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상 수질

Search Result 1,23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of Runoff and Water Quality Factor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2006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량과 수질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 Kim, Dong-Phil;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65-869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2006년의 신뢰성 있는 수문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유역의 유출거동에 따른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시험유역에서는 1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과 연간 30회 이상의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수질분석을 위한 시료는 유량측정시 전적비교, 사방교 지점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실험실에서 분석한 항목은 pH, DO, BOD, COD, T-N, T-P, SS로 총 7개 항목으로 수질측정은 우기가 시작된 시기인 7월에 집중적으로 측정 분석하였으며, 7월 이후에도 각 지점당 6회의 추가 측정으로 각각 22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2개 측정지점에 대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홍수기 및 갈수기로 기간을 구분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개 지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BOD는 T-P와 SS, COD는 T-N과 SS가 공통적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적비교와 사방교의 유기물 농도가 SS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적비교와 사방교간 홍수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COD는 T-N, SS와 그리고 SS는 COD와 공히 상관관계가 높으며 갈수기도 COD와 SS의 상관관계가 같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s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I) - COD, T-N, T-P, pH -)

  • Park, Sun-Ku;Yang, Young-M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3
    • /
    • pp.238-243
    • /
    • 2001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of the pollutant $COD_{Mn}$, T-N, T-P for water quality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of K river basin. water extracted from sediment showed higher $COD_{Mn}$, T-N, T-P datas than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lso,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nd water 5-10cm proximated to sediment showed the following data : $COD_{Mn}$, 1.2~1.9mg/L, T-N, 1.3~6.2mg/L, TP, 0.05~0.26mg/L,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s, we have known the fact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sediment have an effect on the water quality in lake and stream.

  • PDF

Develop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Large Rivers with Tributary Inflow (지천유입이 있는 대하천에서 수질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모델의 개발)

  • Seo, Il Won;Yun, Se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1-1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의 8개의 수질인자(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총질소, 총인, 탁도, 클로로필-a)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모델을 개발하였다. 인공신경망모델(ANN)은 수질데이터가 가지는 불확실성 및 비정상성, 복잡한 상호관련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기반 모델이다. 데이터기반 모델의 특성상 예측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양질의 입력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각각의 수질인자뿐만 아니라 기상학적 인자 또한 예측을 위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층화표층추출법을 적용하여 입력데이터를 구성하였고 앙상블기법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천유입이 있는 북한강의 수질자료를 예측한 결과 탁도를 제외한 7개의 수질인자 모두 0.85 이상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실측값과 예보값을 비교해본 결과 평균적으로 10% 미만의 에러값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연관성있는 인자를 입력인자로 추가한 경우 향상된 결과값을 보였주었으며, 앙상블기법을 적용한 결과 정확도 면에서 큰 향상을 보여주었다.

  • PDF

An applicability estimation of the HSPF model considering watershed scale (유역의 규모를 고려한 HSPF 모형의 적용성 평가)

  • Choi, Hyun-Gu;Kim, Dong-IL;HwangBo, Hyu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4-204
    • /
    • 2011
  • 최근에 들어 도시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유역에서의 유출특성과 오염물질 발생특성이 변화하고 있어 이에 따라 체계적인 유역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하천 및 호소에 대한 수질 관리를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수질관리정책 및 대책을 추진하여 왔으나, 오염물질의 상당량은 비점오염원에서 유발되고 있다. 또한 오염총량제의 실시 이후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점오염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짐으로서 유역수질모델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역의 유출 및 수질 분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유역간 물질의 교환 및 전달이 유역 규모에 따라 얼마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검토하여 효과적인 유역수질모델링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수질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 오염원의 발생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통해 오염총량 단위유역을 각각의 소유역으로 순차적으로 모의하여 검 보정을 수행 후 그 결과로 계산된 매개변수들을 단위유역 전체에 대한 분석에 입력하여 수행한 모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역 내 하천 수질 영향도를 파악하였다. 유량 및 수질해석을 위하여 남강유역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강우와 기상자료, 유량과 오염원 자료를 수집하여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에 해당되는 환경기초시설의 방류 유량 및 수질을 유입시킴으로써 HSPF모의가 진행되었다. 하천수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점오염원은 강우 및 기상 관련 자료의 입력을 통하여 유역 내 유출 조건의 초기입력을 수행하였으며, 강우 입력에 따른 유출에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토지이용 및 토양도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유역의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오염총량 단위유역의 유역 규모에 따라 모의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HSPF 모형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성이 높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의결과 소유역을 순차적으로 모의한 결과(CaseA)가 전체유역을 모의한 결과(CaseB)보다 실측치와 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유역수질모델링이 이루어진다면 추후 비점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며, 모니터링 기법 및 GIS기반 유역관리모델 개발, 4대강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ipe network operating platform focused on water quality management (스마트 상수관망 수질관리 운영플랫폼 개발과 적용)

