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반능력 지표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SRLev-BIH: 한국어 일반 상식 추론 및 생성 능력 평가 지표 (SRLev-BIH: An Evaluation Metric for Korean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

  • 서재형;장윤나;이재욱;문현석;어수경;박찬준;소아람;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6-181
    • /
    • 2022
  • 일반 상식 추론 능력은 가장 사람다운 능력 중 하나로써, 인공지능 모델이 쉽게 모사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딥러닝 기반의 언어 모델은 여전히 일반 상식에 기반한 추론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부족한 성능을 보인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일반 상식 추론과 관련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 완화를 위해 최근 생성 기반의 일반 상식 추론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인 Korean CommonGen [1]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해당 데이터셋의 평가 지표는 어휘 단계의 유사성과 중첩에 의존하는 한계를 지니며, 생성한 문장이 일반 상식에 부합한 문장인지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어 일반 상식 추론 및 생성 능력에 대한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문장 성분의 의미역과 자모의 형태 변화를 바탕으로 생성 결과를 평가하는 SRLev, 사람의 평가 결과를 학습한 BIH, 그리고 두 평가 지표의 장점을 결합한 SRLev-BIH를 제안한다.

  • PDF

한국프로야구에서의 투수평가지표 (Pitching grade index in Korean pro-baseball)

  • 이장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485-492
    • /
    • 2014
  • 투수를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는 일반적으로 다승과 방어율을 사용하지만 이 지표들은 팀의 도움 또는 운과 같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야구통계학자들은 투수 개인의 능력만을 측정하는 많은 지표들을 제안하였는데 이와 같은 평가지표들은 가짓수가 너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팬들을 때때로 당황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투수평가지표들을 이용하여 지표들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성분을 찾아보고 한국프로야구에 적합한 투수들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투수지표를 제안하였다.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Improving Fire Response Ability)

  • 김은애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4
    • /
    • 2023
  • 본 연구분석결과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율, 관심도 및 화재대응자세가 많이 향상되고 훈련계획시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배혜경;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를 탐색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미래인재로서 진로탐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일반적으로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을 포함한다.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이고,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혁신성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호하고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기회와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요인에 포함됨을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측정항목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으로 정하고, 기업가적 태도 하위항목으로 기회발견과 창의성 역량을, 창의성 역량의 세부지표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 선정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하위항목으로 진로설계, 개척정신을 정하였으며 진로설계의 세부지표로 자기탐색, 직업탐색, 직업가치관, 진로태도를,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 차별화태도, 도전정신을 선정하였다. 이의 측정을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역량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비교 (Comparison of Science Gifted and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Groundwater)

  • 이형재;박상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55-874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의 개념, 형성과정, 존재 형태와 이동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 65명을 대상으로 공간능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에서 과학영재학생 4명, 일반학생 8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자료와 학생들이 그린 지하수 그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수가 무엇이냐는 개념을 묻는 질문에서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 과학영재학생들과 중간인 일반학생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공간능력이 낮은 수준의 일반학생들일수록 지하수를 상하수도의 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지하수의 형성과정에 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은 빗물을 비롯해 강물과 호수, 폭포 등 다양한 지표수를 들어가며 설명을 하였고, 공간능력이 보통인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은 전부 비와 강물만을 언급하여 다양한 공간적인 요인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공간능력이 낮은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은 비와 강물을 언급하면서 인위적으로 지하수가 형성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하수의 존재 형태에 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낮은 초등학교 일반학생일수록 땅속의 흙이나 토양 속에 작은 공극이 존재한다는 공간 지각에 대해서 생각을 하지 못하였다.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은 공간 지각과 관련하여 공극 사이에 지하수가 존재한다는 것은 알고는 있으나 그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못하였다. 지하수의 이동에 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낮은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일수록 지하수의 이동이 없으며, 인위적인 시설을 해야 이동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공간능력에 따라 공극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그에 따른 지하수의 이동여부에 대한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초등학교 학생들은 지하수에 대한 개념은 과학적 개념과는 다른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자연현상 중의 하나인 지하수에 대한 오개념이 형성되었고, 대다수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지하수의 개념에 대해 지표 아래 지하수와 그 주변을 이루는 물질사이의 관계를 연결짓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WISC-IV profile for low science achievers, science achievers and high science achievers)

