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 유전자

검색결과 1,881건 처리시간 0.025초

한우 비육 전·후기의 등심조직에 있어서 지방합성 유전자 발현 (Lipogenesis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Longissimus dorsi on the Early and Late Fattening stage of Hanwoo)

  • 이승환;박응우;조용민;김경훈;오영균;이지혜;이창수;오성종;윤두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45-352
    • /
    • 2006
  • 지방합성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비육후기의 근육내 지방합성에 있어서, 지방산 및 당의 이용경로 및 이에 따른 근육내 지방합성과정을 규명하기 위해서 지방산 및 당 운반 유전자인 FABP4, GLUT4와 근육내 지방대사 주요유전자인 ACL, ACC, LPL 및 SCD 유전자의 mRNA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한우 비육전기 및 후기 각 3두를 공시하여 total RNA 추출 및 1st cDNA 합성하여 SYBR green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각 유전자별로 3반복씩 수행하였다. FABP4 유전자는 비육전기에 비해 비육후기에 있어서, 3배 이상 유전자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GLUT4 유전자는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근육내 지방합성 주요유전자인 ACL, ACC, LPL 및 SCD 유전자의 발현량은 비육후기에서 ACL 유전자가 3.8배, ACC 유전자는 2.7배, LPL 유전자는 3.5배, 그리고 SCD 유전자는 7.5배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한우의 비육후기에서 근육내 지방합성은 FABP4에 의한 지방산 유입의 증가와 더불어 ACL 유전자에 의해서 지방산 합성의 중간대사물인 acetyl-CoA가 합성되고, 이 중간 대사물을 이용하여 ACC 및 SCD 유전자에 의해서 긴 사슬 지방산 합성이 왕성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주변 수계에서 미생물유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in the waterfront environments)

  • 배영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16-923
    • /
    • 2022
  • 창원시의 3개 지점(남천, 창원천, 청운지)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한 시료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DNA와 class A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 유전자 5가지(blaOXA-1, blaSHV, blaTEM, blaCTX-M-1, blaCTX-M-9)를 target으로 하는 primers를 사용하여 quantitative PCR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지점별로 ESBL 유전자들의 수와 비율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천의 경우 DNA 30ng당 ESBL 유전자가 1.93×106 copy나 존재하는 데에 반해 창원천의 경우에는 1.47×105 copy 그리고 청운지에는 9.5×103 copy 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흐르는 하천인 남천과 창원천에서는 각 ESBL 유전자들의 비율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남천에서는 blaOXA-1 유전자가 65.3%, blaCTX-M-1 유전자가 33.6%를 차지하여서 이 두 유전자가 전체 ESBL 유전자의 99%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었다. 창원천에서도 blaOXA-1 유전자가 64.1%, blaCTX-M-1 유전자가 19.1%를 차지하므로 이 두 유전자가 전체의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천과 다르게 폐쇄된 환경인 청운지 연못에서는 내성세균들의 총량 자체가 다른 두 하천에 비해서 월등하게 적었다. 또한 내성 세균의 비율도 달라서 blaCTX-M-1 유전자가 전체의 87.5%, 그리고 blaCTX-M-9 유전자가 9.8%를 차지하고 있었다.

GFP Gene Transfected Cell 과 Non Tranfsfected Cell 의 핵이식후 발달

  • 양병철;임기순;성환후;임석기;이상기;오현주;이연근;박진기;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4-34
    • /
    • 2002
  • 핵이식 방법은 형질전환 동물을 생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은 형광단백질 유전자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가 도입된 태아섬유아세포를 이용 핵이식을 하여 형질전환 수정란의 생산효율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GFP 유전자는 임신 45-55 일령의 태아섬유아세포 (KbFF3)에 electroporation방법으로 transfection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유전자치료의 기술개발 동향분석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Gene Therapy)

  • 손은수;이상필;민완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40-3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velopment trends of gene therapy. The possibilit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gene therapy has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success of Human Genome Project. A lot of gene-therapy-based R&D and clinical trials have been advanced. The US and EU have led the global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Korea is in early stage although many institutions and firms have participated in this area.

