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장와(印章瓦)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26초

목섬유(木纖維)와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 복합재료(複合材料)의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Fiber Thermoplastic Composites)

  • 박병대;임기표;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46-53
    • /
    • 1994
  • 본 연구(硏究)는 목섬유(木纖維)와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의 복합재료(複合材料)를 제조하고 그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강도가 높고 밀도가 낮아 플라스틱의 보강재료로써 잠재성을 갖는 목섬유를 2종의 열가소송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 혼합(混合)하여 복합재료(複合材料)를 만들었다. 흡습성(吸濕性)인 목섬유와 비흡습성(非吸濕性)인 플라스틱과 친화성을 위해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사용하였다. 또한 낮은 밀도의 목섬유를 플라스틱내에서 혼합하기 위해 고속 플라스틱믹서를 사용하였다. 사출성형(射出成形)한 샘플을 사용하여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시험(試驗)한 결과 인장및 휨강도는 목섬유 혼합량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다. 휨 강도(强度)는 인장강도(引張强度)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인장(引張)및 휨탄성(彈性) 계수(係數)는 플라스틱내 목섬유 혼합량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목섬유는 복합재료의 강도(强度)와 탄성계수(彈性係數)를 향상시킴으로서 플라스틱을 보강할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인장시험에서 시편 파괴점까지의 신장율과 파괴에너지는 목섬유 혼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충격강도(衝擊强度)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와이어메쉬 굴곡배치 타당성분석 (Analysis of Bending Wire Mesh)

  • 김춘호;정대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69-174
    • /
    • 2009
  • 기존의 평면으로 배치된 와이어 메쉬의 단점을 조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3차원으로 굴곡한 를 개발하기 위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하게 굴곡시킨 경우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부슬래브 전체 및 편측 등분포하중을 재하 한 모든 경우에서 wire mesh 굴곡각도 $45^{\circ}$인 경우가 정모멘트구간 및 부모멘트구간 모두 휨인장응력은 가장 적게 발생되고 횡방향으로 $45^{\circ}$ 굴곡시킨 경우가 전단응력이 가장 적게 발생된다. 변위도 종방향 굴곡각도 $45^{\circ}$인 경우가 변위가 가장 적게 발생된다. 따라서 기존의 평면으로 배치한 와이어 메쉬보다 굴곡시켜 배치하면 휨인장응력, 전단응력, 변위가 줄어들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성능이 개선되며 와이어 메쉬를 $45^{\circ}$로 굴곡하는 것이 가장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의 용접성에 대한 실험분석과 메타분석 연구 (Laboratory and Meta Analysis for 9% NI Steel of 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 박상흡;안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70-677
    • /
    • 2016
  • 본 연구는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에 대한 실험분석과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에 대한 선행연구에 기초해서 메타분석을 수행한 후에, 9% Ni Steel의 패스(pass)와 다층용접(multi pass)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격반응검정(impulse-response test)을 통한 실험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9% Ni Steel의 다층용접(multi pass welding)에 대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시험한 결과 패스 1부터 패스 3까지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으나, 패스 3 이후부터 다층용접의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층용접(Multi pass welding)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패스(pass), 다층용접(multi pass)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용접시간(welding time)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용접시간(welding time), 인장강도시간(tensile time)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휨 또는 쪼갬인장 반복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신뢰성 해석과 피로모델 제안 (Reliability Analysis and Fatigue Models of Concrete under Flexural or Split Tensional Cyclic Loadings)

  • 김동호;심도식;김성환;윤경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81-58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일정진폭 휨인장 및 쪼갬인장 반복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피로신뢰성과 모델제안을 위하여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데이터는 2-모수 Weibull 확률분포함수를 사용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고,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피로실험은 $150 mm{\times}75 mm$ 시험체의 쪼갬인장피로 실험방법과 $150 mm{\times}150 mm{\times}550 mm$ 시험체의 휨인장피로 실험방법을 적용였으며 일정 진폭 피로하중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두 가지의 실험방법에 대하여 응력 수준 90, 80, $70\%$로 변화하여 실험하고 이때 적용한 응력비는 0.1, 하중재하속도 20Hz, 정현파(sine)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콘크리트 피로데이터의 분산성으로 인하여 보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 두 가지의 해석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으며, 그래픽방법, 모멘트방법 및 최우도법에 의해 2-모수 Weibull의 매개변수 $\alpha$와 u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확률밀도함수(P.D.F)와 누적분포함수(C.D.F)를 도시하였다. 또한, Weibull의 확률분포함수를 이용한 신뢰성 해석은 Kolmogorov-Smirnov의 방법을 사용하여 $5\%$의 유의수준에서 적합도 검정을 수행한 결과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쪼갬인장피로실험과 휨인장피로 실험에 대한 피로모델을 제시하고 응력수준에 따른 피로수명과 200만회 및 1,000만회에서의 피로강도를 산정하여 제시하였으며 국외의 주요 피로모델과 비교하였다.

