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체치수 변화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인체치수와 교구배치를 고려한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규모산정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ize Calculation of Uni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Size of the Human Body and the Layout of Teaching Tools and Desks)

  • 김학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7-30
    • /
    • 2006
  • 이 논문은 인체치수와 교구에 기초한 일반교실평면크기의 산정에 관한 연구이다.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1960년대 이래로 지금까지 7차에 걸쳐 변화되었으며, 그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평면에 반영되어 왔다. 새로운 교육과정인 제7차교육과정은 학급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교육부는 1997년 9월 학교시설기준을 폐지하였고, 일반교실의 규모가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크기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각 부위별 인체치수는 키, 나이, 몸무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각 인체부위 치수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키, 나이, 몸무게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 각 부위별 인체치수, 교구 및 책상배열에 따라 일반교실의 크기를 산정하였다.

  • PDF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교가구류의 인체치수 규격 국제비교분석 (Comparison among standards in furniture)

  • 김정아;박재희;공석만;김진호;이동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3-197
    • /
    • 2009
  • 가구 분야에서는 인간공학적 원리를 가구 설계에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으며, ISO TC159 에 맞추어 각국의 규격들도 변경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KS 규격은 1960년대 후반부터 제정되어 몇 차례 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KS 규격은 '국민 인체 크기의 변화'와 '시장과 소비자 요구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국제규격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민 인체 크기의 변화를 쉽게 반영할 수 있는 KS 가구 규격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아파트 주거공간의 인체공학적 적합성 연구 (The Study on Appropriateness of Ergonomically Designed in Living Space of an Apartment Unit)

  • 박병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89-96
    • /
    • 2009
  • 아파트는 우리나라 주거의 반수이상이 공급되어 있으며, 가장 선호하는 주거유형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처럼 주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 내부공간이 최근에는 트렌드 차별차로 다양한 변화를 자랑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법적 요구공간과 설계치수만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주거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가족이 단란하게 생활하는 공간이며 사회생활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기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거공간은 가족 구성원간 상호작용과 자아정체감을 갖는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공간의 기본조건 중 능률성은 동선과 사용공간, 가전제품, 가구치수는 주거공간의 면적과 칫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파트의 내부공간구조 자체가 서구에서 도입된 형태로 우리나라의 신체적 치수적용에 부조화를 초래하였으며 최근에는 다시 인체치수의 변화로 이와 관련하여 대한 건축계획에서도 적절한 주거공간의 구성을 위한 인체공학적 적합성에 근거한 주거공간 계획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내 교가구업체의 KS 규격에 대한 생산자 실태조사 (A field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furniture company in KS)

  • 김정아;김진호;이동주;박재희;공석만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가구업체를 대상으로 현행 KS G 규격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있는 집중적으로 연구, 개정할 설계 치수항목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Size Korea 조사 결과를 감안할 때, 한국인의 신체 크기는 빠르게 증가해왔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현행 KS 가구 규격의 치수들이 적정한 지 파악하고, 개정할 부분이 있으면 산업현장의 의견을 들어 반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유방 및 브래지어 유형에 따른 인체치수 변화 및 맞음새 연구 (Changes in Body Size and Fitness According to Breast and Brassiere Types)

  • 최진영;손부현;권수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8-15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body size (as well as fit) before/after wear, according to the breast and brassiere type. To offer producers basic data on how to develop excellent brassieres, we accordingly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on 183 20's women. The research revealed that breast-related size and fit change by about 10%; however, the upper length and inner length of breasts decreases. The fit of domed ones is the best and the fit of the elongated ones is the worst; subsequently, a closer representation of the ideal breast leads to a better fit to wear.

하반신마비 남성의 기성복 바지원형 및 그레이딩 연구 (A Study on the Paraplegia Men′s Ready-made Pants Pattern and Grading Method)

  • Kim, Kyung-Im;Lee, Jeon-Ra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41-1452
    • /
    • 2003
  • 오늘날 지체장애인의 수는 후천적 원인으로 인하여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훨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마비자 중 성인남성을 중심으로 인체계측을 통해 적합성이 높은 바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체계측 결과 하반신마비자들은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허리둘레 및 배둘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새로운 치수체계가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자세 변화에 따른 둘레항목의 치수 변화와 피부 신축율에 의해 허리선의 변화가 고려되어 평상시의 휠체어에 앉은 자세에서 계측한 항목으로 원형이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2. 연구원형은 기성복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기준치수(98-102)를 선정하고, 원형 각 부위는 절대치로 수치화 시켜서 제시하였다. 뒤밑위길이선은 허리선에서 8cm 늘이고 앞밑위길이선은 허리선에서 6cm 줄여 앉은 자세에서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준치수의 경우 바지길이 107cm, 밑위길이 26cm, 밑위선 28cm, 엉덩이둘레선은 밑위선 위로 8.5cm, 바지부리는 10.5cm이고 외관과 기능성 평가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3. 계측 대상자 계측치를 근거로 치수의 출현율을 고려하여 연구 치수체계를 기본 신체부위인 앉은 허리둘레와 앉은 엉덩이둘레의 순으로 적용하여 총 7개의 치수로 설정하였다. 기준치수(98-102)의 연구원형을 마스터 패턴으로 하고 구체적인 원형 부위별 절대치로써 치수 차를 검토하여 연구 그레이딩 룰을 설계하였으며 기준치수 보다 작은 사이즈 88-93과 큰 사이즈 108-111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2D 이미지를 활용한 인체치수 구현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a Body Size Measuring Process Utilizing 2D Images)

  • 정재훈;류지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53-1861
    • /
    • 2009
  • 의류산업에서의 신체치수는 소비자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반응하기 위한 맞춤주문형 의류시스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개인별 신체치수를 얻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차원적인 3장(전면, 측면, 후면)의 이미지 캡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표준화를 위한 변환, 외곽선 추적, 키노드 추출 과정으로 계산된 데이터를 원형 3차원 인체 형상 데이터에 대조하여 모델링을 변화시키는 프로세스를 통해 상하길이, 둘레데이터 및 인체 형상 데이터를 간편하게 획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 구현을 통한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13-18세 남학생의 인체치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Body Measurements in Teenage Boys: Focused on ages 13 to 18)

  • 현은경;남윤자
    • 복식
    • /
    • 제59권6호
    • /
    • pp.58-7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crements of body measurements of the teenage boy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and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apparel manufacturers in order for them to make clothing that reflect the appropriat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teenage boys. The total of 1587 male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from the 5th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Size Korea)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body dimensions were analyz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anthropometric index mesurements. First, anthropometric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height related measurement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age, and that the boy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experience dramatic growth. Standard deviation is the largest between the age of thirteen and fourteen which indicates that in these ages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a growth rate Second, anthropometric index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in accordance with age, bust, waist and hip depth/width rate decreased; however, waist and hip depth/width rate increased at the age of 18. In accordance with age, upper body length rate increased, whereas lower body length rate decreased. Bust circumference, armhole length, and upperarm circumference rate increased gradually, wherea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