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정애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2초

혈압 수준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및 동맥경화반의 관련성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Levels with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laques)

  • 이영훈;권순석;최진수;이정애;최성우;류소연;신민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298-304
    • /
    • 2009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levels with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CCA-IMT) and carotid plaque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2,635 subjects, aged 50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 Dong-gu, Gwangju city between 2007 and 2008.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lood pressure levels; normotensives (<120/80 mmHg), prehypertensives (120-139/80-89 mmHg), and hypertensives ($\geq$140/90 mmHg). Prehypertensives were further categorized as low prehypertensives (120-129/80-84 mmHg) and high prehypertensives (130-139/85-89 mmHg).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laques were evaluated with a high-resolution B-mode ultrasou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Prehypertensives had significantly greater maximal CCA-IMT values than normotensives, with a multivariate adjusted odds ratio of 1.78 (95% CI=1.36-2.32) for abnormal CCA-IMT (maximal CCA-IMT$\geq$1.0 mm), and 1.45 (95% CI=1.19-1.77) for carotid plaques. The multivariate adjusted odds ratio of low prehypertensives was 1.64 (95% CI=1.21-2.21) for abnormal CCA-IMT, and 1.30 (95% CI=1.04-1.63) for carotid plaques compared with normotensives. Subject with hypertension had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CCA-IMT (odds ratio, 2.18; 95% CI=1.49-3.18), and carotid plaques (odds ratio, 1.98; 95% CI=1.46-2.67) compared with normotensives after adjustment for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arotid atherosclerosis in subjects with prehypertension (even in low prehypertensives) compared with normotensive subjec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benefits and role of carotid ultrasonography in persons with prehypertension.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의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h Added Apricot During Storage)

  • 이정애;신영자;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77-883
    • /
    • 2007
  • 살구를 첨가한 브라운 소스를 12일간 저장 기간별로 살펴본 품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는 없었으나 살구첨가량이 많을수록 pH 값이 낮게 나타났다. 색도는 L값은 살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 소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밝게 나타났으며 a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과 b값은 살구 첨가 소스가 무첨가 소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점성은 저장초기에는 살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우기 초기보다 점성도가 높게 나타났다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 외관상의 색상은 살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브라운 색상도 밝은 색으로 나타났다. 향미는 살구 4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았으며 부드러운 맛은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 군에서 1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았으며 단맛은 살구 첨가 40% 첨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수한 맛은 살구 10%, 20%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는 살구 10% 첨가가 외관의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의 기호도는 살구 10% 첨가와 살구 20% 첨가 브라운 소스가 높게 나타났다. 삼킨 후의 맛은 살구 10%, 살구 20%, 살구 30%, 무첨가, 살구 40% 첨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향미에서는 살구 20% 첨가가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살구 2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 제조시 적절한 살구의 양은 $10{\sim}20%$가 적합하리라 보여진다.

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 이정애;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4-890
    • /
    • 2007
  •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마를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젤리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마 가루 첨가량에 따라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흡광도는 마를 첨가할수록 높아져 투명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젤리의 색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되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매끈한 정도는 대조군이 6.60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 가루 첨가 젤리군에서는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가장 높았으며 깔끔한 맛에서도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이 6.10,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5.70, 마 가루 4 g 첨가 젤리 4.80이 나타났으며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마 가루 2 g 첨가 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마 가루 4 g 첨가 젤리가 높게 나타났다. 마젤리의 이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검사, 기호도 검사결과 마를 이용한 젤리 제조시 마 가루$2{\sim}4$ g 첨가가 가장 적정한 양으로 유도되었다.

