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산화

검색결과 1,182건 처리시간 0.027초

CTD 탈 인산화 효소의 기능과 역할 (Emerging Roles of CTD Phosphatases)

  • 김영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0-381
    • /
    • 2017
  • 단백질 탈 인산화는 단백질 탈 인산화 효소에 의해 매개되는 과정으로 세포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 탈 인산화 효소 중에서 최근 CTD (carboxy-terminal domain) 탈 인산화 효소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 이 효소의 그룹에는CTD 탈 인산화 효소 1(CTD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1(CTDS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2(CTDSP2),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CTDSPL),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 2(CTDSPL2), CTD 핵 탈 인산화 효소(CTDNEP1) 및 유비퀴틴 유사 도메인 함유CTD 탈 인산화 효소 1(UBLCP1)들이 존재한다. CTDP1은 RNA 중합 효소 II (RNAPII)의 CTD의 두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키고, CTDSP1, STDSP2 및 CTDSPL은 RNAPII의 CTD의 다섯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킨다. 그리고 CTDSP1은 SMAD들, CDCA3, Twist1, 종양억제 단백질인 PML, c-Myc과 같은 새로운 기질을 탈 인산화 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CTDP1은 유사 분열 조절 및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다. CTDSP1, CTDSP2 및 CTDSPL은 종양 억제 기능 및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CTDNEP1은 LIPIN1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막 형성과 관련이 있다. CTDSPL2는 조혈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UBLCP1은 26S 프로테아좀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 프로테아좀 활성 조절과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은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으며, 이 리뷰는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롭게 밝혀진 역할들을 요약하고자 정리한 것이다.

분열유발인자에 의한 흰쥐 림프구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ed Proteins of Mitogen Stimulated-Rat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 주일로;고성수;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1993
  • 흰쥐 말초 T림프구에 분열유발 물질인 PMA와 Con A를 투여하여 인산화되는 단백을 확인하고, PKC 억제제인 H-7, CaM kinase 억제제인 W-7을 전처치한 후의 인산화 변동과 시간 경과에 따른 인산화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흰쥐 T림프구를 PMA로 자극하면 5개의 인산화 단백이 새로이 나타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 되었으며, Con A자극으로는 1개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 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MA 및 Con A자극으로 인산화 되는 13개 단백은 kinase억제제 전처치에 의하여 3군으로 각각 구분되며, H-7 전처치로 24 kDa/pI 7.1, 24/7.2, 26/6.1, 74/6.2 단백의, W-7 전처치로 14 kDa/pI5.9, 28/6.8, 29/6.9, 28/7.0, 44/6.8, 58/6.2 단백의 인산화가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18 kDa/p1 5.4, 25/7.3 및 54/5.2단백은 두 억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인산화 단백은 대부분 세포의 soluble fraction에서 확인되며 자극후 반응 초기에 인산화 된 후 인산화가 감소하나, 침전물에서 관찰되는 소수의 인산화 단백은 지속적인 인산화를 보였다. 한편 Kinase 억제제 처리에 의하여 구분된 3군에 속하는 단백들의 시간에 따른 인산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각 군에 따른 인산화 양상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림프구 활성의 초기 단계에서 인산화 되는 단백에는 PKC, CaM kinase 및 다른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되는 3종류의 단백이 존재하며, 3종류의 kinase의 활성은 단계적인 활성이 아니라 독립적 또는 상호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림프구 활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견 피브로인의 인산화와 그 특성 (Phosphorylation of silk fibroin and its properties)

