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간 상호작용성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6초

Implementation of VR Interface using 3D Visual Information (3차원 시각정보를 이용한 VR 인터폐이스 구현)

  • 오재용;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5-168
    • /
    • 2001
  • 최근 인간과 컴퓨터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인간의 행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해 3차원 센서 등의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원활한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고, 또한 시스템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시스템으로의 응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센서가 아닌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을 입력받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대상이어떠한 상태이고, 어떤 동작을 취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과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User Intervention Handling in Script-Based Human-Robot Interaction (스크립트 기반 인간 - 로봇 상호작용에서의 사용자 개입 처리)

  • Kim, Hyun-Joong;Yoon, Wan-Chul;Kim, Yo-Chan;Kwon, Hyuk-T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35-242
    • /
    • 2007
  • 로봇의 활동 영역이 산업 현장에서 인간의 일상 생활 공간으로 확장됨에 따라서, 로봇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성능 좋은 도구 개념에서 벗어나 일상 생활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파트너로 생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명령과 조작 방법을 통한 단순한 상호작용만이 일어나던 과거와 달리, 사용자는 마치 사람을 대하듯 자연스럽게 로봇과 상호작용하기를 기대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본래 context를 활용하여 모호한 표현을 하더라도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화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로봇이 처한 상황적 모호성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여, 스크립트 기반의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 해결 노력이 그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태스크 수행중인 로봇에 자유롭게 사용자가 개입하는 상황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개입하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이며, 로봇은 어떤 전략으로 이에 대처해야 하는지 분석한 뒤, 사용자 개입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된 프로세스를 구현해 봄으로써 그 효용성을 검증한다.

  • PDF

가전 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 방식 평가 : VTR 예악녹화 기능을 중심으로

  • 이용희;김경택;차혜영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9-104
    • /
    • 1998
  • 가전 기기의 기능이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적절하게 수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 계가 중요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가전 기기의 하나인 VTR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사하 였다. 특히, VTR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어려움을 호소하는 예약녹화 기능에 따른 사용자의 상호작용 방 식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전사의 네 가지 제품에 대하여 설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사용자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설계 요인으로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상호작용의 일관성 등 기능적인 측면을 중 심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인간공학적 척도에 대한 자료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분석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Validation of Domain Combination Based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Method Using Human and Fly Proteins (인간 및 초파리 단백질을 대상으로 한 도메인 조합 기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검증)

  • Jang Woo-Hyuk;Han Dong-Soo;Kim Hong-Soog;Lee Sung-Dok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235-237
    • /
    • 2005
  • 도메인 조합 기반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DCPPIP)은 효모 단백질에 대하여 뛰어난 정확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종에서의 예측 정확도 및 기법의 유효성은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파리 및 인간 단백질을 이용한 예측 정확도 검증 및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 실험의 결과를 기술한다. 초파리와 인간 단백질의 실험에서는 각각 10,351개와 2,345개의 상호작용 단백질 쌍이 사용되었다. 초파리와 인간의 상호작용 단백질 쌍 중 $80\%$$20\%$를 각각 학습집단 및 실험집단으로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이 없는 단백질 쌍의 학습집단은 1배에서 5배까지 변화시키면서 예측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정확도는 실험집단 중 학습집단과 도메인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쌍들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이 결과 초파리에서는 약 $77\%$의 민감도와 $92\%$의 특이도가 확인되었고 인간 단백질에 대하여는 약 $96\%$의 민감도와 $95\%$의 특이도를 보여주었다.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 실험은 효모, 초파리, 효모+초파리에 해당하는 학습집단 각각을 바탕으로 Human, Mouse, H. pylori, E. coli, C. elegans 등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집단의 도메인이 실험집단의 도메인과 많이 겹칠 수륵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도메인 집단간의 유사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한 Domain Overlapping Rate(DOR)는 상호작용 예측 정확도의 중요한 요소임을 찾아 내었다.

  • PDF

Interdependence and Relatedness as Personal Dignity: Focusing 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mentia (인간 존엄의 조건으로서의 상호의존과 연결성: 치매인의 경험세계를 중심으로)

  • Park, Eon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제20권8호
    • /
    • pp.429-43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that personal dignity of people with dementia would be maintained in their everyday experiences.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with people with dementia as individuals or couple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 capacities and power of people with dementia were embodied in their bodies and found in their behaviors, nonverbal communications, and performances of social roles as forms of interaffectivity. Second, as a subcategories of personal identity, dignity of identity of people with dementia was maintained based on their sense of self, personhood, and couplehood. Finally, for personal dignity of people with dementia, it might be important to practice their embodied capacities and power and to construct and manage the context of interdependence and relatedness through interaffectivity to maintain thier sense of self, personhood, and couplehood. Human dignity based on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could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interdepedence and relatedness.

Affective interaction to emotion expressive VR agents (가상현실 에이전트와의 감성적 상호작용 기법)

  • Choi, Ah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제22권5호
    • /
    • pp.37-47
    • /
    • 2016
  • This study evaluate user feedback such as physiological response and facial expression when subjects play a social decision making game with interactive virtual agent partners. In the social decision making game, subjects will invest some of money or credit in one of projects. Their partners (virtual agents) will also invest in one of the projects. They will interact with different kinds of virtual agents which behave reciprocated or unreciprocated behavior while expressing socially affective facial expression. The total money or credit which the subject earns is contingent on partner's choice. From this study, I observed that subject's appraisal of interaction with cooperative/uncooperative (or friendly/unfriendly) virtual agents in an investment game result in increased autonomic and somatic response, and that these responses were observed by physiological signal and facial expression in real time. For assessing user feedback,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Galvanic skin response (GSR) sensor while capturing front facial image of the subject from web camera were used. After all trials, subjects asked to answer to questions associated with evaluation how much these interaction with virtual agents affect to their appraisals.