건강정보소식지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증진 교육프로그램의 평가 (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 by Newsletter)

  • 손석준;신준호;이정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79-395
    • /
    • 2000
  • 전라남도 남해안에 인접한 일개 군의 45세 이상 보건지소 이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건강 정보 소식지 노출도와 도움여부, 고혈압 및 여름철 건강관리와 잔은 건강관리지식을 조사하여 교육홍보의 효과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중 소식지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225명(64%)이고 구독자가 196명(55%)였다. 2. 소식지의 인지에 영향융 주는 요인은 성과 연령이었다. 여자는 비차비가 0.63으로 남자에 비해 소식지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또 55-64세 구간의 비차비가 0.53이고, 65-74세 구간은 0.43, 75세 이상 구간은 0.32로 연령이 증가할 수록 소식지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3. 소식지의 구독에 영향을 추는 인자는 만성 질환과 연령이었다. 만성질환자의 비차비가 0.41로 일반주민에 비해 소식지를 실제로 구독하는 비율이 낮았다. 또 55-64세 구간은 비차비가 2.26이고 65-74세 구간은 3.48로 소식지의 구독률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소식지의 읽는 습관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교육과 연령이었다. 중학교이상의 비차비가 2.14이고 전문대이상의 비차비가 9.91로 교육정도가 증가할 수록 끝까지 읽는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또 55-64세의 비차비가 0.12이고 65-71세 구간은 027, 75세 이상 구간은 0.18로 연령증가에 따라 끝까지 읽는 사람의 비율은 줄어들었다. 5. 소식지가 도움된다고 응답한 사람은 147명(75.8%)이고, 소식지를 읽고 생활행태의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76명 (39.8%) 이었다. 6. 소식지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고혈압, 여름철 건강관리 점수가 각각 5.6점과 6.3점으로 모르는 사람의 4.8점과 5.7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7. 소식지 구독자의 고혈압 점수는 5.7점으로 비구독자의 5.4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 건강관리는 구독자에서 6.5점으로 비구독자의 5.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가족 가치관이 암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Value on Family Adaptation in Family Who has a Child with Cancer)

  • 박인숙;탁영란;이정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494-510
    • /
    • 2001
  • As a family respond to any stressful situation as a whole system, cancer diagnosis of a child, as a serious life event, could be emotional shock to destroy homeostasis of the family system. A family has a resilient capacity to adjust and adapt to stressful events.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family value as one of resilient factors. The data for model testing were collected from July 18, 2000 to August 30, 2000 and the analysis included 309 parents of children who are diagnosed as cancer, 18 or less years of age, and treated either hospitalized or at the outpatient clinics. The data analysis utilized SAS 6.12 and LISREL 8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ISR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Monthly income (γ=-0.28, t=-5.81)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family strain along with family support (γ=-0.11, t=-2.43), severity of children's illness (γ=0.26, t=5.22), and family stressor (γ=0.22, t=4.62). All of these factors together explained 40% of variance in family strain. 2) Among general family valu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γ=0.28, t=4.89) and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γ=0.20, t=3.60) showed positive effects to family value for cancer children, whil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γ=-0.19, t=-3.22) and the age of the cancer children (γ=-0.11, t=-2.21) showed negative effects. These predictors together explained 22% of variance in family value for cancer children. 3) Family hardiness was explained mostly by family strain (γ=-0.53, t=-8.65) along with direct negative effects of family persistency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severity of children's illness, family stressor,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and the children's age. Family value for cancer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with positive effect (γ=0.44, t=6.76) along with indirect effects of monthly incom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support from family and significant others, and confidence with the health professionals. 51% of variance in family hardiness was explained by all of these predictors. 4)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family adaptation was family stressor (γ=-0.50, t=-6.85) with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along with the severity of children's illness (γ=-0.27, t=-5.21). However, family value for cancer children showed compromised total effect (γ=-0.13, t=-1.99) with negative direct effects (γ=-0.28, t=-3.43) and positive indirect effects (γ=0.14, t=3.01). Similarly, confidence with the health professionals also showed compromised total effect (γ=0.09, t=1.99) with positive direct effects and negative indirect effects. Family hardiness showed the biggest positive direct effects while other factors such as monthly income, family stressor, family persistence, support of family and significant others,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and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and children's age showed indirect effects only. 39% of variance in family adaptation was explained by all of these predictors.

