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두절제술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후두인두절제술 및 인두재건 후 다량의 출혈을 야기한 인두누공 (Pharyngeal Fistula Causing Excessive Bleeding after Laryngopharyngectomy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 김승범;진성민;강성훈;이준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56
    • /
    • 2017
  • Pharyngocutaneous fistula is one of the most common wound complications after total laryngectomy. The leakage of saliva may cause an erosion of greater vessels nearby and result in a life-threatening bleeding. 65-year-old male received laryngectomy and pharyngectomy followed by Latissimus dorsi flap reconstruction due to recurred laryngeal cancer with oropharyngeal extension after postoperative radiotherapy. Pharyngeal fistula was developed and an excessive fresh blood flowed through the oral and nasal cavity. The patient was transferred to the operating room immediately, and the causing artery was ligated. The rupture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and its branches should be warned when the pharyngocutaneous fistula is developed. Prompt and proper therapy must be performed for the patients with impending or acute hemorrhage.

항암 방사선 치료 후 시행한 구제 후두 전적출술 후에 발생한 생명을 위협하는 특이한 지연 동맥 출혈 (Unusual Late Life-Threatening Arterial Bleeding after Salvage Total Laryngectomy Following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 이동훈;김록영;이재운;이준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26
    • /
    • 2012
  • 본방사선 치료 후에 후두 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인두피부누공, 감염, 출혈 등 상처부위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에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 후에 재발한 성문상부암에 대해 후두 전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66일째 생명을 위협하는 인두의 동맥 출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부식제에 인한 인두-식도 협착의 수술적 치료

  • 김재원;김영모;김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1
    • /
    • 2003
  • 부식제 섭취로 인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인두-식도 협착이며, 이로 인한 구강섭취 장애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수술적 치료가 소개되었으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두-식도 협착에 있어 본원에서 시행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01년 12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와 일반외과에서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후두 및 식도의 완전협착으로 진단 받고 치료를 시행 받은 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술전 이학적 소견, 수술적 치료방법, 술후 합병증, 구강 섭취 시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내시경 검사로 인두-식도 접합부에 협착소견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경구 식이가 전혀 가능하지 못하였던 3명의 환자는 전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 시행 하였으며, Levine- tube로 관급식이가 가능하였던 1명의 환자는 내시경적 확장술만 시행 받았다. 전 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을 시행받은 3명의 환자 모두에서 문합부 유루, 출혈은 없었으나, 그 중 1명에서 술후 재협착으로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았고 이 환자를 제외한 2명의 환자에서 술후 10일과 1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고 재협착이 있었던 환자는 술후 4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다. 대장대체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에서는 연식 이상의 식사가 가능하였으나,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관급식이만 가능하였다. 부식제 섭취에 인한 인후두 및 식도 협착에 있어 대장을 이용한 대장 대체술식을 이용하여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대장대체술은 합병증 및 구강 섭취에 있어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술식으로 판단되었다.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 PDF

상악골 부분절제술 시행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폐쇄 장치를 이용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after maxillectomy: A case report)

  • 허경회;임영준;김명주;권호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7-171
    • /
    • 2016
  •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저작, 발음, 연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안모의 변화로 인해 사회적,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악안면 보철적 치료를 통한 기능적, 심미적 회복이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폐쇄 장치는 구개의 외형을 회복시키고 구강과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분리시킴으로써 연하와 발음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증례는 편평상피암으로 인해 우측 상악 구치부에서 비인두에 이르기까지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폐쇄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발음 및 연하 기능을 회복하고 저작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심미적인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1년간의 임상적 관찰기간 동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양낭포암 환자에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와 인두 폐쇄장치를 이용한 악안면 수복증례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adenoid cystic carcinoma patient using full mouth fixed implant and pharyngeal obturator: a clinical report)

  • 반민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51-357
    • /
    • 2016
  • 상악절제술 후 환자들의 재건 치료는 쉽지 않은 과정이다. 상악골 결손은 저작, 발음, 연하 장애를 초래하여 기능적인 회복이 필요하다. 폐쇄장치 제작의 목표는 결손부를 대체하여 구강기능을 회복하고 환자에게 편안함과 심미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증례에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인두 폐쇄장치 제작 후 획득한 저작력과 심미성 그리고 개선된 유지력을 보고하고자 한다.

후두암과 식도암의 이증원발성 종양에서의 합이식술을 이용한 식도 재건술 (Composite Graft Reconstruction of Esophagus for Double Primary Cancer of Larynx & Esophagus)

  • 이호석;송동섭;김수완;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91-794
    • /
    • 2005
  • 식도절제술 후 재건술에서 위장은 가장 흔한 식도 대체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인두 이상의 위치까지 위장을 끌어 올려 연결하는 경우 위장만으로는 길이가 모자라는 경우가 많이 있다. 후두암과 식도암을 동반한 환자에서 후두전절제술과 식도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유리공장이식편을 이용하여 경부에서 인두공장위장문합을 시행하였다. 유리공장을 이용하여 문합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문합부 긴장을 줄이고, 혈액공급을 확보할 수 있었다.

