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자아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 -심리적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and Resilie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y Happiness-)

  • 박민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93-402
    • /
    • 2011
  • 본 연구목적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지역 복지관과 다문화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총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이중 13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적응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 즉, 세부적으로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해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일반노인 대상 회상치료 프로그램의 자아통합 및 우울, 죽음불안의 개선효과 (The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on Ego integrity, Depressi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 남향자;박중규;김정모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49-61
    • /
    • 2011
  • 본 연구는 회상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의 자아통합감 및 우울, 죽음불안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실험집단은 G시의 요양시설에 입소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15명이었고 이중 14명이 프로그램을 완수하였다. 실험집단과 배합표집된 D시의 재가거주 13명으로 통제집단이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 16주 동안 매주 1시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회기는 생애발달단계를 유년기 및 청소년기, 성인 초기-중기-후기, 노년기의 각 발달단계 별로 회상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및 사후 시점에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통합감 및 우울, 죽음불안에 대해 측정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통합감의 증진을 보였고, 우울 및 죽음불안의 감소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은 노인의 보다 긍정적인 적응증진을 위해 여러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융합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nvergence Leisure Sports Activities)

  • 한상준;이상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515-52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가스포츠 관련 교과를 수강한 수강생 300명이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되는 59부를 제외하여 총 241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의 지지와 타인의 지지 모두 자아 존중감의 긍정적 자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이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31-44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 실천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해놓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원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을 통해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는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진로장애는 자아존중감을 낮췄고,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우울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우울은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uple's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Generativity and Ego Integration)

  • 주용국;이양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905-922
    • /
    • 2018
  • 본 연구는 은퇴 후 부부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경험, 생성감, 자아통합감, 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SPSS for window 21.0프로그램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먼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 생성감, 자아통합감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에서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에서 생성감 및 자아통합감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부부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보다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를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은퇴 후 부부를 같이 조사한 것이 아니라 은퇴 경험이 있는 당사자나 은퇴한 남편을 둔 부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부부와 각자의 배우자가 생활만족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고 이에 따른 변인 간의 경로 간 유의성에도 차이를 보일 수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아내와 남편으로 해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중자아 이미지를 표현한 무대의상 디자인 개발 - 페르난도 아라발의 부조리극 '장엄한 예식'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a Stage Costume Design, which expresses Doppelgänger Image: - Focus on the stage costume in "Le Grand cérémonial", a theater of the absurd -)

  • 한경하;김영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202
    • /
    • 2012
  • With entering the 21st century, modern people's dark inside and panic are emerging as the talking point on the theater stage. Even in the field of stage costume, the necessity of a research is being demanded through analyzing on psychological anguish and structure of charact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llow the stage costume design to be expressed a human being's Doppelg$\ddot{a}$nger Image, which was elicited through analyzing a work of the play titled Le Grand C$\acute{e}$r$\acute{e}$monial by a playwriter Fernando Arrabal, who draws the conflictory and contradictory duplicity, which positions in a human being's deep inside by having chaos as catalyst. A research subject is 'Le Grand C$\acute{e}$r$\acute{e}$monial,' which was staged as the winter performance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for the foundation of Dept. of Theater, Chung-Ang Univ. in November 2009. Psychology of characters in a play, which varies dimensionally, could be delivered, as nonverbal element called costume, by applying costume design of Cavanoza, Syl, Nice to Doppelg$\ddot{a}$nger Image such as Innocence vs Cruelty, Purity vs Superficiality and Restraint vs Freedom, which were elicited through analyzing characters. Through this study, the costume, which was expressed by visualizing a human being's Doppelg$\ddot{a}$nger Image, could be known to function as important dramatic factor of allowing character's psychology to be understood through costume as well as functioning as visual and sensible language, which is important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 research on costume design, which reflects a character's complex inside, is expected to be likely continued through in-depth analysis on a playwriter's intention and on the appearing characters at the current point of time when an active research is being performed on stage costume in the wake of this study.

중·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조병훈;김현진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101-125
    • /
    • 2021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이 다양한 문제를 적응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심리 기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 기제들이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성장 마인드셋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을 설정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통해 참여한 중학생 94명(남자 40명, 여자 54명), 고등학생 134명(남자 63명, 여자 71명), 총 228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SPSS 24.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집단 차이는 정서지능 영역에서만 유의하였고, 성장 마인드셋, 자아탄력성 및 문제해결능력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지능 전체로 보면 여고생이 남중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은 각각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이중매개효과와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rop-out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 박혜진;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81-91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을 통하여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메카니즘을 파악하여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의 3개 시군에서 편의표집한 고등학생 28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중단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 그릿, 또래관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은 자 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증진시키는 상승역할 뿐만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자아존중감→또래관계→학업중단의도의 경로를 조절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이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body shape percep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차혜경;류언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25-4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대생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BMI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56.0%이었다. 구체적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높을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BMI가 높을수록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주관적 체형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되었다. 체형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체형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고 실제 체형을 수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대해 만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상적 체형 기준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tee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self-esteem)

  • 정은서;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15-324
    • /
    • 2016
  •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