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발거동특성연구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4초

셰일지반에 설치된 MC앵커의 인발특성 (Pullout Characteristics of MC Anchor in Shale Layer)

  • 이봉직;김조순;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합형 지지방식으로 개발된 MC앵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C앵커는 선단 정착장치가 확장되어 천공된 공벽에 지압력이 발휘됨에 따라 인발력 증대와 그라우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앵커체가 지반에서 탈락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앵커강선과 더불어 보강철근을 삽입하여 인장손실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시공성을 높이고 앵커강선의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네일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어 장기적인 안정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MC앵커와 같은 복합형 앵커는 마찰형 앵커와 지지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지반과 그라우트의 마찰력에 의한 인발력 산정방식은 적합하지 않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복합형 앵커에 대하여 지반특성을 고려한 설계법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복합형 앵커의 인발력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형 앵커의 일종인 MC앵커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도변화가 심한 셰일지반을 대상으로 총 9개소에서 시험앵커를 시공하여 인발, 인장 및 장기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를 일반 마찰형 앵커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여 MC앵커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시험결과 셰일층에서 MC앵커는 일반 마찰형 앵커에 비해 인발력 증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에 따른 GFRP Rebar의 부착특성에 관한 연구 (Bond Performance of GFRP Rebar to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 심종성;문도영;강태성;김용재;김현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9-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발시험에 따른 실험적 분석을 통해 고온상태의 콘크리트에서 리브 형태의 GFRP rebar의 부착거동을 분석하였다. 콘크리트에 부착된 리브 형태의 GFRP rebar의 인발실험을 통해 부착 응력에 따른 정확한 인발 곡선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 표면 주위를 물고 떨어지는 뽑힘 파괴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온도 영향에 따른 부착응력을 분석하였다. 실험실 온도에 따른 부착응력 시험 결과 비교적 높은 부착강도를 보였으나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착응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장시험을 통한 인발하중이 지배적인 원형기초의 거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Circular Foundation Dominated by Pull-Out Load through Field Test)

  • 신경하;이승호;이동혁;박두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3-62
    • /
    • 2021
  • 최근 국내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LRFD 설계법의 합리적인 적용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사례가 부족한 인발하중 및 수평하중의 연구를 위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한 구조물인 송전철탑의 기초 형태를 바탕으로 한 원형기초를 풍화토 단일지층과 풍화토, 풍화암, 연암으로 구성된 혼합지층에서의 현장실증시험을 수행하여 인발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한 각 지층의 저항성 분석을 통해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인발성형된 이형 GFRP 보강근과 G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크리프 거동 (Creep Behavior of Pultruded Ribbed GFRP Rebar and GFRP Reinforced Concrete Member)

  • 유영준;박영환;김형열;최진원;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87-194
    • /
    • 2013
  • 섬유복합체(FRP)는 비부식성 재료라는 특징으로 인해 이상적인 철근 대체재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FRP 보강근은 철근과 달리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고정된 형태가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재료와 성분비, 형태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성능평가 데이터에 근거한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거동특성 구명은 상당부분 제한될 수 있다. 더군다나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에 대한 평가는 주로 단기 거동 측면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GFRP 보강근 및 이를 사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철근 대체용으로 개발된 GFRP 보강근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의 크리프 거동 특성에 대한 3년간의 계측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인장강도의 약 55% 이하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재하되는 경우에는 100년 이상의 내구연한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FRP 보강 콘크리트 보의 장기거동을 약 1년간 관찰하였으며 이로부터 FRP 보강 부재의 장기처짐 계산식에 사용되는 수정계수 값 0.73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GFRP 보강근 및 이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단기 및 장기 거동 특성값은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 AAM 영구 앵커의 설계법 및 적용성 평가 (Design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lex AAM Permanent Anchor)

  • 이혁진;정대훈;김진홍;이종하;김홍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38-54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복합 AAM 영구 앵커를 소개하고, 앵커의 설계시 인발력($P_a$)에 의해 앵커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 검토, 지압파괴에 대한 검토, 앵커사이 지반에서의 인장파괴 유발하중 검토 등을 통하여 복합 AAM 영구 앵커의 설계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복합 AAM 영구 앵커의 거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계법의 의한 예측결과와 현장인발시험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절곡된 단면을 갖는 얇은 판요소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 기둥의 부착거동 (Bond Behavior of Thin-Walled Rectangular Profiled Steel Sheet Concrete Short Columns)

