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산화

검색결과 1,182건 처리시간 0.028초

패각을 이용한 인산칼슘계 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hosphatic calcium compounds using the shell resources)

  • 이인곤;김판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1-176
    • /
    • 2000
  • 패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고순도의 소석회와 탄산칼슘을 이용하여 인산1수소칼슘, 수산화아파타이트, 골회 및 인산3칼슘과 같은 인산칼슘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인산2수소칼슘은 고순도의 소석회와 인산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그리고 인산1수소칼슘을 출발원료로 하여 고상반응법에 의해 골회를 제조하였고 또 수열처리법을 이용하여 수산화아파타이트를 제조하였다. 인산3칼슘의 제조는 골회와 고순도의 탄산칼슘을 혼합한 뒤 고상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인산칼슘계 화합물에 대한 최적의 제고공정 및 제조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논 토양 인산가용화세균에 대한 개량제 시용효과 (Effects of Amendments on the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Rice Paddy Soils)

  • 서장선;노형준;권장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42-347
    • /
    • 2008
  •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유기산에 의해 난용성 인산염이 가용화되어 토양 용액 중으로 확산되면 식물 혹은 다른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논 토양을 대상으로 볏짚 퇴비, 석회, 규산 등의 개량제가 토양 인산 가용화균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산가용화 균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논 토양 호기성 세균에 대한 인산가용화 세균의 비율은 석회, 규산 및 퇴비를 함께 시용한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논 토양에서 분리된 인산가용화 세균은 Aquaspirillum, Arthrobacter, Bacillus, Flavobacterium, Micrococcus, Micromonospora, Pseudomonas속 등이었으나 가장 많이 분리된 균은 Bacillus속이 그 다음으로는 Pseudomonas속이 우점하였다.

간상피세포에서 BHT와 propyl gallate에 의한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억제 효과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Rat Liver Epithelial Cells Induced by BHT and Propyl Gallate)

  • 김지선;김성란;안지윤;하태열;강경선;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58-5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세포인 간상피세포를 이용하여 BHT와 PG가 GJIC에 미치는 효과 및 그 작용 기전을 살펴보았다. BHT와 PG를 WB-F344세포에 각각 1.0mM, 0.75mM 이상 처리한 결과, 세포 생육이 80%이하로 저하되어 세포 독성을 보였고, BHT와 PG의 GJIC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보다 낮은 농도인 0.6mM, 0.1mM에서 나타났으며 처리에 따른 Cx43 단백질의 발현 및 인산화를 측정한 결과, BHT와 PG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Cx43의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Cx43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된 MAP kinase는 주요 biomarker인 ERK, p38, JNK의 발현 및 인산화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ERK와 p38의 인산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B-F344세포에 BHT와 PG의 처리가 세포독성을 나타내기 전 농도에서 GJIC의 억제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MDA 수용체 아단위 2B의 Tyrosine 인산화 위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 Potential 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on the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 Il Soo Moon;Yong Wook Jung;Bok Hyun Ko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54-659
    • /
    • 1998
  • NR2B는 연접후 치밀질의 주요 tyrosine 인산화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mass spectrometry 방법을 적용하여 NR2B의 tyrosine 인산화 위치를 동정하였다. NR2B를 N-octyl glucoside (NOG)에 용해되지 않는 PSD 분획으로부터 SDS-PAGE와 electroelution방법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을 NR2B와 phos-photyrosine에 특이한 항체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phosphotyrosine을 유지하고 있는 NR2B임이 확인되었다. 이 단백질을 trypsin 혹은 endolys-C 처리하고,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Tyr-1304이 인산화됨을 확인하였다.

  • PDF

근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 : 근세포 분화에 있어서 Protein Kinase C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of Skeletal Muscle Cells in vitro:Protein Kinase C in the Differentiation of Skeletal Muscle Cells)