후천성 비인두 협착증 1례 (A Case of Acquired Nasopharyngeal Stenosis)

  • 정영준;임은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46
    • /
    • 2007
  • Nasopharyngeal stenosis is an obliteration of the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nasopharynx and the oropharynx resulting from the fusion of the tonsillar pillars and soft palate to the posterior pharyngeal wall. It is a rare but serious problem. The most common etiology is currently the surgical trauma associated with uvulopalatopharyngoplasty or adenotonsillectomy. It can range in severity from a thin band to a complete obstructing cicatrix, Symptoms vary from mild hyponasal speech to almost complete nasal obstruction with oral breathing, We present a case of a 16 year-old male with nasopharyngeal stenosis after radiofrequency-assisted adenoidectomy in this paper. This patient was managed by synechiolysis, obturator and buccal mucosal graft.

  • PDF

수면무호흡 환자에서의 외측 인두성형술 후 발생한 피하기종 (A Rare Case of Subcutaneous Emphysema following Lateral Pharyngoplast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 차동철;이영우;조형주
    • Journal of Rhinology
    • /
    • 제25권2호
    • /
    • pp.99-102
    • /
    • 2018
  • Lateral pharyngoplasty is a surgical option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ere, we present a case involving a 40-year-old healthy man who underwent surgery, including lateral pharyngoplasty and robotic tongue base resection, for OSA.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or immedi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on postoperative day 3, the patient presented with swelling in the temporal and buccal areas and was diagnosed with subcutaneous emphysema, later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The patient was carefully monitored under conservative care and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s. Although subcutaneous emphysema following tonsillectomy is a rare complication and usually resolves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in certain cases, it might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Lateral pharyngoplasty involves tonsillectomy and additional incision along the tonsillar fossa, which makes it susceptible to pharyngeal wall defects and, consequently, subcutaneous emphysema. Additionally, lateral pharyngoplasty and robotic tongue base resection cause pain and might thus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intrapharyngeal pressure, which might aggravate subcutaneous emphysema. Lateral pharyngoplasty should be performed with meticulous dissection of the sup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Healthcare providers should be aware of these complications and, upon suspicion of the same, place the patient under close observation to prevent life-threatening situations.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편도 절제술 전 후의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head post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AND HEAD POSTURE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IN FUNCTION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원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1-243
    • /
    • 1997
  • 본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대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nlarged tonsil을 보이는 기능성 3급 부정교합자는 1급 부정교합자보다 혀는 전방에 위치하고 설골은 하방에 위치한다. 2. Tonsillectomy 후에 편도 절제술전과 비교하여 혀는 후방에 위치하고, nasopharynx은 증가 양상을 보이며, 설골은상, 후방에 위치하며 counterclockwise rotation 양상을 보인다. 3. Tonsillectomy 후에 nasopharynx depth변화와 하악 전치 경사도, 혀의 수직적 변화와 cranial base에 대한 hyoid axis, hyoid의 수직적, 수평적 변화와 두경부 경사도, 두경부 경사도와 하악 전치간에 95% 유의수준으로 상관성을 보인다. 4. Tonsillectomy 후에 설골 장축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시 hya-NL의 감소와 nasopharyx의 증가를 보이고, 혀의 거상시 hya-NL의 감소를 보이며, 혀의 후방위치시 h-h1의 증가와 hya-ba-n의 감소를 보인다.

  • PDF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중 온성법으로 제작한 구개 폐색장치를 통한 보철수복: 증례 보고 (Prosthetic rehabilitation by double-processing technique for edentulous patient with soft palate defect after maxillectomy: A case report)

  • 박진용;왕원곤;송광엽;박주미;이정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56-363
    • /
    • 2019
  •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구강,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포함하는 결손을 가질 수 있다. 비강과 구강이 개통되고 불완전한 구개인두폐쇄로 인해 공기 및 음식물이 누출되어 발음 장애, 저작, 연하 기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안모의 변형으로 환자의 심리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개 폐색장치는 결손 부위 폐쇄를 통해 구강과 비강을 분리시켜 연하, 발음 및 심미적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개 폐색장치는 통상적인 총의치와 같은 유지, 안정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결손 부위의 주위조직을 적절히 활용해 변연봉쇄를 얻어야 한다. 또한 hollow type bulb를 통해 보철물의 무게를 감소시켜 유지에 도움을 준다. 본 증례는 우측 편평상피암으로 인하여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63세 남환으로 구강 및 인두부의 기능적 변연형성을 통해 생리적으로 적절한 변연을 갖고, 이중온성법을 사용하여 무게를 감소시킨 보철물을 이용하여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