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 모색 : 가족과 교육 아젠다를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f policies for children with immigration background in Korea : Focusing on agenda of family and education)

  • 이민경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57-182
    • /
    • 2012
  • 이 연구는 2006년 이후 급속하게 전개되어 온 한국사회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 정책의 가시적. 비가시적 아젠다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그동안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져 온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 정책은 한국사회의 변화를 촉발시키며 다문화사회의 저변을 구축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에 대한 낙인과 부정적인 이미지의 확산 등 정책의 역효과 문제, 이들에 대한 집중지원으로 인한 일반 소외계층 아동 청소년에 대한 역차별 문제 등으로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염두에 두고 성장기인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 교육 정책 아젠다를 분석하여 그 의의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과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한국문화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parenting attitud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migration background on their Korean Culture Acceptance Attitud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배은석;박해긍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5-103
    • /
    • 2024
  • 본 연구는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이 한국사회에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조건인 한국문화수용태도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이주배경을 가진 아동·청소년 12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구글폼을 활용한 온라인 서베이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응답자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표집은 눈덩이·임의표집방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높은 요구 및 반응을 보이는 권위적 태도를 보일 때 아동·청소년이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음을 뜻한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한국문화수용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한국문화수용태도가 결국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정서적으로 느끼는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된 것이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한국문화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한국문화수용태도에서 자아존중감이 없이는 이 모형자체의 성립이 어려움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 아동·청소년의 성장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개입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것 등을 제언하였다.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정신건강 (Understanding of migration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immigrant youth)

  • 유비;최정태;손예진;김기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231-262
    • /
    • 2017
  •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총체적 이주경험은 그간 실천적 학문적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해 왔다. 국외 실증연구들의 결과와 이론적 논의에 의하면 이주와 연관되어 출생지에서 경험하는 유수기간 및 유수기간 내 동거인의 차이와 이주 이후의 거주기간, 가족과 또래의 지지 등 정주지 사회에서의 경험은 이주경험이라는 큰 틀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 시론적인 연구로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이주이전 경험과 이주이후 경험 그리고 우울, 불안, 자살생각 등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주이전의 유수기간과 유수기간 내 주 양육자 이외 친척, 형제, 친구와의 동거여부는 이주이후 또래와 가족의 지지 및 한국문화적응 수준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들과 연관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의 해외(싱가포르, 미국, 호주)와 한국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Focusing on Singapore, the U.S., and Australia)

  • 이주용;이은진;백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89-8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국내외 학교 중심 정신건강 서비스 사례를 비교하여 국내 상황에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외와 국내 서비스 주관 기관의 온·오프라인 공적 자료 및 학술 논문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배경, 목적 및 운영방식을 확인하였다. 국외 사례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수립계획, 사업 수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주도적 정책 수행기관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고,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심각도에 따른 다단계적 개입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정신건강 욕구에 반응하고 있었다. 국내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은 여전히 도입 단계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 간의 협조체계, 효과적인 운영체계마련과 학생, 보호자, 교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