  • PDF

야콘 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Yacon Powder)

  • 이원갑;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26
    • /
    • 2014
  • 야콘 가루를 0, 3, 6, 9, 12%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 다음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야콘 가루 첨가 머핀의 비중은 대조군보다 야콘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머핀의 높이는 대조군보다 야콘 가루 3%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야콘 가루 12%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머핀의 중량은 대조군과 야콘 가루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부피는 야콘 가루 3%와 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1). 머핀의 비용적은 야콘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p<0.05) 굽기손실율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머핀의 수분함량은 야콘 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1) 머핀의 pH는 야콘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머핀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대조군의 전자공여능은 21.45%였으며 야콘 가루 첨가군은 57.23~85.46%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머핀의 색도 측정결과 야콘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감소하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Texture 측정결과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군과 야콘 가루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과 부서짐성(Brittleness)은 대조군보다 야콘 가루 첨가군이 낮은 값을 보였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질감,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야콘 가루 6%, 9% 첨가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으로 머핀에 대한 이화학적, 조직감,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야콘 가루 첨가량은 6~9%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춘천지역 60세 이상 노년층의 건강식품 섭취실태 조사 (A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in the Chuneheon Area)

  • 이희섭;이혜숙;이정애;강금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35-64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according to the kind of disease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living in the Chuncheo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999 to the March 200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oorer the self- perceived health condi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were the higher. the frequency score of health food intake. The incidence of disease, such as arthritis(44.7%), hypertension(18.8%), digestive diseases(17.1%), diabetes(10.5%)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chronic diseases among the elderly. The frequency score of health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lf-perceived health status, disease status, or the level of ADL and IADl.. The must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health food intake was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and relatives(68.7%). Twenty eight point two percent of the elderly considered health foods to be effective, however 8.3% of the elderly considered them to be ineffective.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had taken health floods in the descending order of neuralgia-arthritis, hypertension, digestive disease, diabetes. The elderly with digestive diseases, diabetes, renal disease, neuralgia- arthritis and respiratory disease were inclined to habitually take health floods once or twice per year.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lk food was as high as intake of registered health food and Chinese tonic medicine. The most frequently taken health food was tonic medicine, which is fo11owed by pumpkin, ginseng products, herbal tea formula with black goat, deer antler and Kye-so-ju. Intakes of health food such as tonic medicine, blood of the deer, royal jelly, aloe were found to be higher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nd digestive disease. However, intakes of ginseng products, deer antler, pumpkin, herbal tea formula with black goat and Kye-so-ju were found to be higher among the healthy elderly. The elderly with neuralgia-arthritis had taken sixteen kinds of health foods. From these results, a wide consum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convince people of the importance of well-balanced diet and to choose proper health foods according to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Also,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research into Korean traditional folk foods are needed for the correct use.

  • PDF

노인에서 치매 조기선별을 위한 시각.금전계산 검사의 유용성 (Availability of the Time and Change Test in Screening for Dementia in the Elderly)

  • 정은경;신민호;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01-107
    • /
    • 2003
  • Objectives : Dementia has emerged as a leading public health problem in elderly persons, and its early detection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curable cases, and i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ther family members. Although dementia screening tests are available, they have not gained widespread use in community or primary care settings. Our goal was to validate the Tine and Change (T&C) Test, -includ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patients, and to assess it as a simple, standardized method for the screening of dementia in the rural elderly.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of 59 patients from an urban hospital and 405 persons from a rural community aged 65 years or older. The time test evaluated the understanding of clock hands indicating 11:10, and the change test the ability to make 1,000 Won from a group of coins, consisting of one 500, seven 100, and seven 50 Won coins. The T&C ratings were validated against a reference standard based on the physician's diagnosis of the patients. The convergent validity in relation to other cognitive measure, test-retest agreement,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asses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 (K-MMSE) and the T&C Test, the mean K-MMSE scor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C Test in the elderly from a rural community. Results The T&C Test ha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73.0, and 90.9%,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93.1, and 66.7%, respectively. The test-retest and inter-observer agreement rates were both 95%. The K-MMSE scores and T&C Test were significantly related in the elderly from a rural community (p<0.01), The T&C Test was not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status. The Time and Change Tests took a mean of 6.3 and 12.7 seconds, respectively, to complete Conclusion : The T&C Test is a simple, accurate and reliable, performance-based tool in the screening for dementia. Because it is quick, and easy-to-use, it is hoped the T&C Test will be used for the widespread cognitive screening of aging populations.

