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기능

Search Result 3,38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ontext-Awareness Self-healng System for System Reliabilit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시스템 신뢰성을 위한 상황 인식형 자가 치유 시스템)

  • Lee, Mi-Seon;Park, Jeong-Min;Lee, Eun-So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03-405
    • /
    • 2005
  • 오늘날 대부분의 분산 컴퓨팅 환경들은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분산 환경위에 동작하는 시스템들은 문제 발생시 원인의 진단과 치유에 소비되는 시간이 높다. 이에 유비쿼터스환경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들의 문제나 장애의 자가 진단 및 치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자가 치유 시스템에서 연구되어왔던 일률적인 치유가 아닌 각각의 시스템의 상황을 인식하고 그것에 맞추어 치유전략을 달리하는 상황인식 기능과 치유 결과 분석을 통해 치유전략을 자발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 시스템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입증하고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iddleware and Context Server for Handling Context-Awareness (상황인식 처리를 위한 미들웨어 및 컨텍스트 서버의 설계 및 구현)

  • 김용기;김영국;심춘보;장재우;김정기;박승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139-141
    • /
    • 2004
  •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환경과 사용자간 흑은 사용자와 장치간의 상호 운용성을 지능적,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지원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 획득 및 실행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상황인식 기술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미들웨어 및 컨텍스트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먼저 미들웨어는 블루투스 (Bluetooth)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성을 지닌 이동 노드를 발견하고, 컨텍스트 서버에 등록하여 해당 컨텍스트에 적합한 실행 모듈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컨텍스트 서버는 주어진 원격 객체의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상태 물리적 환경의 상태 등의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응용 시스템을 통해 제안하는 미들웨어와 컨텍스트 서버의 유용성을 보인다.

  • PDF

Design of User Intention Analysis and Recognition System for Brain-Computer Interfaces (Brain-Computer Interface를 위한 사용자 의도 분석 및 인식 시스템 설계)

  • Shin, Jaewan;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73-1675
    • /
    • 2013
  • 인간 활동의 전 영역을 총괄하는 대뇌정보기능을 대표하는 뇌파는 대뇌피질에서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의학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지 사고 등의 역동적인 지식 활동, 다양한 감성 행동, 및 고차원적인 정신활동까지도 뇌파 분석을 통해서 어느 정도는 기계적인 인식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인간 중심의 시스템을 위한 핵심 연구로서 뇌파 신호 분석에 의한 사용자 의도 인식 시스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서,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뇌파신호 분석 기법 및 자동 처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뇌는 부위별로 그 기능이 세분화 되어 있으며 의식 상태와 정신활동에 따라 뇌파가 수시로 변하면서 특정한 패턴을 갖는다. 이러한 뇌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밝혀내면 전자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다른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과학탐구에 대한 중등 초임교사의 인식: Hands-on, Minds-on, Hearts-on의 관점으로)

  • Park,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798-8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envisioned in science education reform, which is the main goal of science education at schools. Teachers'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influence their students' learning in the classroom, so it is significant to investigate teachers' views about the scientific inquiry. 126 beginning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asking teachers' view of general scientific inquiry, nature of science (NOS) and the relationship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30 minutes. Alternative views of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NOS and STS were emerged through data analysis with open coding syste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defined scientific inquiry as opportunities of 'Hands-On' and 'Minds-On' or its combination rather than 'Hearts-On'. However, teachers demonstrated the view of 'Hands-On' for the purpose of scientific inquiry and for teachers' roles in its implementation. The view of 'Hearts-On' about scientific inquiry was not identified. The naive view of NOS were identified more than informative one.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relationship of STS was released. The implication was made in teacher education, especially structured induction program for beginning teachers.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gument-Based Inquiry(ABI) Science Class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 Park, Jiyeon;Na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3
    • /
    • pp.337-3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3 9th grade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a middle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Observations were made over one semester during which argument-based inquiry lessons on five subjects were conducted. Data was collected from argument-based inquiry activity worksheets and student questionnaires. After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the written reflections,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pistemic metacognitive skills, followed by epistemic cognition, epistemic metacognitive experience, and epistemic metacognitive knowledge. While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on student epistemic thinking and after analysis of the reflections written for the first ABI activity and the fifth ABI activity, we found that all of the sub-elements of epistemic thinking have increased. The rate of growth for epistemic cognition is greatest, followed by epistemic metacognitive knowledge and epistemic metacognitive skills. Assessed for epistemic thinking, the level of epistemic thinking improved over the course of the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ing and being recognized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Therefore,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is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epistemic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construction through collaboration and agreement.

