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유출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YSTEM DYNAMICS MODEL OF FOOD GRAIN PRODUCTION IN KOREA (양곡생산(糧穀生産)의 동적(動的) 모델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Chong H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8 no.1
    • /
    • pp.61-69
    • /
    • 1983
  • A system dynamic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food grain production under the dynamic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circumstance and inputs such as farm population, investment on agriculture, arable land, extensive technology and weather. By using the model, the variation of the food grain production from 1978 to 2008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model output says it is desirable that the persistent and long-term program should be studied to get necessary food grain production under the variational inputs and circumstances.

  • PDF

Groundwater Flow Analysis During Excavation for Underground Tunnel Construction (지하 터널 건설을 위한 굴착 시 지하수 유동 분석)

  • Sungyeol Lee;Wonjin Baek;Jinyoung Kim;Changsung Jeong;Jaemo K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5 no.6
    • /
    • pp.19-24
    • /
    • 2024
  • Urban densification has necessitated the development of subterranean spaces such as subway networks and underground tunnels to facilitate the dispersal and movement of populations. Development of these underground spaces requires excavation from the ground surface, which can induce groundwater flow and potentially lead to ground subsidence and sinkholes, damaging structures. To mitigate these risks, it is essential to model groundwater flow prior to construction,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predict potential groundwater discharge during excavation. In this study, we collected meteorological, topographical, and soil conditions data for the city of ○○, where tunnel construction was planned. Using the Visual MODFLOW program, we modeled the groundwater flow. Excavation sections were set as drainage points to monitor groundwater discharge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effectiveness of seepage control measures was assessed.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ng measured groundwater levels with those predicted by the model, yielding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87. Our findings indicate that groundwater discharge is most significant at the beginning of the excavation.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seepage barriers was found to reduce groundwater discharge by approximately 59%.

Management Scheme of Urbanization Runoff Using XP-SWMM (XP-SWMM을 이용한 도시화 유역에서의 유출 관리 방안 연구)

  • Lee, Beum-hee;Chai, J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67-1172
    • /
    • 2004
  • Recently, runoff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 are changing because of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by rapid increasing of population an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It needs to extract the accurate topological and hydrological parameters of watersheds in order to manage water resource efficiently. In this paper, rainfall-runoff analysis in An-Yang stream basin was made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XP-SWMM(Export Stormwater and Wastewater Management Model). The basin was divided into 13 sub-basins using GIS. The area, slope, width of each subcatchment and length, slop of each stream reach were acquired from topographic maps, and imperviousness rate, land use types, infiltration capacities of each subcatchment from land use maps and soil maps using GIS. We gave th runoff management method of urbanization area us ing XP-SWMM.

  • PDF

Chungbuk Province's Migration Characters Based on the Centrality Indicators : Comparative Observations of 2001 and 2008 Examples (중앙성 지표에 따른 충청북도 인구이동 특성 : 2001년과 2008년 사례 비교분석)

  • Park, Ju-Hye;Hong, Sung-Ho;Ahn, Yoo-Jeong;Lee, Man-H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4
    • /
    • pp.369-386
    • /
    • 2010
  • Migration usually derived from the gap of spatial efficiency and the attractiveness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puts forth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ional dynamics of population. Both migration and regional planning or policy are structurally interconnected, exerting impact each other within the circular loops. In order to observe migration characters in the regional dimension, this research depends on social network analysis(SNA) methods which easily portray interrelationship and its weight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In specific, it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centrality indica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 and out-migration patterns and visualize them with spring graphs, pinpointing the in- and out-migration administrative units. This research deals with three migration patterns in 2001 and 2008, respectively: i) in- and out-migration between the nation and Chungbuk Province; ii) in- and out-migration within Chungcheong Areas; and iii) in- and out-migration within Chungbuk Province. Judging from Chungbuk examples, the highest in-migration was recorded at Heungduck District in terms of in- and out-migration between the nation and Chungbuk Province. Seoul and Gyeonggi were two major origins towards Chungbuk Province. Within Chungcheong Areas, Daejeon produced the highest in-migration in 2001. However, Chungnam took that position in 2008.