HPLC/ESI/MS를 이용한 물 중의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분석 (Determination of alkylphenol ethoxylate in water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 이정애;박송자;정봉철
    • 분석과학
    • /
    • 제17권3호
    • /
    • pp.263-270
    • /
    • 2004
  •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APEO)는 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쓰이고 있으며 세제, 액체연료 및 농약에도 이용이 되고 있다. APEO 자체는 독성물질로 분류되어 있지 않지만, 그 대사생성물질인 단사슬 APEO, 알킬페놀 및 카르복실 유도체등은 폐수 또는 음용수를 염소처리하는 동안 mutagenic ring halogenated derivative를 생성한다. 이들 생성물들은 estrogenic effect를 나타내기 때문에 APEO를 제한 또는 규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APEO의 대사체로서 단사슬 APEO 인 4-nonylphenol-di-ethoxylate (NP2EO), 4-octylphenol-di-ethoxylate (OP2EO)를 분석하기 위해서 p-n-nonylphenol-di-ethoxylate-ring-$^{13}C_6$을 내부표준물질로 사용하여 HPLC/ESI/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이온화 용매인 trifluoroacetic acid가 $10{\mu}M$이 되도록 각각 물과 메탄올에 첨가시켜 사용하였다. 물시료 1 L에 진한 황산을 이용하여 pH를 2이하로 조정한 후, 아세톤, 메탄올 및 물 (pH 2)로 활성화시킨 Sep-Pak $C_{18}$에 loading 시킨 후 아세톤으로 용출하여 시료용액으로 하였다. 이 방법으로 농도범위가 20 ~ 500 ng/L 내에서 검량선의 직선성은 r=0.999 (OP2EO)와 0.990 (NP2EO)였으며, 검출한계는 OP2EO는 20 ng/L, NP2EO는 50 ng/L 이었다. 정확도 및 정밀도는 85.8~122.1% 및 8.2~18.8 %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 방법은 환경시료로부터 미량의 APEO를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APEO 오염실태 조사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블루베리즙을 첨가한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Dressing Prepared with Blueberry Juice)

  • 이원갑;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5-265
    • /
    • 2012
  • 본 연구는 블루베리즙을 요구르트 드레싱에 첨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블루베리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분석 결과 citric acid,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블루베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p<0.001). 반면 tartaric acid,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대조군이 블루베리즙 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요구르트 드레싱의 pH 측정 결과 대조군이(3.75) 블루베리 첨가군(3.68~3.48)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요구르트 드레싱의 당도는 대조군이 15.86 brix%로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감소하였다(p<0.001). 블루베리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대조군이 26.44%였으며 블루베리 첨가군이 63.16~87.46%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색도 측정 결과 블루베리즙을 첨가할수록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감소하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드레싱의 점도는 대조군이 2386.67 cP였으며 블루베리 첨가군은 8348.00~10523.00 cP로 대조군보다 약 3.5배~4.4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관능검사 결과 블루베리즙 20% 첨가군이 6.60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군보다 블루베리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의 기호도가 더 좋게 평가되었다(p<0.001). 이상으로 블루베리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 시 블루베리즙 첨가량은 20%가 가장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