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자연 관계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 Kang, Dong-so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6
    • /
    • pp.1-31
    • /
    • 2010
  • This Article studies a meaning of geometrical-mathematical spatial idea in the source of modern theories of space. Modern theories of space elucidated a relation of human and space through the geometrical terms; point, line, plane and extension etc. Descartes and Newton identified space as a natural realty, Leibniz and Kant elucidated space as a subjective idea or form. It is the result of modern spatial theories that space is lied nearly in human. In the meaning of natural space, space is empirically unfolded with a shape of measuring in front of human's eyes. In the meaning of cognitional space, space is a method or subjective cognitional form that human understands nature and constitutes world. Modern theories of space would be divided into four patterns. In Newton's theory space is absolutely prior to things. In Leibniz' theory space is a co-existence order of Monads. In Descartes's theory space is identified with extension. In Kant's theory space is cognitional form of subject. They all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the source of space. In their confrontation they reflected on the relation of human and space in their own standpoint. We classify their particularly differential concepts of space into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And then we analyze a difference of spatial meanings, and then investigate foundations of meaning of modern theories of space. On the one hand they are become to the source of alienation of human from space. But on the other they are contributed to get space familiar with human through a wakening for the correlation of human and space. The natural space indicates that with measurable shape space is extended really in front of human's experiential eyes. But the cognitional space elucidates that space is only a subjective idea or form with which human understands nature and constructs world. In the former it is embossed that space is independent to human, and is able to be measured and to be treated according to natural raws. In the latter it is evidenced that space is not separated to human, and that space is not without human, and a correlation existed between human and space. Humanist ideal is declared in them. It was a declaration of human sovereignty to nature. But this declaration is caused to alienate human beings from space.

Ecology and Productive Justice in Marx (맑스의 생택학과 생산적 정의)

  • 최병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49-472
    • /
    • 1999
  • 본 논문은 맑스가 자본주의의 사회적 및 환경적 부정의를 비판하고 정의로운 사회 및 자연과의 관계를 위한 사회주의적 프로젝트를 제안했던 원칙들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적 생태학 일반 그리고 특히 환경정의 이론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주의 사회 및 자연에 대한 맑스의 비판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에 관한 그의 개념은 두가지 기본적인 정의 원리들, 즉 인간과 자연 간 관계에 관한 그의 생태적 개념화에서 도출될 수 있는‘필요’원칙과 ‘노동’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도덕성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그의 거부로 인해, 맑스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일관하면서 자본주의에서의 정의 이론을 발전시키지 않았지만, 반면 그는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환경)정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안했다. 그리고 끝으로 그의 환경정의에 관한 개념화는 단지 분배적 정의 패러다임으로만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그가 생산을 교환.분배 그리고 소비를 포함하는 유기적 전체로서 이해한 바와 같이 ‘생산적 정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과 관련지어 이해되어야 한다.

  • PDF

Analysis and Comparison of Views of Nature Between East Asia and the Western World and its Meaning (동아시아·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관 비교 분석)

  • Lee, Yumi;Son, Yeon-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3
    • /
    • pp.485-498
    • /
    • 2016
  • In this study, the views and the meaning of nature between the Western world and East Asia were compa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e West, it is recognized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are separate. Nature is understood as regular and rational. They, therefore, take the view of particle and mechanical theory. In East Asia, it is thought that nature and human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ake an attitude of compromise and tolerance. Since nature is recognized as an ever-changing being, they, therefore, take the position of wave theory. Scientific knowledge and concepts are accepted depending on the personal view of nature. In Korea, science education follows the view of modern western science without considering the personal pattern of cognition, though students can have various views of nature. The attitude is needed regarding the various viewpoints as rich resources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Eco-ethical Approach to Sporting body: Focusing on Toegye's Gyeong (운동하는 몸에 대한 생태윤리학적 접근(1): 퇴계의 경을 중심으로)

  • Lee, Jeong-Ran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5 no.3
    • /
    • pp.15-25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an eco-ethical approach to the sporting body, focusing on Toegye's Gyeong. A causes for the conflict between man and nature is a wrong view of nature derived from human desire. Toegye thought that the problem of desire could be overcome through Gyeong. Eco-ethical approaches of Toegye's gyeong thought are possibl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ecause Toegye's gyeong is completed in nature. Second, because Toegye's gyeong emphasize human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for nature. Third, because gyeong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practice morality. Meanwhile, Toegye understood 'preserving the body well' as self-preservatio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eaning of a natural principle of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From this perspective, the sporting body has meanings of physical fitness and mental health and at the same time, an aspect of ecological values of understanding man and nature as a single network and following the order of nature. Acquisition of Gyeong through the sporting body suggests the practice of 'gyeongsin (respect for the body)' and 'hwalgyeong (preserv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When human beings do physical exercise with nature, they proceed to the stage of building up the virtue of yosan yosu (finding happiness in mountains and water) through nature preserv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hwalgyeong) beyond staying at the stage of gyeongsin.