  • 문장희;김정호;배도규;신봉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6-124
    • /
    • 2001
  • STMP로 견 피브로인을 인산화 시키는 반응에서, 처리 조건별로 실험하여 적정 조건을 구하였고, 인이 결합되는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 FT-IR과 $^{31}$ P NMR분석을 행했고, 인산화된 견 피브로인의 특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 피브로인을 STMP로 인산화 시킬 때, 알칼리도가 클수록,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인산화 정도가 증가되었다 2.처리시간에 따른 인산화 정도는 1hr까지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1hr 이후에는 서서히 증가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인산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3. STMP 농도에 따른 인산화 정도는 50%까지는 급격히 증가되지만, 100% 이상에서는 증가가 미약하였다 4. 인산화된 견 피브로인의 FT-IR분석에서, 각 시료는 ∝-helix에 가까운 형태이었고, 아미노기에 의한 인산화 반응(phosphoramidation)은 고려되지 않았다 5. $^{31}$ P NMR분석 결과에서는 인산화가 polyphosphate형태로 되어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6. 인산화가 많이 될수록 탁도와 거품팽창성, 그리고 거품안정성은 증가하였으며, 용해도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처리 시료에 비해 거품팽창성은 1.6배, 거품안정성은 2배로 증가하였다. 7. 유화력는 시료 P100 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상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유화안정성은 인산화 정도가 많이 될수록 증가하였다. 유화력은 최고 18%, 유화안정성은 21%가 증가되었다.

  • PDF

퇴비화 과정 중 인산의 가용화와 무기태 인산의 변화 (Changes and Availability of Inorganic Phosphate during the Composting (Pig Manure))

  • 이유리;이종은;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27-128
    • /
    • 2003
  • 본 연구는 퇴비화 과정 중 난용성 인산의 가용화와 무기태 인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비료와 퇴비중의 인산형태는 다른 성분들보다 토양에 흡착 또는 고정되거나 불용화 되는 양이 많아 작물의 흡수량이 적다. 시비된 인산의 흡수율은 낮고, 그 대부분은 난용화되기 때문에 토양에 축적되거나 세탈과 용탈에 의해 수질을 오염화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퇴비화 과정중의 인산형태별 함량변화를 분석조사하여 작물에 시비되는 인산비료와 퇴비의 시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인산의 과잉 시비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돈분을 원료로 한 퇴비화 과정에서 단계별로 퇴비시료를 채취하여 총인산(T-P), 유효인산(Avail. -P)과 무기태인산분획별(Ca-P, Al-P, Fe-P)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적더미의 초기부피는 570L였으며, 약 2개월간의 퇴비화를 통해서 시료채취와 미생물등의 분해작용으로 최종부피는 430L정도로 감소하였다. 이는 초기의 부피보다 25% 감소하였다. 퇴적더미의 분해로 인한 용적밀도의 변화를 고려하면, 총인산 함량은 초기 약 17,500mg/kg에서 최종시료는 22,500mg/kg로 증가되었다. 또한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산의 가용태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초기의 유효인산이 4,500mg/kg에서 최종시료에서는 8,900mg/kg으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무기태 인산분획별 인산의 형태별 변화를 조사한 결과, 퇴비화 과정 중 Ca-P의 경우 pH와의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유기물분해를 통해 유리된 인산과 Ca은 난용태로 전환되는데, 초기의 약 10일 동안 Ca-P의 감소원인은 pH의 감소로 인한 Ca이 유리되는 정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초기 Ca-P형태의 인산함량은 11,900mg/kg으로 Fe-P와 Al-P보다 많았다. 또한 퇴비화가 안정화되어 부숙된 최종시료의 무기태 인산분획물 중 Ca-P는 18,000mg/kg로 증가하였으며, Ca-P>Al-P>Fe-P의 순 이었다. 그러나 Al-P와 Fe-P 형태의 무기태인산은 초기의 함량비율보다 다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퇴비화과정 중 단계별 인산함량의 형태전환을 분석한 결과 총인산의 함량은 퇴비화가 안정화될수록 부피감소로 인한 인산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기물질의 분해로 인한 원료내 인산의 형태가 불용태와 난용태에서 가용태 인산으로 전환되는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무기태 인산분획물에서는 Ca-P 인산형태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Fe-P와 Al-P는 분해된 유기물의 킬레이트작용으로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며, 그 존재형태가 경쟁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학비료와 퇴비의 시용이 병행될 경우에는 퇴비의 가용태 인산함량뿐만 아니라 무기태 인산의 함량을 분석한 후 인산질비료의 시비량을 조절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슐린의 신호전달 기전 : Transcription Factor AP-1 의 역활