  • 최원철;김한도;김정락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141
    • /
    • 1991
  • TPA나 PDGF를 처리로 인한 Protein Kinase C의 신호전달은 힌산화에 의해 일어난다. 그렇지만, PKC에 의해 인산화 되어지는 targeting protein은 TAP나 PDGF 처리시에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단백질들이 인산화가 되어졌다. TPA처리한 myoblast에서 분자량 20,000의 단백질이 인산화되었다. PDGF처리한 세포에서는 분자량 40,000의 단백질이 인산화된 반면에 TPA처리로 인산화 되었던 분자량 20,000의 단백질은 탈인산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TPA와 PDGF가 신호전달계의 활성에 있어서 다를 뿐만 아니라 그들은 장시간의 처리동안 PKC의 down regulation에 관계되어 짐을 암시한다. 그러나 PDGF는 TPA의 경우에서 보다 빠른 down regulation을 유도하였다. 면역세포 화학적인 연구에서 PKC의 동위효소인 PKC II는 세포질에, PKC III는 세포질과 인에 각각 분포하고 있었다. Myoblast에 있어서 PCK두가지 형태의 동위효소의 발현은 이들 동위효소들이 signal transduction이나 down regulation의 각기 다른 경로에 개입되어 진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alpha}$-독으로 처리한 토끼창간막동맥에서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대한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 (The Role of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on the Norepinephrine and GTP-Increased Myosin tight Chain Phosphorylations in Rabbit Mesenteric ${\alpha}-toxin$ Permeabilized Artery)

  • 안희열;김헌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116
    • /
    • 1994
  • 수용체작동약물과 GTP에 의한 수축단백질의 칼슘이온의 감수성의 증가에 대하여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을 ${\alpha}$-독으로 처리한 토끼장간막동맥에서 조사하였다. $0.3\;{\mu}M$의 칼슘이온은 마이오신의 인산화를 시간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5분 이후부터 평형에 도달하였다. 한편, $10\;{\mu}M$의 norepinephine과 $10\;{\mu}M$의 GTP는 칼슘이온 존재하에 칼슘이온 단독에 의한 것 보다 더 마이오신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는데, 5분 후에 최대에 달하였고 그 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20분 후에는 칼슘이온 단독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 증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억제제인 KN-62를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 증가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10\;{\mu}M$ KN-62는 1분에서 norepinephrine과 $10\;{\mu}M$ GTP에 의한 마이오신의 인산화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그러나 5분에서 관찰되는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의 최대치에는 영향이 없었고 그 이후에도 KN-62는 아무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때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하여 일어나는 평활근 수축단백의 칼슘이온의 감수성의 증가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기인하며 이 증가는 일과성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은 시간의존적으로 norepinephrine과 GTP의 자극 초기에 관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후에는 관여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CF-7 유방암세포에 있어서 growth factor에 의해 유도된 막 단백질의 인산화에 대한 폴리아민의 조절 (Polyamines Modulate Growth factor-Induced Membrane Protein Phosphorylation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 이지영;김지현;이경희;김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4-172
    • /
    • 2002
  • 유방암세포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수용체를 가지며, 이를 통해 성장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용체들의 신호전달 경로에 있는 공통적인 2차전달자들의 조절기작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MCF-7 cell에 있어서, 에스트로젠과 TGF-$\alpha$ , EGF와 같은 성장인자의 mitogenic signal을 전달하는 second messenger에 폴리아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에 폴리아민이 어떤 조절기작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폴리아민 생합성 억제제인 DFMO는 154, 134, 116, 104 kDa의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DFMO에 의해 억제된 단백질 인산화는 폴리아민 첨가로 다시 회복 되었다. $E_2$, TGF-$\alpha$, EGF, DFMO는 모두 단백질의 타이로신 인산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처리해준 폴리아민에 의해 154, 134, 116 kDa의 단백질의 타이로신 인산화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E_2$, TGF-$\alpha$, EGF는 모두 같은 단백질에서 유사하게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E_2$와 TGF-$\alpha$, EGF와 같은 성장촉진인자의 signaling pathway는 154, 134, 116, 104 kDa 단백질을 기질로 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protein kinase를 통해서 서로 cross-talk하고 있으며, 폴리아민은 154, 134, 116, 104 kDa와 같은 여러 가지 membrane-associated proteins의 인산화를 조절함으로서 이러한 cross-talk pathway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N-아세틸글루코사민 인산화효소 기질단백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ubstrates of N-acteylglucosamine Kinase by a Proteomic Approach)