  • PDF

어류 rhabdovirus의 신속 진단을 위한 oligonucleotide chip의 개발 1. Oligonucleotide chip의 probe 설계와 특이성 확인

  • 김영주;강지희;김수미;박수일;이명숙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9-310
    • /
    • 2003
  • 현재 어류 질병 바이러스를 검출해내기 위해 이용되는 PCR법이나 ELIZA법 만으로는 신속성을 필요로 하는 바이러스 검출에서는 불리하다(Bruchhof et. al., 1995). 따라서 기존의 유전자 진단법을 대체할 수 있고, 동시에 수백 개 이상의 유전자를 빠른 시간 내에 검색할 수 있는 DNA chip 기술을 이용하여 넙치, 돔등의 해산어와 일부 연어과 어류에 질병을 일으키는 rhabdovirus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저밀도 oligonucleotide chip을 개발하고자 한다(Chizhikov et at., 2001). (중략)

  • PDF

The Mexican Axolotl (Ambystoma mexicanum) as Experimental Material for Studies in Embryology: I. General Introduction

  • Chung, Hae-Moon;George M. Malacinsk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6
    • /
    • 1977
  • Mexican axolotl(Ambystoma mexicanum)의 생활사, 기원, 실험실내에서의 유지 및 교배방법 등을 소개한다. 이 종은 난자형성과 발생의 연구면에서 몇가지 대단히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즉 큰 염색체를 가진 대형의 난자를 보유하고 있는 점, 난자가 수란관을 통과하는 동안 총배설강내에서 수정하는 점, 초기 배아의 실험발생학, 세포학 및 생화학적 연구에 쉽사리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엇보다도 난자형성과 배발생동안의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30여개 이상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유전자조절현상을 밝혀낼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ESTs (Expressed Sequence Tags)를 통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정소의 유전자 발현 패턴 분석 (Expressed Sequence Tags of Expression Profil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stis)

  • 이정호;김종현;노재구;김현철;김영옥;김우진;김규원;김경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7-26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정소에 대한 cDNA library를 제작하여 총 248개의 EST (Expressed sequence tag)를 분석을 하였다. 넙치 정소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조사하기 위하여 염기서열의 유사성 분석을 한 결과 248개의 EST 중 156개의 EST는 이미 밝혀진 유전자와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2개의 EST는 새로운 유전자로 밝혀졌다. 유전자의 기능이 밝혀진 250개의 EST 중 6개(3.8%)의 EST는 이미 알려진 넙치 EST와 상동성이 있는 유전자로 확인되었고, 100개(64.1%)의 EST는 다른 생물에서 알려진 유전자와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개(32.1%)의 EST는 전혀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넙치 정소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는 다른 조직에 비해 일부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정도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유전자가 골고루 발현함으로써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패턴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넙치 정소에 대한 cDNA library는 특이하고 새로운 발현 유전자의 탐색에 좋은 재료로 사용될 것으로 추측된다.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RAW Cell 유전자발현(遺傳子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AW Cells Treated with Carthami Flos Herbal Acupuncture Solution)

  • 강승범;김종인;김용석;강성길;고형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139-154
    • /
    • 2008
  • 목적 : 홍화(紅花)는 활혈거어(活血祛瘀), 해독지통(解毒止痛)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동맥경화(動脈硬化), 종양(腫瘍), 월경부조(月經不調), 뇌혈전(腦血栓)에 사용되어 왔다. 이에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분자생물학적 효능 분석을 하고자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한 RAW 264.7 cell의 유전자(遺傳子)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방법 : RAW cell을 배양하고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후 (1) LPS,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처치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microarra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발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 8,170개의 유전자 중 (1) LPS를 처치하였을 경우 35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하였을 경우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고 53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동시에 처치하였을 경우에는 47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 LPS 자극으로 발현이 상승되었지만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할 때 발현이 억제되는 유전자는 SUMO1/sentrin specific protease 7(SENP7), Serine(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B(ovalbumin), member 7(SERPINB7), M-phase phosphoprotein, mpp8(HSMPP8), Glycogenin 2(GYG2), InaD-like(Drosophila)(INADL), Copine III(CPNE3), Loss of heterozygosity, 11, chromosomal region 2, gene A(LOH11CR2A), Chromosome 9 open reading frame 33(SHC3), NADH dehydrogenase(ubiquinone) 1 beta subcomplex, 2, 8kDa(NDUFB2)로 9개가 있었다. 요약 :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해 분석하였다.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발현을 항진시킨 35개의 유전자 중 9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염증 치료 기전을 시사하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발현을 항진시킨 유전자들을 통해 혈관생성과 종양억제 등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