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증키 분배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생체 정보를 이용한 키 분배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Key Distribution Protocol using Bio-information)

  • 이진우;원동규;한종수;곽진;원동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06-411
    • /
    • 2003
  • 최근,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다양한 무선통신 단말기, 반도체, 디지털 방송,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어 사람과 디바이스간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환경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많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통신은 통신개체간에 실시간 개체인증은 물론 전송되는 정보의무결성, 기밀성 등 보안 서비스가 요구된다. 현재의 개체 인증은 사용자가 기억하는 패스워드 또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보안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개체간에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기억해야 할 패스워드가 증가한다거나, 보안 모듈의 손상 및 분실로 인해 자신의 프라이버시(privacy)가 노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고유의 생체 정보와 기억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비밀정보로 사용하여 양방향 개체 인증 키 분배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CHSH 부등식을 이용하여 양자 키 분배와 양자 인증의 안전성을 개선한 프로토콜 (Improving The Security Of Quantum Key Distribution And Quantum Authentication By Using CHSH Inequality)

  • 허진오;홍창호;임종인;양형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9-7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Bao-sen Shi(2001년)에 의해 제안된 얽힘 상태(벨 상태)를 이용한 양자 키 분배와 양자 인증 프로토콜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보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의 프로토콜은 사용자들이 제 3자(중재자)를 인증하는 과정만 존재했기 때문에 도청자의 Impersonation 공격에 대해 취약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CHSH 부등식을 이용한 체크 모드를 사용하여 중재자가 사용자들을 인증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완한 프로토콜이다.

PKI 기반의 라이선스 에이전트를 이용한 암호화 기법 (Protection Mechanism using License Agent based Public Key Infrastructure)

  • 이종희;이광형;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43-1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데이터 암호화를 위해 비디오 데이터의 I-프레임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시스템 서버에서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때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스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라이선스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행 시 공유 키 풀(shared key pool)을 이용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기반의 사용자의 인증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암호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비밀키 기반의 공개키 분배 시스템을 이용하여 키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키의 누출 시 그 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D-Based 키 분비방식 및 회의용 키 분배방식 (Identity-based key distribution system and conference key distribution system)

  • 손기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8-46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ID 정보를 이용한 키 분배방식을 제안했다. 이 방식에서는 Diffie-Hellman 방식에서 사용하는 공개 화일의 불법 변경 등의 공격에 대한 위험이 제거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방식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2명 이상의 회의용 키를 생성하는 ID 정보를 이용한 회의용 키 분배방식을 제안하였다. 가입자들은 링 네트워크(ring network)를 구성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각 가입자들간의 전송정보들은 각 가입자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다. 제안한 방식의 안정성은 큰 수의 소인수 분해 및 이산대수 계산 문제에 근거한다.

POP3 보안을 위한 사용자 인증과 암호화 통신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e communication for POP3 Security)

  • 이형승;허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503-505
    • /
    • 1998
  • 인터넷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E-mail은 특정 부류만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사용되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현재의 POP3 구조에서느 원격 접속을 시도할 경우 사용자의 ID와 Password는 암호화가 안된 상태로 전송된다. 이러한 것 때문에 여러 보안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여러 보안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OP3에서 PASS라는 명령어를 통한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나타나는 무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인증방법을 One-Time Password System을 이용해서 제시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One-Time Password System을 이용해 불법적인 방법으로 알아낸 암호의 재사용을 방지했다. 또한 암호화 통신을 위해 관용 암호화 방식의 IDEA 알고리즘을 이용했으며, 키 분배와 관리 문제는 One-Time Password System에서 생성한 키를 IDEA의 비밀키로 사용함으로써 해결했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효율적 키 관리 프로토콜 (A Cluster-based Efficient Key Management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정윤수;황윤철;이건명;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2호
    • /
    • pp.131-138
    • /
    • 2006
  • 안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노드 간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원의 제약성 때문에 일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Diffie-Hellman이나 공개키 기반 키 협의 방법은 적합하지 않다.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사전 키 분배 방법은 q-composite 랜덤 키 사전 분배 방법을 사용하여 확률적으로 키를 분배하지만 센서 노드간의 공유키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공유키를 발견하는데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확률적 키에 의존하지 않는 클러스터 기반의 새로운 키 관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동안 사전 배치 전에 센서간 공유하고 있는 공통키 사용을 통하여 센서의 키 전송/수용과정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키 관리 효율성이 높다. 또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타협된 노드들을 안전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lightweight 침입탐지 메커니즘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한다.