  • 김성진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17-21
    • /
    • 1995
  • 대부분의 인슐린의 작용들은 인슐린 수용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인슐린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수용체 고유의 tyrosine kinase 효소활성의 증가를 유발시키며, 결과적으로 세포내에 존재하는 기질 단백질, IRS-1, 의 tyrosine 잔기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후, 여러 형태의 serine / threonine protein kinase 의 연속적인 활성화가 일어난다. 이들에 부가해서, 인슐린의 효자는 세포핵 내에까지 전달되어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 같은 세포핵 고유의 활동에도 관여한다. 현재, 세포막에서 시작된 인슐린의 신호들이 세포핵까지 전달되는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MAP Kinase 와 S6 Kinase 그리고 Transcription Factor AP-1의 중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유전자 조절 기전에는 핵단백질인 transcription factor의 인산화 반응이 큰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 AP-1. transcription factor 의 인산화 반응이 인슐린의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요약하면, AP-1 transcription factor의 구성원인 c-Jun, c-Fos 그리고 Fos 관련 단백질들의 인산화가 인슐린에 의해 증가되며, 동시에 그들의. DNA-binding activity 와 유전자 발현의 활성이 증가됨을 밝힘으로써, AP-1 transcription factor의 인산화 반응이 인슐린의 핵 내에서의 작용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AP-1 의 인산화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핵 protein kinase로서 Casein Kinase II 의 중요성이 밝혀졌다.

  • PDF

PHOSPHODIESTERASE 억제제 (PDE-1), SODIUM NITROPRUSSIDE, AMITRIPTYLINE, 및 CHLORPROMAZINE의 항-혈소판작용

  • 전보권;안상건;최상현;신경호;이민수;천연숙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86-286
    • /
    • 1994
  • Thrombin (0.25 U/ml : TB), 소-피부 collagen (200 $\mu\textrm{g}$/ml : CG), adenosine 5'-diphesphate (4,0 $\times$ $10^{-5}$M : ADP), 및 epinephrine (4,0 $\times$ 10 $^{-5}$M : EPI)의 가토-혈소판 응집과 단백인산화작용에 미치는 PDE-I (3-isobutyl-1-methylxanthine : IBMX, 및 KR 30075), amitriptyline (AP), chlorpromazine (CP), 및 sodium nitrogrosside (SNP)의 염향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KR은 2,2 $\times$ $10^{-7}$M 이하의 $IC_{50}$/에서 EPI > ADP > CG > TB 순으로 각각을 억제하였으며, SNP 보다도 강하였고; KR-30075보다 약하나 IBMX, AP, 및 CP도 각 응집재의 작용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EPI에 대하여 $10^{-8}$M 이하의 $IC_{50}$/에서 유의한 억제력을 보였다. 각 응집제들은 41 kD 인산화는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는 감소시켰는데; 모든 항응집성 약물이 41 kD 인산화-증가는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아울러, AP와 CP는 47 kD 단백인산화-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 kD 단백인산화-감소는 억제하였다. PDE-I (IBMX와 KR)와 SNP는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감소를 다소 약화시켰으며, 43 kD와 22 kD 단백인산화를 KR > IBMX > SNP순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KR의 22 kD 단백인산화작용은 현저하였다.

  • PDF

EGF 수용체에 의한 Akt/PKB의 tyrosine 인산화에 대한 연구 (Direc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배순식;최장현;윤성지;김은경;오용석;김치대;서판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85-191
    • /
    • 2007
  • Akt/PKB는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혈관신생 등 매우 많은 생리활성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Akt/PKB의 tyrosine잔기의 인산화가 $Thr^{\308}$ 인산화에 필수적임을 밝혔다. COS-7 세포주에 EGF를 처 리하면 Akt/PKB의 tyrosine 잔기에 인산화가 촉진되었으며 이러한 인산화 촉진은 Akt/PKB에 myristoylation site를 이용해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면 더욱 더 증가하였다. 특히, 분리된 Akt/PKB와 EGF 수용체를 이용해 인산화 반응을 실시하면 tyrosine잔기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Ser^{\473}$에 대한 인산화도 증가하였다. 더욱이 tyrosine잔기에 인산화 된 Akt/PKB는 활성화된 EGF 수용체와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되는 tyrosine 잔기인 $(Tyr^{\326})$을 Alanine으로 치환하면 정상 Akt/PKB뿐만 아니라 활성화된 Akt/PKB의 EGF에 의한 $Thr^{\308}$ 인산화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EGF 수용체에 의한 직접적인 Akt/PKB의 tyrosine 인산화는 EGF에 의한 많은 생리활성 조절기전의 또 다른 기전이라 볼 수 있다.

