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공지능 챗봇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7초

챗봇 활용 수학 프로젝트 학습이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 유희정;고호경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29-25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1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gi-do. Classes were held after school for a total of 6 hour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es consiste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knowledge, OBT application for Kakao i open builder, guidance on how to create chatbots, and chatbot production practice.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antitative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ncreased in all three grades. In the case of second-year students who set up a comparison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I literacy result, and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male students.

문장 유사성 분석을 위한 한국어 패러프레이즈 말뭉치 및 구축 가이드라인 (Korean Paraphrase Corpus and Building Guidelines for Sentence Similarity Analysis)

  • 오교중;김현민;고보원;남제현;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27-530
    • /
    • 2019
  • 최근 각 산업분야에서 대화 시스템과 챗봇 기술의 업무로의 도입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어 패러프레이즈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는 연구와 평가 목적으로 규모는 작아도 잘 정제된 평가셋을 만드는 것이 중요했으나, 최근에는 기계학습 기술의 발달로 학습을 위한 일정 수준의 품질을 보장하는 대량의 말뭉치를 빠르게 확보하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한국어 패러프레이즈 말뭉치 구축 경험과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인공지능 기반 제품 수용 정도에 인공지능 속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An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tributes on the Adoption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Products)

  • 손권상;유건우;권오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111-129
    • /
    • 2019
  •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신장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스피커, 챗봇 등과 같은 AI 기반 제품(AI-Enabled Products)의 출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기반 제품이 지닌 편익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밝히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AI 기반 제품이 지닌 특징을 고려하여 속성을 분류하여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효용 가치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Lone과 McLean의 IS Success Model을 바탕으로 AI 제품 속성을 AI 속성과 Non-AI 속성으로 구분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각 속성이 지닌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제품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AI 제품의 수용 시점에 따른 AI 제품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응답자의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군집 분석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특징과 니즈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기반 제품의 특성과 속성에 대한 개념적으로 구조화된 틀을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과 각 세분시장에 따라 최적화된 AI 제품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도입에 대한 사서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 Librarians on the Introduction of ChatGPT in School Library)

  • 김지수;강수정;권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349-377
    • /
    • 2023
  •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ChatGPT가 등장하게 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교육분야에서 ChatGPT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서교사에게 있어서 ChatGPT를 활용하는 것은 미래적인 학습도구로써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ChatGPT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도입에 대한 인식, ChatGPT를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ChatGPT를 활용한 실질적인 운영, 성공적 수행을 위한 고려사항, 사서에게 필요한 역량과 환경(인프라),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활용 서비스 발전 방향' 6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ChatGPT 활용 교육 서비스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ChatGPT를 도입하고자한 최초의 연구로 의의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컴퓨터과학 전공자를 위한 NCS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NCS Curriculum for Computer Science Majo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55-860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IT 기술에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술 등이 필요하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산업체에서 필요한 실무적인 IT융합 인력 양성이 컴퓨터 관련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 대두되는 것이 NCS 기반의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IT융합 인력의 양성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IT융합 인력 양성을 위하여 컴퓨터과학 전공을 위한 NCS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제시된 교육과정의 주요 교육 내용에는 포스트 모바일 및 포스트 인터넷 기술을 대표하는 챗봇, 블록체인, 사이버물리시스템 등의 교육 내용이 포함된다.

의료기관 인공지능 챗봇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챗봇의 사회적 실재감 및 신뢰감의 관련성 연구 - 성별과 연령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al presence and trust of chatbots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users in general hospitals : focusing on sex and age)

  • 정승원;황서연;최기은;조은영;이진욱;남진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ge groups on social presence and trust among users of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within these relationships. Method: We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from people who had interacted with general hospital chatbot services, either by making reservations or seeking consulta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and social presence and trus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Additionally, we conducted stratified analysis to confirm the presence of gender differences within these relationship. Results: Among 300 participants, those aged 50 and older had higher social pres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and greater trus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social presence, 𝛽=0.543, p=0.003; trust, 𝛽=0.787, p=0.000). In stratified by sex, women aged 50 and older had higher social presence and trus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compared to those in their 30s age group (social presence, 𝛽 = 0.925, p=0.002; trust, 𝛽=0.645, p=:0.007).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chatbot social presence and trust in me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dvanced age plays a significant roles in users' social presence and trust in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uthermore, our findings reveal gender differences with women aged 50 and older showing the most substantial levels of social presence and tru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finding can serve as valuable evidence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 service users, offering crucial insights into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hatbot services.