From Ambient to Interactive: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on Public Display Based on the Spatial Relationship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 An, Mi-Hye;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069-1074
    • /
    • 2009
  • Public displays are evolving from a one-way display to an interactive medium which contains dynamic transition of various media.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digital technology-based art on public display from a HCI point of view, while several viewpoints exist on interactive public displays. We present a new interaction model which suggests different interactions depending on the viewer's distance and direction so that public display could offer rich media experiences. We have also and built an installation art to examine the efficacy of our interaction model. As such, we introduced two methodologies from HCI to derive our final interaction model. First of all, we analyze previous distance-dependent interaction models for public display in terms of context analytic approach, and propose an effective model for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Second, we introduce the concept of aura in HCI as user analytic approach to redefine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viewer's direction of attention.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interac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two analyses to improv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digital technology-based art on public display.

  • PDF

Natural Hand Detection and Tracking (자연스러운 손 추출 및 추적)

  • Kim, Hye-Jin;Kwak, Keun-Chang;Kim, Do-Hyung;Bae, Kyung-Sook;Yoon, Ho-Sub;Chi, Su-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48-153
    • /
    • 2006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은 과거 컴퓨터란 어렵고 소수의 숙련자만이 다루는 것이라는 인식을 바꾸어 놓았다. HCI 는 컴퓨터 사용자인 인간에게 거부감 없이 수용되기 위해 인간과 컴퓨터가 조화를 이루는데 많은 성과를 거두어왔다. 컴퓨터 비전에 기반을 두고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사용자 의도 및 행위 인식 연구들이 많이 행해져 왔다. 특히 손을 이용한 제스처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컴퓨터 그리고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손 추출 및 추적 알고리즘은 비전에 기반한 호출자 인식과 손 추적 알고리즘을 병행한 자연스러운 손 추출 및 추적 알고리즘이다.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상호간의 주의집중 방식인 호출 제스처를 인식하여 기반하여 사용자가 인간과 의사소통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컴퓨터/로봇의 주의집중을 끌도록 하였다. 또한 호출 제스처에 의해서 추출된 손동작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호출 제스처는 카메라 앞에 존재할 때 컴퓨터/로봇의 사용자가 자신에게 주의를 끌 수 있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호출 제스처 인식을 통해 복수의 사람이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또한 원거리에서도 사용자는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자 함을 컴퓨터/로봇에게 알릴 수 있다. 호출 제스처를 이용한 손 추출 방식은 자연스러운 손 추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손 추출 방식은 피부색을 이용하고 일정 범위 안에 손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져왔다. 이는 사용자가 제스처를 하기 위해서는 특정 자세로 고정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호출 제스처를 통해 손을 추출하게 될 경우 서거나 앉거나 심지어 누워있는 상태 등 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손을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손 추적 알고리즘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획득된 손의 위치 정보를 추적하도록 고안되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색깔정보와 모션 정보를 융합하여 손의 위치를 검출한다. 손의 피부색 정보는 신경망으로 다양한 피부색 그룹과 피부색이 아닌 그룹을 학습시켜 얻었다. 손의 모션 정보는 연속 영상에서 프레임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영역을 추출하였다. 피부색정보와 모션정보로 융합된 영상에서 블랍 분석을 하고 이를 민쉬프트로 추적하여 손을 추적하였다. 제안된 손 추출 및 추적 방법은 컴퓨터/로봇의 사용자가 인간과 마주하듯 컴퓨터/로봇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 for Indoor Design base of Interactive using Digital Art (디지털 아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 표현 연구)

  • Kim, Jae-Heon;Kim, Chee-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제13권11호
    • /
    • pp.2473-2478
    • /
    • 2009
  • The latest, Digital art is attempt new field's Art, that is utilize variously digital media image, sound, simulation, 3D holography. A large number of Digital Art is contact with the audience in pavilion(limit place and limit period). However, It will be possible, Digital Art can use place digital form media even there are indoor, outdoor, anywhere. Prior to study, I was to analyze the feature of Digital Art in order to using Digital Art, Interactivity make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the art as well as cause audience participation, and take a role of bridge between human and space. A study was ba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space and Digital Art, Digital Art and human taken the focus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space, and Interactivity of Digital Art. This paper analyze reciprocal action for utilize Digital Art in indoor space design, and this paper study expression about indoor design base of interactive.

Analysis on Children Robot Interaction with Dramatic Playes for Better Augmented Reality (어린이 극놀이 증강현실감을 위한 아동로봇상호작용 분석)

  • Han, Jeong-Hy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제17권6호
    • /
    • pp.531-536
    • /
    • 2016
  •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analyzing the feelings children have when interacting with robots in a dramatic play sett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Human Robot Interaction (HRI). Existing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robots by QR-markers were edited, and their weaknesses have been corrected so that children could interact more effectively with robots. Additionally, children's levels of interest and engagement in dramatic play activities, the accuracy of robotic props, and the smartness of robots were analyzed throughout children's interactions during such activities using augmented reality. Younger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find robots interesting and intelligent, and participant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robots ha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interest in robots and tended to notice changes in robots' costu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