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합체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니트로메탄의 분자 간 수소결합과 니트로메탄 이합체의 안정화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n the Inter-molecular Hydrogen Bond Between Nitromethanes and the Stabilization of Nitromethane Dimer)

  • 이민주;김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9-235
    • /
    • 2004
  • 고에너지 화합물의 수소결합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nitromethane 단량체 (monomer)와 이합체 (dimer)에 대하여 Gaussian-9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restricted BLYP/6-311++G(d,p), B3LYP/6-311++G(d,p), MP2/6-311++G 계산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nitromethane 단량체 및 이합체의 구조와 수소결합 및 진동스펙트럼을 구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 nitromethane 상온에서 분자 간에 두 개의 수소결합을 이루며 이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 이 이합체는 단량체보다 BLYP, B3LYP, MP2 level 계산에서 각각 약 15.2, 19.4, 32.6 kJ/mol 만큼 안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갖는 $\alpha$-Amylase계열 Cycloma1todextrin 분해효소들의 구조와 기능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of Cyclomaltodextrinases in Their Multispecificity)

  • 김정완;조희연;김영배;박관화
    • 미생물과산업
    • /
    • 제27권1호
    • /
    • pp.2-17
    • /
    • 2001
  • Cyclomaltodextrinase(CDase, EC 3.2.1.54), maltogenic amylase(EC 3.2.1.133). neopullulanase(EC 3.2.1.135)는 cyclomaltodextrin(CD), pullulan 및 전분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들이다. 이 효소들은 $\alpha$-1,4-Ο-glycosidic 결합에 작용하여 CD와 전분을 말토오스로 pullulan을 panose로 가수분해할 뿐만 아니라 올리고당들을 다양한 당 수용체 분자들의 C-3, C-4. C-6 수산기로 전이시키는 활성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기존의 $\alpha$-amylase를 비롯한 판수화물 분해효소들과 뚜렷이 구별되는 것으로 전분 분해효소들의 분류체계에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본 총설에서는 CDase, maltogenic amylase, neopullulanase처럼 pullulan이나 전분보다 CD를 훨씬 더 잘 분해하는 효소들과 Thermoactinomyces vulgaris amylase II(TVA II)처럼 CD를 분해하기는 하나 pullulan을 더 잘 분해하는 효소들의 생화학적, 효소적, 구조적 특성들을 종합하여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 효소들은 40~60% 정도로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하고, 세포 내에 존재하며, 분자량이 62~90 kDa로 $\alpha$-amylase보다 다소 크다. 아미노산 서열 비교분석 및 maltogenic amylase와 TVA II 등의 3차구조 분석 결과, 이 효소들은 아미노 말단에 보통 $\alpha$-amylase에는 존재하지 않는 약 130개 아미노산으로된 영역을 갖고 있어 이를 매개로 이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합체-단위체 평형은 염 농도, 효소 농도, 산도 등에 의해 조절되고 단위체와 이합체 모두 효소환성을 갖고 있으나, 기질 특이성이 다르며 단위체는 전분을, 이합체는 CD를 선호하는데 이는 이합체 형성 시 활성부위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CD 분해효소들의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올리고머 형성 등의 구조적 특성과 관련하여 논함으로써 관련 효소들의 분류체계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효소들의 생리적 기능 및 산업적 이용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ATF2 전사인자의 발현과 AP-1 전사인자인 BATF, c-Fos, c-Jun과의 이량체 형성 (Expression of ATE2 Transcrip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with AP-1 Factors : BATF, c-Fos, c-Jun)

  • 장혜영;김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28-934
    • /
    • 2005
  • ATF2는 c-Fos와 c-Jun과 같은 전사인자이며 이들은 루신지퍼 단백질이다. 루신지퍼 단백질은 동형이합체 혹은 이형이합체를 형성하며 promoter 영역에 결합하여 전사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의 전사인자 ATF2는 ATF/CRE site에 결합하며 특히 선택적인 interfamily 이형이량체를 형성함으로써 전사 조절에 있어서 다양한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TF2 cDNA를 6xHis를 가진 expression vector에 subcloning하여 E.cnli BL2l에서 발현시켰다. 6xHis tag은 nickel-chelating chromatography를 가능하게 하였다 발현된 ATF2는 In vitro binding pull-down assay에서 동형이합체를 이를 뿐만 아니라 AP-1 그룹의 인자들과 선택적인 이형이합체를 형성함을 보여 주었다. BATF와는 강하게 결합하였으며 c-Jun과도 안정된 이합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c-Fos와는 이합체를 형성하지 않으므로서 AP-1그룹 내에서도 이합체 형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매트릭스에 의해 희석된 ACETONITRILE과 DMF 분자클라스터의 80K에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분석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a of Molecular Clusters of Acetonitrile and DMF Diluted by Matrices at 80K)

