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경화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추파대맥(秋播大麥) 재배시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한 요소(尿素)의 질산화(窒酸化)및 그에 따른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환경(環境)에의 방출(放出) (Nitrification of the Soil Applied Urea for Winter Barley as Basal Dressing and Following Nitrate Release to the Environment)

  • 김석동;소창호;권용웅;임웅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2-120
    • /
    • 1993
  • 추파 대맥포장에서 기비(基肥)로 시용한 요소(尿素)의 토양중 질산화율(窒酸化率)과 월동기간중 보리의 고사체(枯死體)함유된 질소의 양(量)과 작토층에서 소실(消失)된 질산태질소의 양(量) 및 월동 후 토양에 잔존하고 있는 질소의 양(量)을 추정하고자 실시되었다. 보리 품종 올보리를 공시하고 작물시험장 맥류포장에서 기비 사용량을 0, 40, 80 및 120kg/ha을 요소(尿素)로 시용하였다. 파종은 10월 12일에 하였고 이듬해 3월 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월동기간은 12월 15일부터 3월 17일까지로 하였다. 또한 같은 토양을 이용하여 질산화작용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5, 10 및 $15^{\circ}C$ 조건에서 4, 8, 16 mg N/100g soil 수준으로 배양(培養)하였다. 1. 토양의 $NH^+\;_4-N$$NO^-\;_3-N$ 함량의 변화는 요소(尿素) 시용 후 40일경을 기점으로, 40일경까지는 $NH^+\;_4$가, 그리고 그 이후에는 $NO^-\;_3$ 가 각각 가급태(可給態) 질소(窒素)의 주(主)를 이루었다. 2. 토양에 시용된 요소(尿素)의 질산화는 요소(尿素) 시용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온도가 낮을수록 완만하게 진행되었는데, $5{\circ}C$$15{\circ}C$에서의 질산화율(窒酸化率) $40{\sim}50%$가 일어났다. 3.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 관여하는 ammonia oxidizing bacteria 와 nitrite oxidizing bacteria의 수는 요소(尿素) 용량의 증가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增加) 하였다. 4. 월동 후 생존한 보리에 함유된 질소량(窒素量)은 기비량(基肥量)의 10% 미만이었고, 작토층에 잔류한 가급태질소(可給態窒素)의 함량은 기비량의 약 $24{\sim}26%$ 이었으며, 월동기간중 보리의 고사체에 함유되어 유기태질소로 소실(消失)된 양(量)은 기비량의 약 50%였고, 질산태질소의 용탈양(溶脫量)은 약 $17{\sim}20%$에 달하였다. 월동기간중 질산태질소의 용탈량은 기비사용량 80 및 120kg/ha에서 각각 ha당 16kg 및 20kg 정도로 추정되었다.

  • PDF

치주인대세포의 골기질 단백질 유전자 발현에 대한 Dexamethasone의 영향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the gene expression of the bone matrix protei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하봉;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45-456
    • /
    • 2002
  • 치주조직 재생을 위해서는 새로운 백악질과 치조골 그리고, 치주인대의 재생이 필요하며, 이러한 재생을 담당할 세포의 분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분화를 담당하는 것은 치주인대세포이며, 이 중 골아세포의 분화가 중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치주조직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치주인대세포의 골아세포성 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며, Dex가 광물화에 미치는 영향과 농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또한, 광물화시 발현되는 여러 골기질 단백질 중 Matrix GlaProtein의 발현양상도 관찰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의 제1소구치 부위의 정상치은을 절제하고, 건강한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ascorbic acid와 ${\beta}$-glycerophosphate 투여군을 실험1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100nM 투여군을 실험 2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5{\mu}M$ 투여군을 실험3군, 그리고, 단순 배양만 시킨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치주인대세포 형태의 변화 양상은 초기에 방추형 혹은 다각형의 단일층 형태에서 7일경에는 세포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복합층 형태로 변화했으며, 배양 14일 이후에는 세포들의 방향성이 없어지고, 더욱 치밀해 졌다. 골 결절형성은 치주인 대세포의 Dex 투여군에서만 21일째에 나타났으며, $5{\mu}M$ 투여군에서 100nM 투여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LP 활성도를 비교해보면 치주인대세포에서 0, 7일 경에는 활성도를 보이지 않았으며, 14일경에 높은 활성도롤 나타냈으며, 21일에도 비슷한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MGP 유전자 발현 양상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Matrix Gla Protein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나타났으며,그 발현양상은 모든 시기에서 일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주인대세포는 골아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며, Dex는 농도의존적으로 광물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MG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발현이 감지되었으며, 광물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경산돈의 발정 동기화 및 과배란시 호르몬 처리간의 효과 I. 미경산돈의 발정 동기화에 있어 Altrenogest와 PG600 처리 효과 (Effects of Different Hormone Treatments on the Estrus Synchronization and Superovulation of Gilts I. Effects of Altrenogest and PG600 Treatments on the Estrus Synchronization of Gilts)

