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두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5초

Midline Granuloma의 방사선 치료 및 Steroid병용요법 (Combination Radiation and Steroid Therapy for Midline Granuloma)

  • 강현영;박준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3-15
    • /
    • 1981
  • 상기도에 오는 Midline Granuloma는 비강, 부비동 및 인후두부에 발생하여 국소성 괴저성 염증 및 육아종이 진행성으로 주위조직을 침범하여 결국은 사망을 초래케되는 불치의 병으로 알려져 왔다. 이 질환은 1897년 McBride에 의하여 처음으로 기술되었고, 1933년 Stewart이래 많은 임상적 및 조직학적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그 원인 및 확실한 치료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 본원에서는 1964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17년간 Midline Granuloma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15례에 대한 임상적 관찰과 방사선치료 및 Steroid병용요법으로 치료받은 7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및 연령 : 30세부터 39세사이가 6례 (40%)로 가장 많았으며, 남자 13례 (87%) 여자 2례 (13%)였다. 2) 초발 병변 부위는 비강 및 비중격 부위가 8례 (53%), 인두편도 3례 (20%) 및 인두부 2례 (13%)의 순이었다. 3) 증상으로는 비폐색과 인두통이 각각 6례 (40%)로 가장 많았고, 두통5례(33%), 비루 및 안면 부종이 각각 3례(20%)의 순이었다. 4) 4례에서 균을 검출하였으며 포도상구균 2례, 녹농군 1례, 연쇄상구균이 1례였다. 5) 방사선 치료와 Steroid병용요법을 실시한 7례에서는 전례에서 현재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재발이나 악화가 없었다. 6) Steroid와 항생제 치료를 받았던 5례중 2례는 사망하였고 3례는 일시적인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그 후 악화를 보였다.

  • PDF

혀인두신경 또는 혀밑신경을 절단한 흰쥐 미각샘의 형태학적 변화와 렉틴조직화학 (Lectin Histochemistry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von Ebner's Glands in Rats after Glossopharyngeal or Hypoglossal Axotomy)

  • 문용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41-1552
    • /
    • 2013
  • 부교감신경 또는 교감신경섬유가 흰쥐 혀 미각샘의 구조와 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성체 흰쥐의 양쪽 혀인두신경 또는 혀밑신경을 절단한 후 혀 미각샘의 형태학적 변화를 3일부터 21일까지 관찰하였고, PSA, UEA I, GSL I $B_4$, ECL, DBA, SBA, HPA, SJA 및 sWGA의 9가지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미각샘의 복합당질의 특성과 분비양상을 비교하였다. 혀인두신경을 절단한 혀 미각샘은 3일군부터 장액샘꽈리에서 세포질 공포가 나타났으며 10일군에서는 공포가 매우 커지고 미각샘의 구조가 급격히 퇴화되었다. 반면, 혀밑 신경을 절단한 혀 미각샘의 구조는 대조군에 비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렉틴조직화학의 결과 대조군에서 혀 미각샘은 ${\alpha}$-D-galactose, N-acetyl-D-galactosamine 및 N-acetyl-D-glucosamine oligomer 성분의 복합당질을 합성하였고, 혀인두신경을 절단한 10일군부터 그 양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혀밑신경을 절단한 혀미각샘의 복합당질 양상은 21일군까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한 혀인두신경이 흰쥐 혀 미각샘의 구조 유지와 분비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간에 따른 삼킴 기능 변화 (Dysphagia and Oral Function in Chronic Stoke Patient: 3 Months Follow up Study)

  • 임익재;고명환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41-156
    • /
    • 2018
  • 본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대학 병원에 입원 또는 재원중인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삼킴 장애 양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맨 삼킴 능력 평가(Mann Assessment Swallowing Ability)에 의해 178점 이하의 점수를 보인 삼킴 장애 환자들로 이 기간 동안 최소 2회 이상의 비디오투시조영 삼킴 검사(videoflu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를 수행한 환자 10명 이었다. 또한 이들의 삼킴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8명이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시간에 따른 삼킴 장애 및 삼킴 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통과시간, 인두통과시간, 후두폐쇄유발시간, 바륨 삼킴 검사(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TM(c)}$) 및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를 평가하였다. 삼킴 평가는 입원 후 일주일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기초선 평가 후 3 개월이 지난 뒤 재검사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 평가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는 정상인보다 지연된 삼킴 시간을 보였다(구강통과시간; z=-3.60, p<0.001, 인두통과시간; z=-2.77, p=0.004, 후두반응시간; z=-3.56, p<0.001). 만성 뇌졸중 환자군은 3개월 이후에도 비슷한 수준의 삼킴 시간을 보여 삼킴 효율성은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MBSImP^{TM(c)}$와 FOIS 결과에서 구강 단계의 삼킴 기능과 구강 섭취 능력이 두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MBSImP^{TM(c)}$; z=-2.02, p=0.04, FOIS; z=-2.27, p=0.02). 3개월 후에 뇌졸중 환자는 구강 기능 및 구강 섭취 능력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삼킴 기능이 회복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을 규명하고 호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문제를 관리하고 계획하는 기초 자료를 수립하였다.

