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 지능 신경망

Search Result 59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Based on Bebras Challenge (비버 챌린지 기반의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학습모델 설계)

  • Kim, J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63-564
    • /
    • 2018
  • 컴퓨팅사고(computational thinking)란 기존의 인간사고와는 달리 컴퓨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여러가지 특성과 기질을 포함하는 문제해결과정이다. 이는 SW중심사회와 4차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인공지능과 신경망 등 첨단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매우 복잡한 문제를 알고리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데 쓰일 수 있어서, 효율적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버 챌린지 기반의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학습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ge Prediction Model Using ResNet (ResNet을 이용한 나이 예측 모델 연구)

  • Ji-Hun Kim;Young-Tae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803-806
    • /
    • 2024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전을 배경으로, ResNet 모델을 활용하여 얼굴 인식 및 나이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한다. ResNet의 잔차 학습과 스킵 연결 기능은 깊은 신경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울기 소실 문제를 해결하여 모델의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All-Age-Faces Dataset을 이용하여 나이 예측에서 아시아 인종에 대한 편향 없이 고르게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Neural Networks Model for Flow Forecasting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에서의 유량 예측 신경망 모형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Kim, Dong-Il;Choi, Hyun-Gu;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27-1731
    • /
    • 2008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의 획득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양질의 유량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매년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으나 자료의 질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유량자료는 댐의 수문자료와 수량관리 부처인 건교부에서 운영하는 수위표 지점의 수위-유량곡선에서 산출된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수위-유량 관계식을 보정하기 위한 유량측정사업이 지속적이지 못하며, 이 관계식은 유량이 적은 저수기 및 갈수기에는 부정확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유량측정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목적은 낙동강수계의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말단 47개 지점에서 유량측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자료 역시 오염총량관리를 위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일 유량을 알 수가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수기 및 갈수기에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천을 포함한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특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우-유출특성 또한 유역 내 강우의 시 공간적 분포가 다르며 그 자가 비선형성이 강하고 여러 변동성을 포함하므로, 강우로부터 하천의 유출량의 정확한 해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신호처리, 지능제어 및 패턴인식 등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경망은 학습이라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시스템을 비선형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수자원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유출자료 및 댐 방류량 자료의 비선형적인 특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신경망모형을 적용하여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유량측정 지점 상류의 댐 방류량의 일 방류량자료와 강우자료를 입력 자료로 하여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유량예측 신경망 모형 FFBN(Flow Forecasting By Neural)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입력 자료로서 장기유출모형인 SWAT의 모의결과를 입력 자료로 추가한 FFBNS(Flow Forecasting By Neural and SWAT)을 개발하였다. 신경망 모형의 구조는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의 은닉층이 존재하는 다층 신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학습단계에서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듬 학습방법 중 모멘텀법을 사용하였다. 예측된 유출량을 실측치와의 비교를 위하여 낙본D지점과 낙본 E지점에 대하여 $2005{\sim}2006$년까지의 모의 결과를 낙동 수위측정지점과 구미 수위측정지점의 실측치 통하여 복잡한 비선형성을 가지는 유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효과적인 최적의 신경망모델을 개발하여 유량을 예측하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모의 결과는 수질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daptation of Neural Network based Intelligent Characters to Change of Game Environments (신경망 지능 캐릭터의 게임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방법)

  • Cho Byeong-heon;Jung Sung-hoon;Sung Yeong-rak;Oh Ha-r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2 no.3 s.303
    • /
    • pp.17-28
    • /
    • 2005
  • Recently intelligent characters in computer games have been an important element more and more because they continually stimulate gamers' interests. As a typical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intelligent characters, neural networks have been used for training action patterns of opponent's characters and game rules. However, some of the game rules can be abruptly changed and action properties of garners in on-line game environments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gamers. In this paper, we address how a neural network adapts to those environmental changes. Our adaptation solution includes two components: an individual adaptation mechanism and a group adaptation mechanism. With the individual adaptation algorithm, an intelligent character steadily checks its game score, assesses the environmental change with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lastly earned scores, and initiates a new learning process when a change is detected. In multi-user games, including massively multiple on-line games, intelligent characters confront diverse opponents that have various action patterns and strategies depending on the gamers controlling the opponents. The group adaptation algorithm controls the birth of intelligent characters to conserve an equilibrium state of a game world by using a genetic algorithm.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s, we implement a simple fighting action game and experiment on it with changing game rules and opponent characters' action patter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ble to make intelligent characters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omatic Pothole Detection Using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완전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자동 포트홀 탐지 기술의 개발 및 평가)

  • Chun, Chanjun;Shim, Seungbo;Kang, Sungmo;Ryu, Seung-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5
    • /
    • pp.55-64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based automatic detection of a pothole that directly causes driver's safety accidents and the vehicle damage. First, the training DB is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installed in the vehicle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the model is trained in the form of a semantic segmentation using the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order to generate robust performance in a dark environment, we augmented the training DB according to brightness, and finally generated a total of 30,000 training images. In addition, a total of 450 evaluation DB was crea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utomatic pothole detection, and a total of four experts evaluated each image. As a result, the proposed pothole detection showed robust performance for missing.

