polypeptide band such as 14-16kD increased gradually, and the same trend has been obserbed in embryonic axis site during 2 DAI. The amount of new protein formed during germination period was highest in cotyledon site at 3 DAI, and in embryonic axis site at 2 DAI. 16kD bend detected in cotyledon site of Daekwang cultivar during germination.

  • PDF

A survey on the Minimum Time Scale by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Daily SPI Application (일 단위 SPI 적용을 위한 한반도 남부지역별 최소 시간 척도 조사)

  • Chae Lim Lee;Ji Yu Seo;Jeong Eun Won;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8-328
    • /
    • 2023
  •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량 변동의 정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지수로, 가뭄 평가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PI를 산정할 때는 월 단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하며, 장기간의 가뭄에 대해 평가한다. 그러나 시간 척도가 길어질수록 가뭄 발생 후 가뭄을 감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에 대처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면서 일 단위의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의 SPI 적용을 위한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을 강원권, 수도권, 부울경, 대경권, 호남권, 충청권의 총 6개 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지역별, 계절별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SPI 산정을 위해 후보 분포형으로 Gumbel, Gamma, GEV, Loglogistic, Lognormal, Weibull을 적용하였으며, 시간 척도는 5일부터 365일까지 총 10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선 크게 적합도 검정과 정규성 검정으로 진행하였다. 적합도 검정에서는 Chi-square test를 적용하였으며, 이때 일 단위의 짧은 시간 척도를 적용할 경우 누가 강수 시계열의 값이 0으로, 0값이 시계열에 포함되면 SPI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누가 강수 시계열의 0값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후보 분포형을 적용하여 산정된 SPI가 표준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Darling 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봄과 여름의 경우 최소 15일 정도의 시간 척도까지는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겨울의 경우는 최소 30일 정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 차이가 크진 않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각 지역별로 더 나은 가뭄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