Farmers perception of and adjustment to typhoon hazards on Cheju island, Korea (태풍재해에 관한 제주도 농부들의 인식과 적응도 연구)

  • Kim, Wook-Jo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 /
    • pp.93-114
    • /
    • 1989
  • 거의 해마다 내습하는 태풍위험을 제주지역 농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적응하고 있는지 아울러 이와같이 연례행사처럼 발생하는 태풍재해 문제 해결에 있어 정부관계기관의 역할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위 연구과제를 살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이 전제되었다. 첫째, 태풍과 같은 자연발생적 위협과 빈번한 접촉내지 오랜 경험은 인간에게 위험과 손실을 준다는 자각으로 이끌며 또한 장차 발생의 정확한 예측에 비교적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들은 그와같은 자연발생적 위협으로부터 일시 피하거나 위협지역으로부터 아주 떠나 버린다기 보다 오히려 적응이라는 선택을 취한다. 둘째, 인간이 이와같은 위협지역 제주도와 같이 사회문화적인 특성이 뚜렷한 지역에 삶의 터전을 가지고 있는 것은 경제적 요인에서라기보다도 사회문화적 바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셋째로, 정부의 이와같은 자연발생적 재해문제 해결은 해당 지역 거주주민들과 보다 긴밀한 컴뮤니케이션과 함께 정부나 컴뮤니티를 통한 자연재해에 관한 계몽교육을 강화함으로서 그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총 113명의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가구주들을 제주도의 상습태풍재해지구에서 무작위 단게별군집(Random-cluster Stratified Sampling)방법에 의하여 선별하고 태풍위협에 대한 개인별 재해인식과 인간 적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된 설문서를 통하여 각기 면담, 연구분석자료가 수집되었다. 제주농부들의 태풍에 대한 자각과 적응은 제주도 나름의 풍토에서 오랜 삶의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결과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한편, 장차 태풍 내습에 대한 그들의 예측은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태풍재해에 대한 적응은 동기적이고 예방적 즉, 농부들은 재해의 근원적 소멸을 위해 재해지역을 떠난다기보다 오히려 피해를 감수하고 있었으며 또한 그들의 기본 영농방법이나 작물의 대체를 급격히 전환한다기 보다 부분적으로 수정, 변경시켜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들의 적응과정은 현대적 영농기술과 그들 특유의 전통적 방법을 혼합 병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이나 친척 이웃과의 유대관계가 재해지역에 거주하는 지배적 이유로 나타났다. 또 한편, 해당연구지역 농부들은 태풍피해에 대한 정부의 보조를 알고는 있으나 그것이 재해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고 있다. 그들은 더욱 많은 재정적 보조를 희망하는 것만큼 연례저긍로 내습, 피해를 주고 있는 태풍재해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좀더 효과적 예방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 PDF

