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 단위

Search Result 1,0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Continuous Digits Speech Recognition using Probabilistic Models (확률적 모델을 이용한 연속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Lee Ju-Sung;Lee Seong-Kwon;Kim Soon-Hyo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09-112
    • /
    • 1999
  • 본 연구는 음소 단위의 CHMM(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 음성인식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실 환경에서 음성으로 전화를 걸기 위하여 연속 숫자음 인식을 수행하였다. ETRI 445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기의 모델은 ML(Maximum Likelihood) 추정법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적응화를 위해 최대 사후 확률 추정법을 사용하였다. 연속 숫자음의 인식을 위하여 한국어 숫자음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발성 사전을 작성하였고, 음절 단위로 되어있는 한국어 숫자음의 모든 경우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단어를 사전에 등록하였다. 또한 숫자음의 알 뒤 연음현상을 고려하여 작성한 21 종류의 7자리 숫자음과 이를 음절 단위로 세그먼트한 숫자음을 DB로 사용하여 적응화를 수행하였다. 이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ETRI에서 작성한 35종류의 4연속 숫자음 목록을 대상으로 인식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Korean speech recognition based on grapheme (문자소 기반의 한국어 음성인식)

  • Lee, Mun-hak;Chang, Joon-Hyu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5
    • /
    • pp.601-606
    • /
    • 2019
  • This paper is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in the Korean using grapheme unit (Cho-sumg [onset], Jung-sung [nucleus], Jong-sung [coda]). Here we make 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out G2P (Grapheme to Phoneme) process and show that Deep learning based ASR systems can learn Korean pronunciation rules without G2P process. The proposed model is shown to reduce the word error rate in the presence of sufficient training data.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based on ELECTRA with CRFs (ELECTRA-CRFs 기반 한국어 개체명 인식기)

  • Hong, Jiyeon;Kim, Hyunwoo J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73-476
    • /
    • 2020
  • 개체명 인식에 적용된 대부분의 신경망 모델들에서 CRFs와 결합을 통해 성능 향상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대용량 데이터로 사전 학습한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 기 학습된 많은 유의미한 파라미터들로 인해 CRFs의 영향력이 비교적 작아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말뭉치로 사전 학습한 ELECTRA 모델에서의 CRFs 가 개체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모델의 입력 단위로 음절 단위와 Wordpiece 단위로 사전 학습된 두 가지의 모델을 사용하여 미세 조정을 통해 개체명 인식을 학습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두 모델에 대하여 각각 CRFs 층의 유무에 따른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로 ELECTRA 기반으로 사전 학습된 모델에서 CRFs를 통한 F1-점수 향상을 보였다.

  • PDF

On the Use of a Parallel-Branch Subunit Mod디 in Continuous HMM for improved Word Recognition (연속분포 HMM에서 평행분기 음성단위를 사용한 단어인식율 향상연구)

  • Park, Yong-Kyuo;Un, Chong-K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E
    • /
    • pp.25-32
    • /
    • 1995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use a parallel-branch subunit model for improved word recognition. The model is obtained by splitting off each subunit branch based on mixture component in 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continuous HMM).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odel yields higher recognition rate than the single-branch subunit model or the parallel-branch subunit model proposed by Rabiner et al[1]. We show that a proper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mixture components and the number of branches for each subunit results in increased recognition rate. To study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the speech material used in this work was a vocabulary with 1036 Korean words.

  • PDF

A Study on Character Recognition using Connected Components Grapheme (연결성분 자소를 이용한 문자 인식 연구)

  • Lee, K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57-1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글 문자 인식을 수행하였다. 한글 인식을 수행하되 고딕 인쇄체 문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소 단위 인식을 통한 인식을 수행하되 기존 한글 문자 인식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음과 모음 단위의 자소가 아닌 연결성분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새로운 자소를 이용하였다. 새로운 자소들은 끝점, 2선 모임점, 3선 모임점, 4선 모임점의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에 의해 자소를 인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자소를 인식하게 하였다. 또한 연결 성분을 반영한 새로운 자소로 고딕 인쇄체 문자를 인식하므로 추출된 자소를 6가지로 분류하였고, 6가지 자소에 의해 구성되는 92가지 문자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문자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자소의 무게 중심을 이용한 분포를 이용하여 제안된 구조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문자인식을 수행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Phone-Like Units for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잡음환경하의 연속 음성인식을 위한 유사음소단위 분석)

