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적재난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nalyzing the Capability of University Emergency Management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 Park, Se-Ryeun;Yoon, Hong-Sik;Lee,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3-3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이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는 다량의 화학물질 보유, 출입통제 제한적, 인적 물적 인프라 집중 등의 이유로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확률이 높으며 동시에 발생 시 피해규모도 클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교 재난안전관리에 대하여 대학실험실안전관리에만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역량수준을 진단하여 전반적인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업무목록을 바탕으로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적용하여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The enhanced definition of terrorism and disaster for bette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in the future (대테러 대비 전략을 위한 테러와 재난정의 이해)

  • Oh, Hangil;Kim, D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99-301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테러는 국제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 테러의 인식에 따른 시각은 다소 편협하여 성별, 나이, 직위, 장소등 많은 부분에서 갈등을 갖으며, 또한 한반도는 남북한의 갈등으로 인한 특수성은 게릴라 전을 테러라고 인식하는 시각이 있다. 국내 특수성으로 인해 테러를 전쟁의 영역으로 보고 테러대응 전략은 국가 안보로 많이 치우쳐져 있다. 역사와 정치적으로 또한 테러는 이념대립으로 인한 전쟁으로 치우쳐 전쟁의 전략에 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다는 것이 사실이다.(Rumyana G., 2014) 이는 전쟁의 시각에서 테러를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테러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안보의 개념뿐 아니라 재난의 개념에서도 찾을 수 있다. "불평등한 사회에 대한 민중의 분노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스위스 진보적 사회학자 장 징글러(Jean Ziegler) 는 말하며 무고한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비합법적 무력 사용으로 보았다. 즉, 비합법적 무력사용으로 무고한 다중(Innocent people)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젠킨스와 라쿼르의 정의를 살펴보면 "테러리즘이란 폭력 혹은 폭력의 위협이다"라고 정하였다.(Jenkins 2004) 폭력이란 형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한다. 철학, 정치학 등의 학문에서는 다른 사람 또는 국가나 세력을 제압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힘자랑이나 힘겨루기가 이에 속한다. 무력의 사용으로 사회에 심리적인 영향을 끼치며 사회적 파괴를 일으키는 것을 보편적 테러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테러는 국가 통치 질서와 사회질서 안정에 큰 위협과 혼란을 초래하는 파괴행위의 무력행사로 국가의 재난 상황을 유발하는 인류가 만든 재난으로 볼 수 있다. 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사회현상으로 발생하는 폭력적 파괴행위에 대한 피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의 현상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첨단기술을 이용한 폭력행위와 파괴의 두려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두려움의 전파 속도도 빨라 질 것이다. 따라서 테러행위의 극복을 위해서는 테러를 인적재난(Man-made Disaster)로 보고 재난의 범주로 포함하여 미래의 테러를 위한 대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계의 학자들과 기관 및 민간 의 전문기관들에 따른 테러의 정의를 분석하고 재난정의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테러 대비 전략의 방향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테러정의를 도출하였습니다.

  • PDF

A Plan to Activate the Use of Civil Defense Equipment Using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Joint Utilization System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을 활용한 민방위 장비 사용 활성화 방안)

  • Park, Nam-Hee;Yeo, Wook-Hyeon;Yeo, Hwa-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00-40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 활용이 미흡한 민방위 장비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를 분석하고 DRSS 내에서 민방위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재난관리자원이란 각종 재난의 수습활동에 필요한 물적·인적 자원으로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이 재난에 대비하여 비축·관리 또는 지정·관리하여야 하는 장비자재, 물자, 시설 및 인력을 말한다. DRSS는 평상시에 지자체, 중앙부처, 민간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을 등록, 지속적으로 변동사항을 현행화하고 재난 발생으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인근 기관의 보유 자원을 조회하고 지원 요청하여 현장에 자원을 투입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민방위자원은 현행법상 재난관리자원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DRSS 내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등록된 재난관리자원과의 중복여부 조사와 함께 중복되지 않은 자원을 별도 분류 후 등록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Mutual Cooperation in Emergency Operation Plan (재난대응계획에서의 상호협력체계 연구)

  • Kim, Jong Min;Lee, Young 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2
    • /
    • pp.27-34
    • /
    • 2012
  • As industries have developed rapidly as well as our society becomes urbanized and globalized, the damage by disaster spreads fast and its extent gets also wide consequently. Therefore, the quicker and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the damage by disaster. In this context, several studies regarding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were conducted.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put more stress on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for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than on the local level at an incident scene. For the study on establishing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at the field, we took part in man-made disaster response exerci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every month, attempted the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system at the local level and researched requirements to build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Also, we designed training scenarios that are necessary at the disaster response training through this study, and developed various forms for the mutual cooperation plan.

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for Large-scale Human Accident at Workplace for Efficiency of Disaster Response (재난대응 효율화를 위한 사업장 대규모 인적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정방안 연구)

  • Woo Sub Shim;Sang Beam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56-664
    • /
    • 2023
  • Purpos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anages disasters based on the standard manual for risk management of large-scale human accidents in workplaces when large-scale disasters such as fires and collapses occur in workplaces. We are going to check the standard manual currently in oper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insufficient items. Method: Accordingly, the standard manual was checked together wit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in the disaster management manual and disaster management staff at headquarters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items to be improved were identified with priority. Result: In case of a collapse accident,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accurately present the selection criteria in order to eliminate the controversy over the selec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etails of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and evacuation guidelines. Conclus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at meets the public's eye level, it is expected to prepare a standard manual for risk management of large-scale human accidents in workplaces that guarantees the lives and safety of workers through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Current situation and proposal on the maintenance management for multiuse facility's disaster defense system. (다중이용시설 방재설비 현 상황과 유지관리 개선안)

  • Kim, Yeon-A;Hong, T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92-294
    • /
    • 2016
  • '16년 9월 경주지역 지진 발생으로 현재까지 여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토도 지진 또는 각종 자연재해,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재난 발생 시 상당한 인적, 물적 피해를 우려하고 있으며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재 방재설비를 확인하고 유지관리 개선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IoT Techniques for Sustainable Broadcast and Communications of Emergency Information (지속 가능한 재난 방송·통신을 위한 사물지능통신)

  • Cho, Youngwook;Chang, Sekchin;Choi, Seong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73-174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인적/자연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 재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적절한 후속 처리를 위하여 ICT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 재난정보 시스템의 관심과 수요가 국내외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외의 통합 재난정보 시스템은 방송/통신망의 붕괴 시 재난정보 전달의 불능 및 심각한 제한이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통합 재난정보 시스템에는 무선 채널에서 사용되는 단말기가 재난정보 수신에 최종 실패할 경우를 고려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구현이 예상되는 통합 재난정보 시스템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재난 방송/통신을 위하여 사물지능통신과 관계된 다양한 기법들을 제안하다.

  • PDF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방재자원 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Chang-Hee;Jung, Woo-Young;Lee, Chang-Yeol;Kang, Byung-Hwa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2
    • /
    • pp.153-163
    • /
    • 2013
  •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and human disasters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While the damage from these disasters are unavoidable, reduction of damage level by proper establishment of control measures could be sufficiently achievable.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include resources introduced in the event of disaster, such as human, materials, equipments and facilities. Rapid yet proper inputs of these resources are the key factor to minimize any damages from the disaster. Currently, however, the standard and/or criteria for mobiliz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have not yet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refore, proper resource management as well as efficient resource input has not been in place. This research is an early stage construction of efficient mobilization resources, which had been irregularly loaded and applied before. Also this study has tried to provide a classification rule for efficient disaster prevention resource management and mobilization, and indeed, provide a foundation for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