  • 김완희;정종학;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285-294
    • /
    • 1992
  • 80K에서 사염화탄소 또는 크세논 매트릭스에 의해 희석된 상태에서 $CH_3CN$과 DMF 분자의 이합체의 구조를 적외선 흡수 분광법으로 연구하였다. 시료와 매트릭스 물질을 저온의 KBr트랩창에 함께 퇴적시키고, 순수한 시료와 매트릭스에 희석된 시료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이합체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CH_3CN$의 이합체는 반평행 모양을 그리고 DMF 이합체는 마주보는 선형을 나타내었다. 매트릭스에 희석된 시료에 온도를 상승시키면 순수한 시료와 같은 모양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보여 주었다.

  • PDF

p-aminodiphenylamine을 이용한 폴리아닐린 분자량 조절 (Control of Polyaniline Molecular Weight Based on p-aminodiphenylamine)

  • 홍장후;전제열
    • 공업화학
    • /
    • 제20권1호
    • /
    • pp.75-79
    • /
    • 2009
  • 아닐린 단량체(monomer)의 화학적 중합시 사슬성장의 핵심생성구간에서 아닐린 이합체(dimer, p-aminodiphenylamine)의 몰 비율을 조절하여 반응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분자량(Mw, 20000~10000) 조절이 가능한 폴리아닐린을 합성 하였다. 중합반응의 개시로 부터 측정된 반응시간에 따른 open-circuit potential 측정결과 첨가된 이합체의 몰수가 증가할수록 중합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첨가된 이합체의 몰수가 증가할수록 UV/Vis. 측정결과 합성된 폴리아닐린의 흡수띄가 단파장으로 이동하였으며, GPC 측정결과 분자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HF)_2(CO)$ 분자착물에 관한 Ab Initio 연구 (Ab Initio Studies on the $(HF)_2(CO)$ Trimers)

  • 김승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9-637
    • /
    • 1998
  • $6-31+G^{\ast}^{\ast}와\;6-311+G^{\ast}^{\ast}$의 기본조를 사용해서 이합체 분자착물 FH…FH, FH…CO, FH…OC 뿐만 아니라 $(HF)_2(CO)$의 형성가능한 두가지 삼합체 분자착물들에 대해서 HF-SCF, MP2 그리고 B3LYP 계산을 수행했다. 이 삼합체 분자착물들에 대한 여러 가지 바닥상태 성질들을 구하였으며, 대응하는 단위체들과 이합체들의 성질들과 비교하였다. FH…CO가 FH…OC에 비해 평균 0.85 kcal/mol 만큼 안정했고, F-H…F-H…C≡O가 F-H…F-H…O≡C 보다 1∼2 kcal/mol 만큼 안정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삼합체 분자착물 형성에 따른 C≡O stretching band 는 그들의 이합체들(FH…CO, FH…OC)에 비해 각각 24, $37\;cm^{-1}$만큼, H-F stretching band는 각각 $54, 353\; cm^{-1}$만큼 red shift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Glassy Carbon 전극에서의 벗김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2-Amino-1-cyclopentene-1-dithiocarboxylate 의 분석과 전극 반응 메카니즘의 연구 (Analysis and Mechanistic Investigation of Redox Process of 2-Amino-1-cyclopentene-1-dithiocarboxylate by Adsorptive Stripping Voltammetry on Glassy Carbon Electrode)