  • 윤현도;박완신;한병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콘크리트로 충전한 절곡된 단면을 갖는 각형강관 기둥의 부착특성을 매입인발(Pull-out)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시험체는 단면 $250{\times}250mm$의 강관 단면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PSSC기둥으로 표준형(P), 사다리꼴(I), 직사각형(II), 역사다리꼴(III)의 4가지 형태(Fig. 3)와, 부착길이에 대한 폭비 (L/D=2.0, 2.5, 3.0) 단면의 폭두깨비(d/t)으로 설정하여 총 13로 하였다. 실험결과 얇은 판요소 절곡된 강관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은 일반적인 부착거동과 유사하게 화학적 부착과 기계적 부착의 형태로 거동하였으며, 부착응력은 강판의 절곡형태가 (equation omitted)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equation omitted)타입 시험체의 경우에는 얇은 판요소를 갖는 단면임에도 불구하고 AIJ에서 제시하고 있는 $0.147N/mm^2$의 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착응력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부착-슬립 거동의 설계기준과의 비교 (Comparison of Bond-Slip Behavior and Design Criteria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50 MPa and Unit Weight 16 kN/m3)

  • 이동균;이도경;오준환;유성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2022
  • 최근 나노기술의 발달로 건설재료분야에 이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정도의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를 구조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정도의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81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직접 인발 부착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와 현행 설계기준과 비교하여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ACI-408R의 부착강도 산정식과 실험결과는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통계분석을 통해 CEB-FIP, 수정된 CMR 부착거동 모델을 산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잘 묘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축대칭 FRP 부재의 전체좌굴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Global Buckling of Singly Symmetric FRP Members)

  • 이승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A호
    • /
    • pp.99-106
    • /
    • 2006
  • 일축대칭의 단면특성을 갖는 T형 부재는 단면의 특성상 축방향 압축력으로 인하여 전체좌굴이 발생할 경우 휨-비틀림 좌굴이 지배모드가 된다. 인발성형 T형 부재의 휨-비틀림 좌굴거동을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E-glass/vinylester와 E-glass/polyester로 만들어진 2종류의 인발성형 부재가 사용되었으며, 보강층의 배치, 보강층의 두께, 구성물질의 부피비, 역학적 성질 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좌굴실험에서 휨 및 비틀림에 대한 단순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knife edge를 사용하였으며, 3개의 potentiometer를 사용하여 실험체의 횡변위와 비틀림각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체에 휨-비틀림 좌굴이 발행하였으며, 대부분의 실험체가 후좌굴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al Behavior Between Soil and Reinforcements)

  • 유남재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5권3호
    • /
    • pp.51-62
    • /
    • 1989
  • 보강토옹벽의 원심모형분험의 예비실험으로서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의 특성을 조사.연 구하기 위하려 마찰실험을 행하였다. 보강재의 종류 및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들이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편 다른 두가지 실험방법(직원전단시험과 인발시험)을 택하여 어떤 방법이 실제 현장에서의 보강재의 거동을 잘 나타내는지를 비교.검토하였다.

  • PDF

유공강판 전단연결재의 인발저항성능 평가 (Pull-out Resistance Capacity Evaluation of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 김영호;구현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A호
    • /
    • pp.853-8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를 강관말뚝머리 연결부의 결합용 구조 요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공강판 전단연결재의 홀 형상, 홀 직경, 홀 관통철근, 매입깊이 등에 따른 구조적 성능 및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 유공강판 전단연결재가 충분한 인발저항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다웰 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확보가능한 만큼의 다수의 홀을 가공 배치하되, 각 홀의 직경은 전단연결재 높이의 절반 정도임과 동시에 관통철근 배근 후에도 콘크리트의 완전한 충전이 가능할 만큼의 홀 내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유공강판 전단연결재가 강관말뚝머리 연결부의 결합용 구조 요소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착성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