대순진리회의 '제생의세(濟生醫世)' 사상과 도교의 '즉신의세(即身醫世)' 사상 및 현대적 의의

  • 가이젠민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4_1
    • /
    • pp.43-96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순의 '제생의세'와 도교의 '제인도세(濟人度世)', '신국동치(身國同治)' 사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것의 현대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특히 대순의 '제생의세' 사상은 중국 명나라시기 도사인 민일득(閔一得)이 저술한 『고서은루장서(古書隱樓藏書)』에 나오는 '즉신의세' 사상과 많은 유사점이 발견된다. 대순진리회 역시 도교와 마찬가지로 몸과 나라를 같이 다스리는 사상을 통해 내단 수련법을 제시하였으며, 내법(內法)을 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생의세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삼대목적을 실현하는 요결(要訣)을 보면, 그것은 곧 천지와 심신의 조화와 안정을 이루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대순사상은 도교의 '신국동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순진리회와 민일득의 '신국동치' 사상의 이론적 배경에는 유불도 '삼교병용(三敎倂用)', '삼교동수(三敎同修)' 사상이 깃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대순의 '제생의세' 사상과 도교의 '즉신의세' 사상은 모두 현실사회에서 자신의 몸을 잘 다스리는 것을 통하여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교리를 담고 있다. 양자 모두 사회의 병폐를 충분히 인식한 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관계개선을 통하여 인간과 세상을 다스리려 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견해는 매우 큰 특색이 있으며, 시대를 초월한 사상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의세(醫世)' 사상이 나타내는 인간에 대한 관심, 사회와 생태계에 대한 윤리의식은 중요한 시대적 가치를 지닌다. 이들은 사회의 발전에 적응하면서 시대적 요구에 맞춰 탄생된 종교사상이다. 이는 사회적 폐단을 해결하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관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현실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뉴에코 패션 디자인 연구

  • 김외선;양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52-52
    • /
    • 2004
  • 생태학은 세계를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는 전체적이고 통합적이며 유기적인 자연관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근저로 하고 있는 생태학적 세계관은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통합된 관계망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패션디자인에서는 80년대 이후 생태학의 개념을 응용한 에코 패션이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발하게 유행ㆍ전개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Motif in Animations (애니메이션의 변신(變身) 모티프 연구)

  • Cho, Mi-Ra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1
    • /
    • pp.153-167
    • /
    • 2007
  • This paper examined the immanent ideological bases in the transformation motif of animations, focusing on several leading animation works in which a human gets transformed into an animal, or vice versa, and also took a look at what meaning and function this transformation motif adds to their narra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imation texts centered on the transformation motif, transforming into an animal in is applied as a means for punishment. It shows the notion that the animals need men's care, that is, the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that the animals need to be overcome and conquered had a strong influence upon this work. However, in , a boy realizes that the animals(nature) are not the targets to conquer and learns to appreciate the principle of Mother Nature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a bear. By this description, this work shows deep reflection on nature and human being. Lastly, shows a desire to overpass the border to forbidden things,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animals(nature) in a variety of perspectiv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variety of attitudes toward the transformation targets is formed in each work.

  • PDF

The Development of RFMatrix-based Context Awareness Model (상황인지 추론을 위한 RFMatrix 기반의 모델 개발)

  • Kim, Jong-Gon;Lee, Seong-Il;Park, Kwang-Hyun;Song, Kyo-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40-347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상황인지 컴퓨팅"이 점차 확산되어짐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주변의 환경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과 인간과 컴퓨터 관계가 증가하면 할 수 록 인간과 인간의 관계처럼 좀 더 자연스러운 관계를 유지 할 수 있는 상황인지 컴퓨팅이라는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인지 컴퓨팅을 통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을 정의 할 수 있는 상황인지 모델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상황인지 모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5W1H를 이용하여 상황을 정의하고, RFMatrix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반영한 RFMatrix 기반의 상황인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RFMatrix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학습공간의 실험을 통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ymmetrical Thinking' Revealed in (<괴물의 아이>에 나타난 '대칭적 사유' 연구)

  • Jeong, Kyung-wo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9
    • /
    • pp.113-142
    • /
    • 2017
  • Mamoru Hosoda's (2015) depicts the adventure with which a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isolated boy is growing through a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beings.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essence of 'Relationships' and 'True Growth' that the director presents to us. In the film, a boy's adventure is centered on two worlds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Here, the human world refers to a civilized society, and the beast world 'Naturalness' as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in the mirror-relationship with the human world were originally a world,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lace for all existing things were connected in one. Human beings were never superior to the surrounding beings, but all beings were equal in relationship. The way of thinking in that age is called 'Symmetrical Thinking.' But as human beings opened the road to self-centered civilization, they eliminated 'Nature' inside themselves. As a result, the two worlds (human beings and nature, or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were eventually separated. This destroyed not only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but also the human-to-human relationship,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ized society where we currently live. Through the boy's question, "Who am I?", the director suggests to us that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as a natural being should be reinstated. This means that a human being restores the "relationship" with all beings (other beings) surrounding himself or herself, which is the only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violences of the civilized society that we have created. The full growth of a human being is achieved at this point. In this way, offers a reflection on the human civilization and society, and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with other beings, through cosmic thinking (symmetrical thinking) that we have lost. In this respect, it is a text presented as a 'Model of Maturity' for an immature hum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