  • 심윤보;박덕수;최성락;원미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7-47
    • /
    • 1988
  • 많은 금속이온들에 대한 킬레이트시약으로 알려진 2-Amino-1-cyclopentene-1-dithiocarboxylate (acdc) 음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직류 폴라로 그래피, 순환 전압전류법 및 양극 벗김 전압 전류법을 사용하여 수용액 및 아세톤 용액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수용액에서 glassy carbon 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0.25V vs. SCE에서 1전자 산화반응을 거쳐 acdc의 이합체가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이합체는 glassy carbon 전극 표면에 석출되어 흡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 흡착된 이합체가 +0.80V에서 2전자 산화반응을 거쳐 S가 한원자 유리된 고리를 형성하는 반응이 일어남을 알았다. 이러한 이합체 생성반응을 이용하여 이 화합물의 흡착성 양극 벗김 전압전류법에 의한 분석법을 조사하였다. 직류폴라로그래피를 사용한 벗김 전압-전류법에 의해 검량선을 얻은 결과 3${\times}10^{-5}{\sim}1.0{\times}10^{-6}$M 사이에서 좋은 직선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확산 전류를 사용한 분석법에 비해 약 100배 가량 분석감도가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검출한계는 $2.5{\times}10^{-7}$M 이었으며 $5.0{\times}10^{-6}$M 에서의 상대표준편차는 ${\pm}$4.1 % 이었다.

  • PDF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의 선택적 수소화에서 2가 알코올의 이합체 형성 부반응 억제효과 (Inhibition of Side Reactions Forming Dimers of Diols in the Selective Hydrogenation of Methacryl Aldehyde)

  • 신국승;차미선;강경구;이창수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79-86
    • /
    • 2023
  • Ru-MACHO-BH 촉매는 α, β-불포화 알데히드 화합물들의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만을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α, β-불포화 알데히드의 수소화 반응은 불균일 딜즈-앨더 반응을 수반하여 부산물인 이합체를 다량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Ru-MACHO-BH (Carbonyl hydrido (tetrahydroborato) [bis (2-diphenyl phosphino ethyl) amino] ruthenium(II)) 촉매를 이용하여, α, β-불포화 알데히드의 한 종류인 메타아크릴 알데히드(methacryl aldehyde) 화합물의 카르보닐기만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켜 메타아릴 알코올(methallyl alcohol)을 합성하며, 동시에 2가 알코올을 부반응 억제제로 적용하였다. 이 결과는 모노 에틸렌 글리콜(mono ethylene glycol)이 이합체의 생성을 현저히 저감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닐기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여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에 존재하는 비닐기의 이합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며, 결국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의 전환율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고가의 귀금속 균일촉매인 Ru-MACHO-BH의 투입량을 1/10로 줄인 상태에서 원하는 생성물인 메타아릴 알코올의 선택도는 약 90% 이상, 수율은 약 80%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율 감소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가의 촉매 사용량을 저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올리고펩티드 사슬이합체의 헬릭스-코일 전이 이론 (A Theory for the Helix/Coil Transition of Oligopeptide Chain Dimer)

  • 김영구;박형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776-782
    • /
    • 1995
  • .alpha. 트로포마이신솨 파라마이신등은 .alpha. 나선-사슬이합체를 이룰수 있다. 사슬이합체의 나선에서 코일로의 전이 현상을 적절이 설명할수 있는 이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전의 이론은 Zimm-Bragg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행렬식으로 올리고펩티드 사슬 이합체의 전이를 설명하였지만 이 이론으로는 올리고펩티드에서 무시할 수 없는 dangling H-bond를 고려할 수 없었다. 본 이론에서는 dangling H-bond까지 고려할수 있는 zipper 모형을 사용하였다. 나선도를 단일 사슬에서 사용되는 나선 개시상수(.sigma.), 나선 안정화(.zeta.)와 소수성상호 인력 매개변수(.omega.) 등의 함수로서 계산할 수 있었다. .alpha. 트로포마이신에서 나선 안정화의 경향을 계산 하였다. 이 올리고펩티드의 온도, 올리고펩티드의 온도, 올리고펩티드농도 변화에 의한 전이는 사슬의 해리와 동시에 일어난다. S-S 결합 등으로 이어진 사슬이 합체나 긴 사슬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는 항상 나선구조로 존재하여 전이가 일어나기 힘들다. 올리고펩티드의 농도에 의한 전이는 사슬의 길이 또는 온도계에 의한 전이보다 급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gregation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with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03-1009
    • /
    • 2021
  •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NaHA)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를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농도에서 최소값(Cmin)을 나타내는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이 최소 농도 이상에서 계면장력의 증가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에서 NaHA사슬과 이합체 계면활성제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형성과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NaHA와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하나의 NaHA 음전하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양전하 비율을 보면 약간 양전하가 우세하나, 전체적으로 전하의 균형은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NaHA/이합체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계면활성제 농도와 점성도의 관계가 비 선형성을 나타내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이 비 선형성은 착물체의 성장에 따른 크기 증가와 Cmin 농도 이상에서의 수축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