목소리에 의한 성격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rching proof of character in voice)

  • 서지호;배명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2
    • /
    • 2003
  • 사람의 음성이 나오기까지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이 언어학적 구조로 바뀌고 이 과정에서 생각을 나타내는 적절한 단어나 구가 선택된다. 또 특정언어의 문법규칙에 의해 어순을 배열하고, 전체 의미에서 중요한 면을 강조하기 위해 피치ⅰ), 억양이나 강세와 같은 특성들을 첨가하는 등의 처리 절차를 통하게 된다. 음성은 기본적으로 여기ⅱ) 성분과 성도ⅲ)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도는 인두강과 구강을 합쳐서 일컫는다. 따라서 입 모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도 같은 말이라도 명료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러한 특성은 자신감이 넘치고 외향적인 모습으로 비춰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의 모양에 따른 음성의 특징과 발성습관을 통해서 나타나는 사람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 PDF

기도폐쇄를 유발한 인두후 혈종 1예 (A Case of Airway Obstruction due to Retropharyngeal hematoma)

  • 박영학;전범조;조주은;최혁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6-100
    • /
    • 2003
  • Retrophayngeal hematomas frequently develop in patients who had cervical vertebra fracture. The hematoma develops in the space between buccopharyngeal fascia and prevertebral fascia. But it rarely causes severe airway obstruction. We recently treated a patient who had dyspnea and dysphagia due to a retropharyngeal hematoma without any significant trauma history. First, tracheostomy was performed to maintain the airway. Then, incision and drainage was done under suspension laryngoscope. This case shows the fact that a retropharyngeal hematoma can result in severe airway obstruction even after a minor trauma.

  • PDF

인두식도부 게실 2 (Pharyngoesophageal Diverticulum - 2 cases -)

  • 김주현;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379-383
    • /
    • 1987
  • Pharyngoesophageal diverticulum is a well-known disease entity but is seldomly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pharyngoesophageal diverticulum. A 46 year old female and a 51 year old female patients were admitted due to foreign body sensation in esophagus and dysphagia. Preoperative esophagography and esophagoscopy confirmed the diagnosis of pharyngoesophageal diverticulum in each patient. The authors performed one-stage pharyngoesophageal diverticulectomy and myotomy. Postoperative esophagography revealed no diverticulum or stenosis and symptoms were markedly relieved.

  • PDF

해녀콩(Canavalia lineata) 잎 칼루스의 유도와 유리 아미노산의 분석 (Induction and Free Amino Acid Analysis of Callus from Canavalia lineata Leaf)

  • 황인두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23-228
    • /
    • 1991
  • The callus of Canavalia lineata was induced from leaf tissues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5 M kinetin and 10-6 M IAA and was subcultured in Miller's medium supplemented with 10-5 M BAP and 10-6 M 2,4-D. When free amino acids of callus were analysed by HPLC, canavanine was not detected in the callus cultured either in the dark or light. But exogenously supplied canacanine was accumulated or consumned in the callus of Canavalia lineata.

  • PDF

구개열의 치료;구개성형술과 인두피판성형술의 동시 사용 (TREATMENT OF CLEFT PALATE;SIMULTANEOUS USE OF PALATOPLASTY AND PHARYNGOPLASTY)

  • 김영균;여환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84-389
    • /
    • 1994
  • A female child with unilateral midpalatal clef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Wardill V-Y pushback palatal flap and superiorly based pharyngeal flap simultaneously. The 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to prepare the favorable background of postoperative speech correction and additional nasal lining. We can try this simultaneous operation in delayed cleft palate repa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