  • 정애진;이길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418-433
    • /
    • 2015
  • 이 연구는 과학학습 부진을 겪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을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판 (K-WISC-IV)을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과학학습 우수아집단 및 일반아 집단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과학학습 우수 집단의 FSIQ는 통계적으로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언어이해 지표(VCI)에서는 과학학습 우수 집단과 일반 집단이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요인인 공통성(SI)에서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저조한 수행을 보였는데, 이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의 낮은 수준의 추상화 능력은 과학적 추론 능력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성 소검사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을 가려낼 수 있는 변별력 높은 소검사라고 판단되며, 낮은 수준의 언어 이해 능력, 추상화 능력 및 추론 능력은 과학학습 부진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다고 볼 수 있다. 작업기억 지표(WMI)에서 과학학습 우수 집단이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작업기억은 과학의 유추 문제의 해결 과정의 원활한 수행에 깊이 관여하여 과학 학업 성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식이로 유도된 철 결핍성 빈혈 흰쥐에서 참 당귀 열수추출물이 혈액학적 빈혈지표에 미치는 영향 (Hematological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Cham-Dang-Gui on Dietary Induced Iron Deficient Anemia Rat)

  • 우정화;최인영;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5호
    • /
    • pp.428-43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무철분식이로 철분결핍성 빈혈 유발을 시킨 흰쥐에게 3주간 무철분식이를 섭취시키면서 saline, 참당귀 추출물 및 철분보충제를 투여한 후, 무철분식이를 일반식이로 대체하여 다시 3주간 같은 처리를 한 후 혈액학적 빈혈지표를 조사하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동물의 체중은 무철분식이군에서 일반식이군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무철분식이로 인한 저체중은 참당귀 추출물과 철분 보충제에 의해서 회복되지 않았다. 2) 혈액분석 결과 무철분식이는 모든 혈액 빈혈지표를 저하시켰으며, 철분보충제의 투여는 헤모글빈, 헤마토크릿, 평균 혈구 부피, 평균 혈구혈색소, 평균 혈구혈색소 농도, 총철결합능력이 유의적으로 회복시켰다. 무철분식이와 함께 투여한 참당귀 추출물은 혈액지표를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일반식이와 함께 섭취하였을 경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평균 혈구부피, 평균 혈구혈색소, 평균 혈구혈색소 농도, 총철결합능력 모두 유의적인 회복효과를 보였으나 일반식이만을 섭취한 군에서도 같은 회복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철분 섭취가 불량할 경우, 체중증가가 지연되며 후에 철분을 보충할 경우에도 체중의 회복은 개선되지 않았다. 철분결핍으로 인한 저체중의 경우, 철분보충제의 복용은 체중을 만회시키지 못하였으나 혈액학적 빈혈 지표들은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결핍 빈혈에서 식이철분이 부족할 경우, 참당귀의 회복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철분결핍 빈혈의 치료를 위한 생약제의 다양한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서는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체내 이용률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 김건헌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

지자체 가뭄역량평가를 위한 정량지표 분석 (Analysis of quantitative indicators for regional resilience evaluation under drought)

  • 이찬욱;홍성진;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4-364
    • /
    • 2020
  •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재해발생의 빈도와 피해 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복구에 소요되는 비용은 재해 피해액보다 크다. 선진국의 경우 이러한 재해발생 가능성을 두고,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복원력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가뭄의 경우 타 재해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이 지역별로 편차를 두고 달라지게된다. 따라서, 정확한 역량평가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복구능력이 탁월한 지역 등을 구분하고 평가하여 지자체가 갖고 있는 가뭄에 대한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가뭄역량평가(복원력 평가)는 항목의 특성에 따라 크게 내구성, 대체성, 자원동원력, 그리고 신속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별 가뭄 시 적용 가능한 정량적 복원력 지표 8개를 도출 하였으며 지자체별 해당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지자체별 복원력 항목 값을 정규화 하여 표준점수화 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향후 개별 항목특성에 맞는 정량화 방법, 항목별 가중치 부여방법, 그리고 정성지표 고려 등과 같은 지속적인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제안된 복원력 정량지표와 그 결과는 지역적인 가뭄에 대한 지자체별 역량강화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4판(K-WISC-IV)에서 일반능력 지표(GAI)의 임상적 유용성: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Focused on General Ability Index and Cognitive Proficiency Index)

  • 구민제;오상우;이상열;백영석;이지혜;황규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4호
    • /
    • pp.313-318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K-WISC-IV) and General Ability Index (GAI)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The GAI and Full Scale IQ (FSIQ) in K-WISC-IV were compared for a group of 79 children with ADHD and 234 normal children. The mean differences within each group were testified by the t-test and Cohen's d. The Wechsler's descriptive classifications for each GAI and FSIQ score were analyzed in the children with ADHD. Additionally, the critical valu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FSIQ and GAI was calculated in the normal children. Results: The score on the GAI was higher than that on the FSIQ in the children with ADHD, with a mean difference of 2.19 poi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ADHD. According to Wechsler's descriptive classifi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GAI showed a lower (7.59%), equal (61.65%) or higher (60.76%) prevalence of ADHD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FSIQ.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GAI reflecting the attent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DHD could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global intelligence estimate that considers their potential for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