  • 이현숙;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86-594
    • /
    • 2013
  • 단백질 번역 후 O-GlcNAc 수식은 단백질 조절의 새로운 기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통적인 당수식과 달리 O-GlcNAc 수식은 단 한번의 O-GlcNAc 전달로 이루어지며, 핵 및 세포질단백질 모두에 수식될 수 있다. O-GlcNAc은 이 분자를 끝으로 하는 최종수식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의 논문(J Proteome Res. 2011 10:2725-2733)은 AP180 단백질에 O-GlcNAc-P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이 논문은 O-GlcNAc-P가 일반적인 단백질수식인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이에 답하고자 저자들은 HEK293T 세포에 O-GlcNAc 인산화효소 NAGK를 DsRed2에 연결한 DsRed2-$NAGK_{WT}$ 혹은 효소활성이 없는 돌연변이 NAGK를 표현하는 DsRed2-$NAGK_{D107A}$를 표현시키고, 단백질 추출물을 얻어 2D-PAGE로 분리한 후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여, $NAGK_{WT}$에 의하여 인산화가 증가되는 15개의 단백질 스폿을 선별하였다. 이 가운데 7개 스팟을 동정한 결과 2개의 스폿은 O-GlcNAc 수식 단백질인 $HSP90{\beta}$, 다른 2개의 스폿도 O-GlcNAc 수식 단백질인 ENO1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dUTP nucleotidohydrolase mitochondrial isoform 2, glutathione S-transferase P, grp94)는 O-GlcNAc 수식 여부를 아직 모르는 단백질이였다. NAGK에 의하여 O-GlcNAc 단백질의 인산화가 증가된다는 사실은 O-GlcNAc이 인산화되어 O-GlcNAc-P로 수식됨을 시사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O-GlcNAc이 최종 수식이 아님을 지지한다.

칼슘/calmodulin-의존적 단백질 인산화 효소 II의 동물세포 주기에 따른 활성도 변화에 관한 연구 (Cell Cycle-Dependent Activity Change of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 서경훈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7
    • /
    • 1997
  • 칼슘/calmodulin-의존적 단백질 인산화 효소 II (CaMK-II)는 세포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을 인산화시키는 효소이다. 세포 내부의 칼슘의 농도는 세포의 주기에 따라 변하므로 CaMK-II의 활성도 역시 세포주기에 따라 변하는 지를 조사함으로 세포주기에서의 CaMK-II의 역할을 알아보려 하였다. NIH3T3 세포를 CaMK-II의 활성도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여러 가지 약제로 처리하여 세포주기상의 특정한 시점에 동일하게 정지시킨 후, 세포내의 CaMK-II 활성도를 합성 펩타이드기질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일정 시점으로부터 동조화된 세포내의 CaMK-II의 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 세포주기 동안 효소의 활성도 변화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세포주기상 각각 G0, G1, G1/S, G2/M기에 정지된 세포내의 CaMK-II 총활성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M기에서는 낮았다. 그러나 자가인산화에 의한 CaMK-II의 칼슘-비의존성 활성도는 M기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양상은 G1기에서부터 동조화된 세포내 CaMK-II의 칼슘-비의존성 활성도 변화 양상과도 일치하였다. CaMK-II의 생리학적 의미를 지닌 활성도는 인산화에 의한 calcium-비의존성 활성도임을 비추어 볼 때 M기에서 CaMK-II가 세포분열의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PI3K, Akt, p38을 포함한 인산화단백질에 대한 Cordycepin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rdycepin on Phosphoproteins including PI3K, Akt, and p38)

  • 권혁우;이동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9-107
    • /
    • 2017
  • 진균 속에 속하는 종인 Cordyceps는 중국의 전통약제로서, 그 유효성분인 cordycepin이 혈소판 응집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phosphoprotein 조절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cordycepin이 fibrinogen binding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I3k/Akt와 $TXA_2$ 분비 및 과립방출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38와 같은 phosphoprotein의 인산화를 어떻게 조절하며 혈소판응집을 억제시키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ordycepin가 $261.1{\mu}M$$IC_{50}$으로 collagen이 유도한 혈소판 응집을 강력하게 억제하였고, PI3K와 Akt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며 ${\alpha}IIb/{\beta}_3$에 대한 fibrinogen 결합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cordycepin은 collagen이 촉진시킨 p38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과립방출의 지표인 ATP 과 serotonin의 방출을 억제하였고 COX-1과 TXAS의 활성 및 $PLC-{\gamma}_2$ 인산화에 대한 영향없이 $TXA_2$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cordycepin은 PI3K/Akt, p38와 같은 phospho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혈소판 응집억제를 나타내는 항혈전 치료 및 예방약물로서 유용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