5급 와동에서의 수종 접착 시스템의 결합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variable adhesive systems to Class V cavity)

  • 권정미;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04
  • 이 연구는 발거 소구치에서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접착 시스템 및 와동 위치에 따른 상아질에 대한 접착시스템의 미세 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였다. 접착방법은 resin-modified glass ionomer(Gl), compomer(부식여부에 따라 DE 및 DN군으로 분류), 그리고 상아질 접착제인 Single Bond(SB) 및 Cleayfil SE Bond(SE)와 복합레진(Clearfil AP-X)을 사용한 5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소구치 협측 치경부에 wedge형태의 와동을 형성하고 5종의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적용, 충전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고, One-way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하였다. SEM 검사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시편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상아질 접착제 및 복합레진(SB, SE)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GI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치은측이 교합측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CI, DE, SE에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Compomer에서 conditioning 여부(DN, DE)에 따른 변화는 치은측에서만 유의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 관찰에서, 교합측의 상아세관은 결합 계면과 평행하게 주행하였고, 치은측에서는 결합계면에 수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폴리에틸렌 섬유 종류에 따른 고로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역학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Slag-Based Cementless Composites According to Types of Polyethylene Fibers)

  • 진정언;최정일;박세언;이방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43-25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장강도 및 형상비가 다른 폴리에틸렌 섬유가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섬유 종류 및 물-결합재비를 달리한 세 가지 배합을 준비하였고, 밀도 실험, 압축강도 실험 및 일축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갖지만 인장강도가 10 % 낮고, 형상비가 8.3 % 높은 폴리에틸렌 섬유를 사용한 경우 복합재료의 인장변형성능과 인성이 각각 11.7 %와 12.4 % 높고 균열폭은 9.1 % 작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한 폴리에틸렌 섬유를 사용한 경우 물-결합재비가 증가하여 복합재료의 강도가 낮지만 인장변형성능과 균열패턴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폭시 복합재료의 강화에 사용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개선에 미친 전단혼합의 영향 (Effects of Shear Mixing on the Dispersion Improvement of Carbon Nanotube Fillers in Epoxy Composites)

  • 구민예;이교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385-4391
    • /
    • 2012
  • 본 연구는 전단혼합과 초음파 처리를 통해 충전재의 분산을 증대시켜 복합재료 시편을 만들고, 분산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이용하며, 인장실험을 통해 기계적 물성치를 측정하고 고찰하였다. 초음파 처리와 전단혼합 시간 증가를 통해서 개선된 공정으로 만들어진 시편의 경우, 충전재 분산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인 SEM 이미지와 정량적인 평가인 인장시험 데이터의 상호 보완을 통해 충전재의 복합재료 수지 내에서의 적절한 분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인장강도의 측정 결과에서는 충전재가 함유된 모든 시편이 Pure Epoxy 시편 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보였는데, 충전재 0.6wt%에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나타냈다. 0.9wt%와 1.2wt% 시편은 Pure Epoxy 시편보다는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지만 0.6wt% 시편보다 작은 값을 보였다. 인장강성 측정 결과는 충전재의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처짐과 균열폭에 대한 인장증강효과의 영향 (Influence of Tension Stiffening Effect on Deflection and Crack Width in RC Members)

  • 최승원;양준호;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61-768
    • /
    • 2010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과 균열 사이 단면의 콘크리트는 부착에 의해 인장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철근의 변형은 줄어든다. 이러한 현상을 인장증강효과라 하고, 처짐 및 균열폭과 같은 사용한계상태의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균열 사이의 복잡한 변형률 분포 때문에 사용성한계상태의 검증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일반적으로 평균 변형률을 사용하여 처짐과 균열폭을 산정하고 있다. EC2에서는 1차식 및 2차식 형태의 인장 증강효과를 사용하여 평균 곡률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처짐량을 산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휨부재에 대하여 인장증강효과에 대한 다양한 모델을 적용하여 처짐과 균열폭을 산정하고 EC2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2차식 형태의 인장증강효과를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실험 결과에 더 부합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해석의 일관성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조건이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와 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ensile properties and color of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film)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8-422
    • /
    • 2000
  • 생분해성이며 가식성 어분 단백질 필름을 가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명태어분 단백질 필름의 가공조건에 따른 인장강도, 신장률 및 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어분단백질 용액의 캐스팅량이 증가할수록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증가하였다 반면 glycerol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명태어분단백질 용액의 pH가 낮을수록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떨어졌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인장강도는 sorbitol, polyethylene glycol 및 glycerol 첨가 필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장률은 polyethylene glyc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고 sorbitol 및 glycerol 첨가 필름은 서로 비슷하였다. 명태어분단 백질 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필름의 인장강도도 증가하였으나, 신장률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대습도를 달리하여 필름을 저장한 결과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고 신장률은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가 필름의 색에 미치는 효과에서 L(밝기)과 b (황객도)는 sorbit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고, a (적색도)와 전체적인 색의 차이 (${\delta}E$)는 polyethylene glyc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