  • 장원경;박진기;이장형;김도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2
    • /
    • 1995
  • 본 연구는 돼지의 발정 동기화를 시키는데 있어 Altrenogest와 PG600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축산기술연구소에서 1994년부터 1995년 사이에 실시하였다. 먼저 시험돈은 자연 발정주기를 매일 2회씩 관찰하였고(Control), 한 group은 발정주기의 15일경에 PG600을 피하 주사했으며(PG600), 나머지 한 group은 발정주기와 관계없이 9일 동안 20mg의 Altrenogest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였다(Altrenogest). 그후 대조구를 제외한 두 그룹은 각각 PMSG 1500 IU를 PG600 처리후 16일째에, Altrenogest 처리구는 Altrenogest 처리후 24시간에 각각 근육주사하였으며, 약3일후 hCG 750 IU를 각 처리별로 근육주사하였다. 이 결과 대조구에서는 85%, Altrenogest는 90.1%, PG600구에서는 100%의 발정 발현율이 나타남으로써 전체 발현율로써는 처리간에 별차이가 없었으나, hCG주입후 9일내에 발정 발현정도는 대조구(25/53)에 비하여, PG600구 (47/47)가 높았다. 또한 황체수 및 회수난자수에서는 각각 대조구 12.9$\pm$1.8, 12.7$\pm$3.9, Altrenogest구 25.5$\pm$0.7, 15.0$\pm$4.2, PG600구 25.4$\pm$13.1, 19.0$\pm$12.8로 호르몬 처리간에는 별차이가 없다. 그러나 대조구에 비해서는 호르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높았으며, 정상 난자율에서는 호르몬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호르몬 처리에 의한 발정동기화가 효율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발정동기화기술은 노동력 및 비용절감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를 혼합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및 내구성 분석 (Analysis of Fundament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Coal Gasification Slag as a Combined Aggregate)

  • 최일경;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1-338
    • /
    • 2020
  • 본 연구는 CGS를 콘크리트용 혼합골재로서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양호한 입도분포의 부순잔골재(CSa) 및 미립자인 해사와 굵은 입자의 부순잔골재를 혼합한 혼합골재(MS)에 CGS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및 내구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는 CSa 및 MS 모두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CSa를 사용한 경우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저하하였지만, MS를 사용한 경우는 CGS 50 %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내구성을 검토한 결과로, 건조수축 및 탄산화 깊이측정의 경우는 CGS 치환율에 따라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내동해성에서는 전반적으로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S를 치환 사용하는 혼합잔골재 콘크리트의 경우는 공기량 감소를 보완할 수 있도록 AE제 추가 투입 등의 대책을 수립한다면, 큰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경다화성(一莖多花性) 백합(百合) 절화(切花)의 개화(開花)와 수명연장(壽命延長)을 위(爲)한 보존용액(保存溶液)의 효과(效果) (Effect of Preservative Solutions on Flowering and Vase Life of Multiflowered Cut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 이종석;김영래;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9-256
    • /
    • 1983
  • 1경(莖) 4화(花)의 백합절화(百合切花)에 있어서 각(各) 화(花)의 개화양상(開花樣相)과 절화보존용액(切花保存溶液)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제(第)1화(花)는 절화보존(切花保存) 후(後) 1~2일(日), 2화(花)는 3~4일(日), 3화(花)는 5~6일(日)이면 개화(開花)하여, 1, 2, 3화(花)가 동시관상(同時觀賞)이 가능(可能)하였으나, 제(第)4화(花)는 1, 2화(花)의 수명(壽命)이 끝날 무렵인 8~9일(日)이 지나서야 개화(開花)하였다. 보존용액(保存溶液)들 간(間)에서 각(各) 화(花)의 개화시기차이(開花時期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한줄기에 있어서 각(各) 화(花)의 수명(壽命)은 제(第)1화(花)에서 4화(花)로 갈수록 수명(壽命)이 짧았고 보존용액(保存溶液)의 수명연장효과(壽命延長效果)는 4화(花)에서 1화(花)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다. 3. 절화(切花)한 다음 수일(數日) 후(後)에 개화(開花)하게 되는 제(第)3화(花) 및 4화(花)는 sucrose와 $AgNO_3$ 또는 HQ가 혼합(混合)된 용액(溶液)에 보존(保存)하였을 때 제(第)1, 2화(花)와 같은 정도의 화장(花長)과 수명(壽命)을 유지(維持)할 수 있었다. 4. 보존용액(保存溶液)에 sucrose와 $AgNO_3$, HQ가 모두 혼합(混合)될 때 화장(花長), 흡수량(吸收量), 생체중(生體中), 절화수명연장등(切花壽命延長生等)에 좋은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sucrose만의 처리(處理)는 절화수명연장(切花壽命延長)에는 다소(多少)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흡수량(吸水量)은 증류수(蒸留水)에 비(比)하여 감소(減少)되었고 생체중(生體重)과 화장(花長)의 증가(增加)에도 별 효과(效果)가 없었다.