Design of Fuzzy Pattern Classifier based on Extreme Learning Machine (Extreme Learning Machine 기반 퍼지 패턴 분류기 설계)

  • Ahn, Tae-Chon;Roh, Sok-Beom;Hwang, Kuk-Yeon;Wang, Jihong;Kim, Y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5
    • /
    • pp.509-514
    • /
    • 2015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pattern classifier which is based on the learning algorithm of Extreme Learning Machine the sor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fuzzy set theory which is well known as being robust to noise. The learning algorithm used in Extreme Learning Machine i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key advantage of Extreme Learning Machine is the generalization ability for regression problem and classification problem. In order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bility of the proposed pattern classifier, we make experiments with several machine learning data sets.

Facilitating Web Service Taxonomy Generation :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Framework, A Prototype Systems, and Evaluation (인공신경망 기반 웹서비스 분류체계 생성 프레임워크의 실증적 평가)

  • Hwang, You-Sub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2
    • /
    • pp.33-54
    • /
    • 2010
  • The World Wide Web is transitioning from being a mere collection of documents that contain useful information toward providing a collection of services that perform useful tasks. The emerging Web service technology has been envisioned as the next technological wave and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recent transformation of the Web. By providing interoperable interface standards for application-to-application communication, Web services can be combined with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to promote application interaction both within and across enterprises. To make Web services for service-oriented computing operational, it is important that Web service repositories not only be well-structured but also provide efficient tools for developers to find reusable Web service components that meet their needs. As the potential of Web services for service-oriented computing is being widely recognized, the demand for effective Web service discovery mechanisms is concomitantly growing. A number of public Web service repositories have been proposed, but the Web service taxonomy generation has not been satisfactorily addressed. Unfortunately, most existing Web service taxonomies are either too rudimentary to be useful or too hard to be maintain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service taxonomy generation framework that combin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clustering techniques with descriptive label generating and leverages the semantics of the XML-based service specification in WSDL documents. We believe that this is one of the first attempts at applying data mining techniques in the Web service discovery domain. We have developed a prototype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using an unsupervi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mpirically evaluated the proposed approach and tool using real Web service descriptions drawn from operational Web service repositories. We report on some preliminary results demonstrating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approach.

Software Development Effort Estima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 (신경망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노력 추정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Byung-Gwan;Baek, Seu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72-380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노력 추정에 대한 연구는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고 범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서 그 중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관련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업체나, 이를 수주하고 개발을 진행하는 업체에게 원가를 고려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노력 추정을 위하여 다양한 접근 방식들이 고려되어지고 있는데, 그중에서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는 방식은 소프트웨어 규모에 기반을 둔 LOC(Line Of Code) 기반 COCOMO (Constructive Cost Model) 모델이나 기능점수(Function Point)를 기반으로 한 회귀분석 모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한 신경망(Neural Network) 모델, 사례분석기법 (CBR, Case Based Reasoning) 등이 있다. 이중에서 최근에 기능점수를 활용한 개발노력 추정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개발노력 추정에는 소프트웨어 규모의 척도인 기능점수 뿐만 아니라, 개발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한 고려가 추가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최신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들에 대하여 기능점수 및 추가적인 개발환경 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설문을 통한 빈도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신경망 분석 등을 활용하여 개발노력 추정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다양한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확한 추정의 방안을 제시 하고자 노력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Image base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현)

  • Bang, Sang-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2
    • /
    • pp.331-336
    • /
    • 2017
  • The need for early fire detection technology is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fire disasters. Sensor device detection for heat, smoke and fire is widely used to detect flame and smoke, but this system is limited by the factors of the sensor environment.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image-based fire detection system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system to detect fire and smoke from camera input images using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Through the implemented system using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a feature map is generated for the smoke image and the fire image, and learning for classifying the smoke and fire is performed on the generated feature map. Experimental results on various images show excellent effects for classifying smoke and fire.

Automatic Generation Tool for Open Platform-compatible Intelligent IoT Components (오픈 플랫폼 호환 지능형 IoT 컴포넌트 자동 생성 도구)

  • Seoyeon Kim;Jinman Jung;Bongjae Kim;Young-Sun Yoon;Joonhyouk Jang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11
    • /
    • pp.32-39
    • /
    • 2022
  • As IoT applications that provide AI services increase,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that support autonomous learning and inference are being developed. However, as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f each hardware increase difficulties in developing IoT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latform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oo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mponent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spiking neural networks as well as IoT technologies to be compatible with open platforms. The proposed component automatic generation tool supports the creation of compon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hardware devices through the virtual component layer of IoT and AI and enables automatic application to open plat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