공인인증기반 가상사설망(VPN)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Comprehension Analysis on PKI-Based VPN Architecture)

  • 김재홍;유인태;윤정원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3-26
    • /
    • 2002
  • 인터넷은 확장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바탕으로 급격한 확산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개방성과 확장성으로 인해 보안상 취약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전용 사설망과 같은 보안성을 보장해주는 가상사설망(VPN)의 도입이 활성화되고 있다. 전자상거래와 재택근무등 가상사설망 구축의 범위가 커지면서 사용자 인증과 키관리 및 분배 자동화를 위하여 공개키기반의 공인인증서비스를 적용한 VPN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공인인증서비스를 적용한 VPN구축사례를 통해 공인인증서비스의 적용시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의 상호인증 프로토콜 (A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in Ubiquitous Network)

  • 조영복;김동명;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316-318
    • /
    • 2004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보안요구사항을 살펴보면 센서의 위치, 저 전력으로 인한 성능의 제약, 브로트 캐스팅에 의한 통신 등 들 수 있다. 그 중이 논문에서는 저 전력으로 인한 성능의 제약측면을 고려한 상호인증 (Mutual Authentication)프로토콜을 새롭게 제안한다. 상호인증 프로토콜은 RM(Register Manager)와 AM(Authentication Manager)로 구성되며 RM과 AM을 통해 각 센서 노드들의 한정된 전력문제를 해결하였고 가 각 센서노드에서의 메시지의 길이와 오퍼레이션 수를 최소화함으로 전력 낭비를 해결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센서노드간의 상호인증을 통한 세션키 분배를 통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

  • PDF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안전한 인증을 위한 자바 기반의 PKI 시스템 연구 (A Study of Java-based PKI System for Secure Authentication on Mobile Devices)

  • 최병선;채철주;이재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5-1008
    • /
    • 2007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든지 정보가 누출되거나 왜곡될 위험성 또한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히, 프라이버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우리 일상생활과 융합되어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이 오히려 모바일 네트워크 감시 체제를 구축하는 심각한 역기능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들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고 컴퓨팅 연산 능력이 적은 저성능 휴대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컴퓨팅 연산이 많이 요구되는 공개키 암호 기술을 저성능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면서, 컴퓨팅 연산 능력이 적은 저성능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자바 기반의 암호 모듈 및 PKI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표준 암호 알고리즘(SEED)과 인증서를 기반으로 세션키와 공개키를 조합함으로서 최소한의 암복호화 연산을 통해 인증 및 전자 서명을 제공하며, 이를 대표적인 모바일 단말기인 PDA 환경에서 세션키 분배 및 사용자 인증이 안전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증서기반의 혼합방식 암호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yCK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ertificate-Based Hybrid Cryptosystem - CHyCK)

  • 홍성민;오상엽;조기호;이경은;천명권;이영;천정희;윤현수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08-117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방식 알고리즘과 대칭키방식 알고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방식 암호시스템 (CHyCK:Certificate-based Hybrid Cryptosystem of KAIST) 의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CHyCK는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대칭키 암호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암호화하고 이 때에 사용되는 대칭키를 공개키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대방에게 암호화된 메세지와 함께 보내게 된다. CHyCK는 공개키방식에서 사용되는 키쌍 중 공개키를 안전하게 가입자에게 분배해 주는 방법으로 인증서기반(certificate-based)방식 을 채택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인증서를 발급해 줄 인증기관(certifying authority)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암호알고리즘들은 기존의 것들 중 적합한 것으로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키분배와 메세지 전송 측면에서 분석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