  • PDF

Long term discharge simulation using an Long Short-Term Memory(LSTM) and Multi Layer Perceptron(MLP)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ecasting on Oshipcheon watershed in Samcheok (장단기 메모리(LSTM) 및 다층퍼셉트론(MLP) 인공신경망 앙상블을 이용한 장기 강우유출모의: 삼척 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 Sung Wook An;Byng 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6-206
    • /
    • 2023
  •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따라 평균강수량과 증발량이 증가하며 강우지역 집중화와 강우강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협소한 국토면적과 높은 인구밀도로 기후변동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한반도에 적합한 유역규모의 수자원 예측과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에서 강수량, 유출량, 증발량 등의 장기적인 자료가 필요하며 경험식,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 등이 사용되었고, 최근들어 연구의 확장성과 비 선형성 등을 고려하기 위해 딥러닝등 인공지능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OS(동해, 태백)와 AWS(삼척, 신기, 도계) 5곳의 관측소에서 2011년~2020년까지의 일 단위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고 WAMIS에서 같은 기간의 오십천 하구 일 유출량 자료를 수집 후 5개 관측소를 기준으로Thiessen 면적비를 적용해 기상자료를 구축했으며 Angstrom & Hargreaves 공식으로 잠재증발산량 산정해 3개의 모델에 각각 기상자료(일 강수량, 최고기온, 최대 순간 풍속,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기온), 일 강수량과 잠재증발산량, 일 강수량 - 잠재증발산량을 학습 후 관측 유출량과 비교결과 기상자료(일 강수량, 최고기온, 최대 순간 풍속,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기온)로 학습한 모델성능이 가장 높아 최적 모델로 선정했으며 일, 월, 연 관측유출량 시계열과 비교했다. 또한 같은 학습자료를 사용해 다층 퍼셉트론(Multi Layer Perceptron, MLP) 앙상블 모델을 구축하여 수자원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성을 평가했다.

  • PDF

Analysis of Outflow System at the Mangyeong River Basin (만경강 유역의 유출 체계 분석)

  • Lee, Ji Hun;Lee, Jung Hun;Kim, Seung Hyun;Kang, Noe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5-265
    • /
    • 2020
  • 지구상의 물 순환은 구름이 형성되어 비나 눈의 형태로 낙하하여 지표수를 형성하거나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지표면이나 수면, 식물의 입면을 통해서 대기중으로 증발되기도 한다. 대기중으로 소실되지 않은 물은 지표수나 지하수로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간다. 이와 같은 물 순환을 수문순환(hydrologic cycle)이라고 한다(Lee, 2008). 하지만 인구 증가 및 산업화로 인해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사용이 증가하며 하천에서 직접 물을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고 하수종말처리장, 농수로 등을 통해 회귀되는 유량이 많아 하천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하천 유출 체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에서 사용되고 유입되는 물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수계 및 제 1지류인 전주천에서 운영되고 있는 취·배수 시설에 대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천의 물 사용 체계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만경강 유역의 조사대상 구간은 대아댐 하류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의 구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주천 유역은 삼천합류점에서 만경강 본류 합류점까지와 삼천 유역의 구이저수지에서 전주천 합류점 까지를 조사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의 대상시설은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하수처리장 등이며, 조사대상은 하천의 유출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로 최소 하루 기준으로 일 취수량 0.20㎥/s, 일 방류량 0.20㎥/s 이상이 되는 시설에 대해서만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취·배수시설의 위치와 유입구의 위치, 도수로 등을 조사하였으며, 취·배수 시설의 유량 정확도 평가를 위해 현장에서 유량측정을 수행하여 허가량과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만경강은 농업용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상하류 유량반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이 연구를 통해 검토한 결과 만경강 유역내의 상하류 유량반전 시기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완주군(오성교)관측소와 완주군(용봉교)관측소의 손실고가 안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주시(미산교)관측소 또한 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취·배수영향을 고려하여 유출률을 산정한 결과 과거에 비해 손실고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역의 유출 체계 특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취·배수시설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하천 유출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PDF

Effects of High-Speed Train on Regional Population In-Migration - Focusing on Shrinking City and Demographic Structure - (고속철도가 지역 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 -지방소멸 위험과 인구 구조를 중심으로-)

  • Eunji Kim;Heeyeun Yo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40 no.2
    • /
    • pp.91-106
    • /
    • 2024
  • Around the world, many countries experiencing the issue of shrinking cities are continually expanding high-speed rail networks to enhance regional accessibility and address imbal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high-speed train operations on the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in South Korean municipalities from 2012 to 2019, taking into account the risk levels of shrinking cities.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ge-specific net in-migration popul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employing the spatial panel autoregressive model.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high-speed rail on regional population inflow varies depending on the risk level of shrinking city. In other words, high-speed railway oper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population inflow in the capital areas and some major cities, while explained population outflow in the other regions. High-speed railways particularly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flow of the young and middle-aged population, representing the working age, but this effect was also limited to regions with a low risk of shrink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lanned population and industrial attraction when installing high-speed rail with the goal of achiev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and mitigating shrin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 to explor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population structure and inflow based on the level of shrinkage risk in each reg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new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each local government.