  • PDF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수업 경험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프로그래밍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Utilization of Generative AI-Based Classes - Focusing on Programming Classes)

  • 박중오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1_spc호
    • /
    • pp.33-39
    • /
    • 2024
  • 본 연구는 최근 생성형 AI로 인한 새로운 교육 트렌드 변화에 학습자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긍정/부정 인식의 변화와 실제 활용 형태를 살펴본다. 공학 계열 대학생 6학급을 대상으로 2학기 동안 AI 챗봇을 웹 프로그래밍 수업에 활용하였고, 학기 초부터 설문 조사를 시작으로 중간/기말 고사 보고서 제출 기간까지 학습자의 경험과 활용에 대한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분석 결과, Q/A 피드백과 실습 문제 해결 등 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었고, 수업 적용 이후 중간부터 기말범위까지 챗봇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외 수업 내에 커뮤니티 단절(개인화) 문제와 교육 S/W로써 활용 방안에 대한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생성형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사전학습 모델을 이용한 음식업종 고객 발화 의도 분류 분석 (Analysis of utterance intent classification of cutomer in the food industry using Pretrained Model)

  • 김준회;임희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3-44
    • /
    • 2022
  • 기존 자연어 처리 모델은 문맥 단위 단어 임베딩을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한편 최근 BERT 기반 사전학습 모델들은 문장 단위 임베딩이 가능하고 사전학습을 통해 학습 효율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학습 언어 모델들을 이용하여 음식점, 배달전문점 등 음식 업종에서 발생한 고객 발화 의도를 분류하고 모델별 성능을 비교하여 최적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전학습 모델의 한국어 코퍼스와 Vocab 사이즈가 클수록 고객의 발화 의도를 잘 예측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발화자의 의도를 크게 문의와 요청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문의와 요청의 큰 차이점인 '물음표'를 제거한 후 성능을 비교해본 결과, 물음표가 존재할 때 발화자 의도 예측에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음식 업종에서 발화자의 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챗봇 시스템 등에 활용한다면, 발화자의 의도에 적합한 서비스를 정확하게 적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hatGPT를 활용한 수자원시스템분야 문제해결사례 소개 및 고찰 (Research cases and considerations in the field of hydrosystems using ChatGPT)

  • 유도근;이찬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98-98
    • /
    • 2023
  • ChatGPT(Chat과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합성어)는 사용자와 주고받는 대화의 과정을 통해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대형언어모델로, 지도학습과 강화학습을 모두 사용하여 세밀하게 조정된 인공지능 챗봇이다. ChatGPT는 주고받은 대화와 대화의 문맥을 기억할 수 있으며, 보고서나 실제로 작동하는 파이썬 코드를 비롯한 인간과 유사하게 상세하고 논리적인 글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시스템분야의 문제해결에 있어 ChatGPT의 적용가능성을 사례기반으로 확인하고, ChatGPT의 올바른 활용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고찰하였다. 수자원시스템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주제인 상수관망시스템의 누수인지와 수리해석을 통한 문제해결에 ChatGPT를 활용하였다. 즉, 딥러닝 기반의 데이터분석을 활용한 누수인지와 오픈소스기반의 수리해석 모델을 활용한 관망시스템 적정 분석을 목표로 ChatGPT와 대화를 진행하고, ChatGPT에 의해 제안된 코드를 구동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ChatGPT가 제시한 코드의 구동결과를 사전에 연구자가 직접 구현한 코드구동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hatGPT가 제시한 코드가 보다 더 간결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경쟁력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상대적으로 간결한 코드와 우수한 구동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한 다수의 질문을 해야 하며, ChatGPT에 의해 작성된 코드의 의미를 명확히 해석하거나 비판적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지식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컨택센터 중심에서 인공지능 챗봇 중심 고객 서비스로의 사용자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witching Intention from Contact Center-oriented to AI Chatbot-Oriented Customer Services)

  • 안승규;안현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7-76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nd effects on the users' intention to switch from contact center-oriented to AI chatbot-oriented customer services by combining Push-Pull-Mooring Model and provides insights for companies considering the adoption of AI chatbots. To test the model, we surveyed users with experience using chatbots at least once across different age groups. Finally, we analyzed 176 cases for the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and SmartPLS 4.0.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rejected the hypotheses for variables of inconsistent quality and low availability of push factors and low switching cost of mooring factor while accepting the hypotheses for the tardy response of push factors and all pull factors.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wish to conduct research or adopt AI chatbots. In conclusion, users do not feel inconvenienced by the contact center-oriented service but also perceive high trust and convenience with AI chatbot-oriented service. However, despite low switching costs, users consider chatbots a complementary tool rather than an alternative. So, companies adopting AI chatbots should consider what features the users expect from AI chatbots and facilitate these features when implementing AI chatb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