  • Shen Guang-Hu;Lim Soo-Ho;Seo Jun-Bae;Kim Joo-Gon;Jung Ho-Youl;Chung Hyun-Y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23-126
    • /
    • 2004
  • 본 논문은 잡음환경 하에서의 효율적인 문맥의존 음향 모델 구성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잡음환경 하에서의 유사 음소단위 수에 따른 연속 음성인식 성능을 비교, 평가한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기존의 연구[1,2]로부터 연속음성 인식의 경우 문맥종속모델은 변이음을 고려한 39유사음소를 이용한 경우가 48유사음소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좋은 인식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잡음환경에서도 효율적인 문맥 의존 음향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잡음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White, Pink, LAB 잡음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5dB, 10dB, 15dB 레벨로 음성에 부가한 후 각 유사음소단위 수에 따른 연속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9유사음소를 이용한 경우가 48유사음소를 이용한 경우보다 clear 환경인 경우에 약 $7\%$$17\%$ 향상된 단어인식률과 문장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각 잡음환경에서도 39유사음소를 이용한 경우가 48유사음소를 이용한 경우보다 평균 적으로 $17\%$$28\%$ 향상된 단어인식률과 문장인식률을 얻을 수 있어 39유사음소 단위가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에 더 적합하고 잡음환경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honeme-Boundary-Detection and Phoneme Recognition Research using Neural Network (음소경계검출과 신경망을 이용한 음소인식 연구)

  • 임유두;강민구;최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224-229
    • /
    • 1999
  • In the field of speech recognition, the research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one which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phoneme-level recognition system, the other with the efficiency of word-level recognition system. The resonable phoneme-level recognition system should detect the phonemic boundaries appropriately and have the improved recognition abilities all the more. The traditional LPC methods detect the phoneme boundaries using Itakura-Saito method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LPC of the standard phoneme data and that of the target speech frame. The MFCC methods which treat spectral transitions as the phonemic boundaries show the lack of adaptability.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speech recognition system which uses auto-correlation method in the phonemic boundary detection process and the multi-layered Feed-Forward neural network in the recognition process respectively.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s the traditional methods in the sense of adaptability and another advantage of the proposed system is that feature-extraction part is independent of the recognition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frame-unit phonemic recognition system should be possibly implemented.

  • PDF

A Continuous Digits Speech Recognition Applied Vowel Sequence and VCCV Unit HMM (모음열과 VCCV단위 HMM을 이용한 연속 숫자 음성인식)

  • Youn Jeh-Seon;Chung Kwang-Woo;Hong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5-2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조음 효과에 대처할 수 있는 반음절, 반음절 + 반음절 단위 HMM과 모음열 정보를 적용하여 연속 숫자 음성인식을 구현하였다. 모음열 정보를 적용하여 기준모델을 모음이 포함된 HMM단위로만 구성한 시스템과 모든 기준모델과 비교하는 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인식실험결과 인식률의 향상으로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Extension of K-L Dynamic Parameter for Connected Digit Recognition (숫자음 인식을 위한 K-L 동적 특징파라미터의 확장)

  • 김주곤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57-261
    • /
    • 1998
  • 일반적으로 인식률이 저조한 연속 숫자음의 인식 정도 향상을 위해서 K-L 동적특징의 확장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 검토결과를 4연속 숫자음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 실험을 수행하여 숫자음 인식에 있어서 확장된 K-L 동적특징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자료는 국어공학센터에서 채록한 4연속 숫자음을 사용하며, 확장한 K-L 동적특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일 특징 파라미터로서 멜-켑스트럼과 회귀계수, K-L 동적계수 등과 이들 특징 파라미터를 결합한 경우에 대해서 특징파라미터를 확장하여 K-L 동적 특징을 추출하고, 4연속 숫자음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인식의 기본 단위로는 48개의 유사음소단위를 음소모델로 사용하였으며, 인식실험에 있어서는 유한 상태 오토마타에 의한 구문제어를 통한 OPDP 법을 이용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단일 특징파라미터로서 멜-켑스트럼을 사용한 경우 67.5%, 이를 확장한 K-L 동적계수를 사용한 경우 78.2%를 보였다. 또한 결합한 특징파라미터에 있어서는 멜-켑스트럼과 희귀계수를 사용한 경우 78.4%의 인식률을 보였으며, 이를 K-L 동적계수로 확장한 경우 82.3%의 인식률을 얻어 확장한 K-L 동적특징파라미터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Research on Recognition Network Structures for Non-recognition Sentence Rejection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 기능을 위한 음소 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이병혁;하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72-774
    • /
    • 2004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비인식 대상에 대한 거부기능은 신뢰도 보장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비인식 대상의 단어 거부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문장 거부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기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음소 기반 네트워크에 유성자음(VC), 무성자음(C), 모음(V) 단위의 필러 음향 모델을 생성하여 다양한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방법을 적용하여 비인식 대상 문장에 대해 거부 기능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인식률과 거부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인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제안한 3가지 음소단위 인식 네트워크 중 문장의 각 단어별 필러 모델을 구성했을 때가 가장 좋은 구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