단백질 인산화에 의해 매개되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신호전달 연구의 최근 상황 (Update on Phosphorylation-Mediated Brassinosteroid Signaling Pathways)

  • 이유;김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8-436
    • /
    • 2012
  • 단백질 인산화는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보편적인 과정이다.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reoid)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은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의해 활성화된 세포막상의 protein kinase 로부터 인산화되어 있는 전사인자들을 탈인산화하는 연속적인 인산화/탈인산화 과정이다.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의 연구는 인산화에 관여하는 kinase 기질상의 아미노산을 밝히고, 그와 관련된 돌연변이체의 표현형을 알아봄으로써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BRI1과 BAK1의 자기인산화(autophosphorylation), 상호인산화(transphosphorylation), 타이로신 인산화(tyrosine phosphorylation)를 밝힘으로써 그들의 조절작용을 식물의 생리학적, 발생학적 과정을 더 이해할 수 있는 장이 열렸다.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의한 인산화는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 내 함입(endocytosis)과 그에 뒤따르는 수용체의 파괴현상에서도 볼 수 있다. 인산화/탈인산화 과정에 관련하여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은 더 연구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다. 이 총설은 단백질의 인산화/탈인산화 과정을 통한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신호전달 연구의 최근 상황을 기술하였다.

생쥐 Wee1 인산화효소들의 각 도메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s of Amino and Carboxyl Domains in the Mouse Wee1 Kinases)

  • 한승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4-119
    • /
    • 2008
  • Wee1 인산화효소는 세포주기 조절의 핵심 단백질인 cdc2/cyclinB 복합체를 인산화하여 활성을 억제, 조절하는 주요한 효소이다. 지금까지 포유동물에서는 Wee1A, Wee1B 그리고 Myt1의 세 가지 효소가 발견되었다. Wee1 인산화효소의 조절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생쥐의 Wee1A와 Wee1B를 발톱개구리의 난자에 주사한 후 단백질의 변형을 관찰하였다. 이 세포주기 과정에서 두 효소는 모두 인산화 되었으며, Wee1A단백질은 분해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외 인산화 방법을 통하여 Wee1A가 PKA와 Akt에 의해 인산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Wee1 인산화효소의 인산화와 단백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내의 부위를 살펴보고자, Wee1A와 Wee1B의 아미노 도메인과 카르복실 도메인을 서로 치환한 단백질을 제조하여 개구리 난자에 주사하고 인산화 정도와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사하였을 때, Wee1A의 아미노 도메인이 단백질의 인산화와 안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Wee1B의 아미노 도메인과 Wee1A의 카르복실 도메인은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인산화 처리 목분과 수피에 의한 중금속 흡착 (Heavy Metals Adsorption by Phosphorylated Wood and Bark)

  • 백기현;김동호;이동흡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75-79
    • /
    • 2000
  •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목분과 수피에 의한 용액 중의 중금속($Cu^{2+}$, $Cd^{2+}$, $Zn^{2+}$$Pb^{2+}$)의 흡착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목분과 수피가 인산화 처리되었다. 인산화 처리된 목분과 수피는 수종과 부위에 관계없이 1 hr처리 시에는 1.2~1.3%, 그리고 2 hr처리 시에는 1.4~1.7%의 인산기를 함유하였다. 목분에 인산화 처리를 함으로써 $Cu^{2+}$, $Zn^{2+}$$Cd^{2+}$의 흡착율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Pb^{2+}$의 흡착율은 미미하게 증가되었다. 소나무 인산화 목분의 경우, 상수리나무 인산화 목분보다 중금속 흡착효과가 더 높았다. 한편, 수피에 인산화처리는 중금속 흡착율의 증가에 거의 효과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