The Study for Estimation of Instream Flow to Improve Natural & Social Environment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연구)

  • Ko, Ick-Hwan;Kim, Gee-Hyoung;Woon, Seok-Young;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14-418
    • /
    • 2008
  • 하천유지유량에 대한 인식과 개념은 시대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변화되어 새로운 물 배분 패러다임에 입각한 하천유지유량이 정립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댐 건설 이후부터이며, 하구의 염수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수량을 정하면서 부터이다. 실제적인 하천유역의 관리에서 댐 건설 이전에는 하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하천유지유량의 설정 자체가 크게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유지유량의 주요 기능은 1960년대 이전에는 하천의 주운기능, 1970년대는 하구의 염수침입방지 기능, 1980년대는 수질보전을 위한 희석용수의 기능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로 수질과 함께 하천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유지유량과는 별도의 용수개념인 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의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에서 고려하는 항목은 갈수량을 기준으로 하고 하천기능 유지에 필요한 하천생태 및 하천수질 보전을 기본항목으로 하여 고려하도록 하며, 현실적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 검토시 부수적인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경관, 하구막힘 방지, 지하수위 유지, 하천시설물 보호, 염수침입 방지 등의 항목은 필요항목으로 구분하되 하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항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경우 감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수량의 산정은 반드시 유역 개발과 각종 유수사용, 수공구조물에 의한 유량 조절 효과가 없는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산정하도록 하고 어류생태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시 대표어종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단일어종보다는 생태적 군(Guild, 군(群))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최소유량의 개념보다는 계절별 유량변동성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수질보전에 필요한 필요유량 산정 목표는 생태계 서식 및 생육 환경의 보전과 인간의 물 이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목표수질을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하천유지유량 이외에 친수공간 확보, 물놀이, 관광, 하천문화행사 등 사회환경 개선을 위해 하천의 일부구간 또는 일부지역에 필요한 수량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혜대상 집단(지자체, 특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요구에 의해 발생되는 수량이므로 환경개선용수로 분류하여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advanced performance of Robot control using EEG Headset (EEG 헤드셋을 이용한 로봇제어 성능 향상 연구)

  • Ji, Sang-won;Hu, Young-in;Kim, Se-yeon;Jang, Wonang;Lee, Do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39-1141
    • /
    • 2014
  • 뇌파 수집과 분석을 위한 상용 장비인 모바일 헤드셋 Emotiv를 이용한 BCI 연구가 있었다. 특히 Emotiv에서 제공되는 학습기능을 사용한 사례들에서 다양한 패턴을 학습한 경우는 인식률이 떨어지고 학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본 논문에서는 Emotiv의 학습기능을 한 가지만 사용해서 인식률을 높이고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로봇을 4가지 방향으로 제어해서 원하는 경로로 이동가능 한 기능을 구현했다. 구현한 결과는 평균 85.67%를 보여 성공적이었다.

A Customized Mobile RSS Reader using TTS (TTS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모바일 RSS 리더)

  • Jung, Geun-seong;Han, Sungjae;Cha, Jaehyuk;Choi, By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42-1644
    • /
    • 2012
  • 기존의 모바일 기반 RSS 리더는 사용자의 이용 환경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과 불필요한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TTS와 같은 기능이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의 이용 환경에 맞는 실행 제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환경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RSS 리더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RSS 리더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대해서 직접적인 설정뿐만 아니라, 상황 인지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이것은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적합한 환경인지 자동으로 인식하여 선별적으로 TTS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RSS 리더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hole In The Wall Game for Growing Children Based on Kinect Sensor (Kinect Sensor 기반의 Whole In The Wall 게임 설계 및 구현)

  • Won Joo Lee;Sung Woon You;Hyun Jong Lee;Dong Hwan Lee;Hyun Seop 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75-7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 센서 기반의 모션 인식 게임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또래 나이들의 유대감 형성과 경쟁을 통한 성장을 위해 성장기의 어린이들의 경쟁심리를 높이고, 여러 동작을 활성화하여 Whole In The Wall 게임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 게임은 키넥트 센서 기반으로 모션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화면의 장애물을 피하는 행동을 취함으로써 벽을 통과하고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게임은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의 장애물과 집중하고, 빠른 판단력과 순발력, 경쟁심리를 향상함으로써 성장기 어린의들의 지적 기능을 향상시킨다.

  • PDF

The Design of the Real-Time Expert System for the Large-Scale SCADA System (대규모 SCADA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 Ko, Yun-Seok;Lee, Kee-Se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8.07a
    • /
    • pp.359-36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대규모 SCADA 시스템들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을 설계한다.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기관은 직관적 추론 기능과 논리적 추론기능이 연동되도록 설계한다. 직관적 추론기능은 패턴인식구조로, 논리적 추론기능은 휴리스틱에 근거한 심층추론을 통해 시스템 이벤트별로 다양한 시간제야조건을 만족하는 시스템 제어전략을 결정함과 동시에, 지식 생성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중 추론구조로 설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