  • PDF

온도(溫度)와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무궁화(Hibiscus syriacus ''Honghwarang') 삽수의 맹아(萌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d Sprouting of Stem Cutting of Hibiscus syriacus 'Honghwarang')

  • 백이화;조근호;박천호;허무룡;곽병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55-357
    • /
    • 1998
  • 무궁화 (Hibiscus syriacus 'Honghwarang')의 휴면특성을 구명하고자 온도와 생장조절물질을 처리하여 맹아(萌芽) 차이를 비교하였다. 맹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10{\sim}30^{\circ}C$), $30^{\circ}C$ 무처리구는 삽목 후 4일만에 맹아하기 시작하여 6일경에는 100% 맹아했다. GA와 BA처리도 대조구인 무처리와 큰 차이 없이 $2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6일만에 맹아하여 62.5%의 높은 맹아율을 나타내었다. ABA 침지처리는 $25^{\circ}C$이하의 온도에서는 맹아율이 저조하였으나, $25^{\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삽목 6일 후에 맹아하기 시작하여 12일 후에 93% 맹아되어, 고온 조건에서는 생장억제제인 ABA처리가 맹아억제에 전혀 효과가 없었다.

  • PDF

당귀 배양 소포자의 Flow Cytometric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ltured Angelica gigas Microspores by Flow Cytometry)

  • 박충헌;성낙술;유홍섭;피터포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6-201
    • /
    • 1997
  • 당귀 반수체 육성의 기초차료를 얻고자 배양 소포자의 활력과 특성을 Flow cytometry로 관찰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 활력은 발육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배양 4일경에 4분자기 12.8%, 1핵성소포자기 49.3%, 2핵성소포자기 42.3% 및 성숙화분은 56.4%였다. 그리고 배양 20일 경에 는 소포자의 활력이 감소하여 배양중 배지개선과 계대배양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2. 발육시기에 따라 소포자 구조 peak가 다르게 조사되어 4 분자기는 원형을 보이다가 $1{\sim}2$핵성 소포자 부터 성속 화 분은 장타원형의 발달하는 특성을 띠었다. 3. 배양 소포자 중 살아서 생존한 소포자는 FDA 염색에 녹색 형광을 DAPI 염색에 청색형광을 발하여 활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작물의 유황영양에 관한 연구( I ) -포장재배수도의 유황영양실태- (Studies on the sulfur nutrition of crop plants (I) -The nutritional status of sulfur in the field-grown rice plants-)

  • 박훈;김영섭;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09-116
    • /
    • 1971
  • 기후 토양 시비조건이 다른 수개포장에서 자란 벼의 유황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다. 1. 이앙후 30 일경 유황결핍포장의 수도체내 유황의 임계함량(critical percentage)은 0.2%이상인것 같다. 2. 수확기 S 함량평균치는 이삭과 짚에서 각각 0.22% 및 0.43%이고 유안시비는 짚에서의 농도를 더욱 높였다. 3. 볏짚과 이삭의 S 함량비는 유안시비구에서만 위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나 이삭에의 전이율은 이와 관계없고 시비구에서 평균 26% 무비구에서 29%였다. 4. 유황흡수량은 무비구에서 6kg/10a 시비구에서 10 kg이었다. 5. 부위별 유량함량은 엽신+엽초>간>이삭의 순서이며 어느부위서나 저수답벼에서 높았다.

  • PDF

표고버섯이 함유된 간장의 발효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우강융;이승철;장덕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20-224
    • /
    • 2003
  • 고품질 간장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표고버섯을 첨가하여 담금한 간장덧을 18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발효기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한 표고버섯의 양은 총질소의 변화 양상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발효 중 간장덧의 pH는 담금 초기에 5.5부근이다가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여 6개월 후에는 $4.7{\sim}4.9$이었으며, 버섯이 함유된 경우에서 pH가 낮게 측정되었다.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다가 90일경에 다시 증가하고 그 이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표고버섯 첨가에 따른 차이는 발효기간 동안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과 총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6개월 숙성 후에 5% 표고버섯 첨가구에서 각각 31.74 mg/100ml과 19.01 mg/100 ml이었다.

집누에 생식소의 Nosema bombycis 감염과 경란전달성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해명 (Transovarial Transmissibility and Histopathology on the Gonad Ivfection with Nosema bombyc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75
    • /
    • 1994
  • 경란전염은 숙주의 생식소 감염이 전제되므로 Nosema bombycis 감염 집누에를 대상으로 생식소의 발육에 수반된 란 및 정자 형성과 경란전염의 성립에 미치는 영향을 해부 및 조직병리학적 측면에서 구명하였다. 생식소의 감염경로는 도관을 통하지않고 체공에 접한 주변부의 피막조직이 먼저 감염된후 난소내부로 병세가 확산되었고, 감염시기는 다른 조직에 비하여 지연되므로 중증인 개체에 한하여 생식소의 감염은 인정되었으나 란 및 정자 형성이 저해되고 숙주는 성충화 전에 치사하였다. 생식능을 보유한 경증의 감염개체에서는 난소의 감염이 번데기 초기까지 인정되지 않았으나 경란전달은 가능하였다. 병원포자는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성숙란에 대한 침입 가능성도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경란전염이 성립되는 란의 감염시기는 난소소관이 체공에 직접 노출되는 번데기 시기의 2~3일경 부터 난소난의 난각형성이 개시되기 전인 제10 발육단계까지의 기간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