Trauma Signature (TSIG) Analysis of Hebei Spirit Oil Spill, Taean, Korea : 2007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유출사고에 대한 Trauma Signature (TSIG) 분석)

  • Choi, Young-hyun;Lee, Moo-Sik;Lee, Jae-Kwang;Kim, Jee-A;Kim, Jung Su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3 no.3
    • /
    • pp.158-171
    • /
    • 2018
  • This TSIG analysis regarding national actions for marine oil spills could be indicated and suggested improvements in the response system could be made based on the present study.

A Study on the Evaluation Process Development for the Use of Outflowing Groundwater in Large-Scale Buildings (대형건축물의 유출지하수 활용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구축에 관한 연구)

  • Kim, Jae-Yeob;Lee,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3
    • /
    • pp.91-97
    • /
    • 2010
  • Recently, as a countermeasure to the buoyancy of a building, the use of permanent drainage methods have been on the increase, and these provide benefits both in terms of economical feasibility and efficiency. When a permanent drainage method is applied, some underground water can drain out. Korea has been designated by PAI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as a water-stressed country, and the use of outflowing groundwater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oversight of water resources. However, the evaluation process on the practical use of underground water is curre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e amount of outflowing groundwater put to practical use and the standard for the water quality were examined in this research,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nappraisal process on the practical use of underground water drainage. In addition, standards for the assessment of the treatment process and the application cost of underground water drainage were developed. On this basis, an evaluation process on the use of outflowing groundwater was developed and applied inthe field. The application result proved that it was possible to assess the initial investment cost and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in the field, and thesecan be compared to the costs when supplied water is us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apply in the field.

Estimation of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In the Case of Kumho River Watershed- (하류 유량자료를 이용한 상류 유역의 미계측 유출량 추정 -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

  • Jung, Young-Hun;Park, Jong-Yoon;Kim, Seong-Joon;Kim, Chi-You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78-878
    • /
    • 2012
  • 도시개발에 따른 인구증가와 강수의 계절적 편중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수자원량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가용 수자원량의 파악과 이에 따른 최적배분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천유량은 우량이나 수위와 같이 연속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관측치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자연하천에서 실시간으로 유량자료를 생산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장비, 경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량자료의 생산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의 경제성 등을 고려하고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제 1지류인 금호강 유역 내에 위치한 동촌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상류에 위치한 금호 단포교 지점을 미계측 유역이라 가정한 후 유량추정방법에 따른 적용성 검토를 위해 강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과 유역면적만을 활용하는 비유량법(Drainage-area ratio method), 유출에 영향을 주는 지형인자를 이용하는 지역회귀방법(Regional regression method)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비교하였다. 모의된 결과, 동촌 금호 단포교 지점의 연간 상하류 유량비교에서 유량반전은 없었으며 비유량법의 유량추정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2008년과 2009년의 가뭄으로 인하여 강우-유출모형의 유량추정에서는 낮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지역회귀방법에서는 수위관측소별 유황자료를 종속변수로 유역면적, 유역평균경사, 유로연장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자료수가 적고 수리구조물을 이용한 회귀수량 등으로 인하여 갈수량이 실측유량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미계측 유역의 유량추정시에는 자료의 축척기간과 연도별로 안정된 호우사상, 유역의 적절한 배분에 따라 결과치가 좌우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량추정은 관측 자료를 기초로 한 간접적인 방법들이였다. 결과적으로 금호강 유역의 동촌 지점을 이용하여 유량추정방법들을 적용해본 결과 비유량법과 강우-유출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정하였으나 관측 자료의 축적기간이 길고 상하류 간의 유량이 안정된 유역에서는 지역회귀방법의 적용으로도 안정된 유량을 산정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