  • Dae Hee Park;Ju Hw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3-453
    • /
    • 2023
  • 상수관망의 수질사고와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수질측정기, 정밀여과장치, 재염소주입설비, 자동드레인 등의 계측·제어설비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이러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분산되어 있는 계측데이터를 통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능동형 분석 제어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상수관망 인프라 설비를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통합운영 플랫폼은 PostgreSQL, PostGIS, GeoServer, OpenLayer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플랫폼은 계측감시, 시설관리, 운영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상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관망해석 및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한 유량·수질모니터링 장비와 수질관리를 위해 도입된 재염소, 자동드레인 설비의 운영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망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대상설비의 최적제어를 위한 운영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측정되고 있는 유량, 수압, 수질, 펌프운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망해석 프로그램은 EPA_Net모형과 연계되어 관망수리·수질해석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재염소설비의 염소 추가주입이나 자동드레인을 통한 배제시 나타나게되는 관의 수리·수질변화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분석하고 결과를 가시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운영관리 프로그램은 재염소 주입이 필요할 경우 주입량의 산정하는 부분과 관망 파손이나 수질사고 발생시 최적 단수예상지역을 도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 상수관망의 능동형 수질관리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도입하여 인프라운영관리 기술 확보 및 수질관리 능력 개선과 실시간 감시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diction of Water Qualities and Heavy Metals by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in Rimac River, Peru (페루 리막강 수질개선 대책에 따른 수질 및 중금속 예측 연구)

  • Yi, Hye-Suk;Chong, Sun-A;Lee, Sanguk;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97-497
    • /
    • 2016
  • 페루의 Rimac강은 수도인 Rima시를 관통하는 강으로 각종 용수공급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강이지만 광산, 공장 및 도시 등 점?비점오염원으로 인해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imac강의 하천복원을 위하여 3단계 수질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BOD, TP 및 중금속(Al, As, Cd, Fe)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목표달성 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Rimac강 지류인 Rio Santa Eulalia 하천 유입후부터 하구까지 총 57 km를 대상으로 4개의 대구간(Reach), 57개의 소구간(Element)으로 구분하여 QUAL2E 모델을 구축하였다. 2013년을 대상으로 저유량시기(건기)인 12월과 고유량시기(우기)인 1월을 대상으로 BOD, TP, Al, As, Cd, Fe의 모델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Rimac강 하류의 Huaycoloro강 유입이후 BOD, TP가 증가하는 현상을 적절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은 Romac강 상류와 하류 Huaycoloro강 유입 수질 농도차이가 크지 않아 거리별로 일정한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나 실측정값은 하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다소 나타났지만 대체적으로 실측값의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수질개선 시나리오는 1단계(2016-2018년), 2단계(2019-2021년) 및 최종 3단계(2022-2024년)로 구분하여 저유량시기와 고유량시기의 수질개선 대책에 따른 수질변화를 예측하여 Rimac강 하류의 대표 지점인 La Atargea 취수장 지점에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평가하였다. 저유량시기의 경우, BOD는 1단계 이후 5.9 mg/L에서 목표수질 5.0 mg/L 이하로 농도가 감소되었으며 최종 3단계에 2.2 mg/L로 63.3% 개선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P는 1단계 25.8% 개선, 3단계는 51.6% 개선되어 목표수질인 0.15 mg/L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금속의 경우 Cd는 당초 수질목표를 만족시키는 상황이었으며 그 외 항목은 Al>As>Fe 순으로 개선효과가 나타났고, 3단계 이후 모두 목표수질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고유량시기 수질예측 결과, 1단계 BOD, TP는 약 49, 19%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며 3단계 이후 57, 25%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예측되어 목표수질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금속은 Al이 가장 큰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77.5%의 개선 효과가 분석되었다. 페루 리막강 유역 수질개선 대책 수립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분석 결과, 3단계까지 모든 수질항목의 목표수질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TP, Al 및 As의 경우에 2단계까지 목표수질 달성이 어려워 더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Guidelines and Optimum Treatment for Agriculture Reuse of Reclaimed Water (농업적 용수재이용 수질기준을 고려한 적정 하수재처리에 관한 연구)

  • Jung, Kwang-Wook;Jeon, Ji-Hong;Ham, Jong-Hwa;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3 s.104
    • /
    • pp.356-368
    • /
    • 2003
  • Water quality of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was review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agricultural reuse using USEPA and WHO guidelines. It might meet the guidelines for BOD and SS, however, the most critical microbiological concentration was too high and further treatment is required. The pilot study of three treatments were performed to reduce microbiological concentrations. The UV irradiation was proved to be very effective in disinfection of secondary level effluent, and about 30 mW ${\cdot}$ s/$cm^2$ of dose was suggested to meet the even most stringent USEPA guidelines. Slow sand filter demonstrated effective removal of bacteria, and effluent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 (TC), fecal coliform (FC), and E. coli. dropped from about 10,000/100 mL to 300, 200, and 150 MPN/100 mL, respectively, showing over 95% removal. These level of bacterial concentration sufficiently meet the WHO guidelines ($10^3\;{\sim}\;10^5$ FC/100 mL), and could meet the more stringent USEPA guidelines (200 FC/100 mL) if properly applied. Slow sand filter also provided about 50% removal of SS, turbidity, and BOD in addition to bacterial removal. The removal efficiency of pond system was relatively poor, but still showed over 85% removal and effluent concentration of TC, FC, and E. coli was all below 10,000/100 mL. The pond system alone could meet the WHO guidelines, but hardly meet the USEPA guidelines and further treatment might be necessary. Overall, three methods evaluated in the study treat the effluent to meet the WHO microbiological guidelines for agricultural reuse. The UV disinfection and slow sand filter might also could the USEPA guidelines, while the pond system can hardly meet the USEPA guidelines if applied alone. The WHO and USEPA guidelines were made based on data from upland field agricultural system and may 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the paddy field agricultural system. Therefore, national standards for agricultural reuse of reclaimed water should be made considering domestic agricultural systems as well as international guidelines. Also, further investig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optimum and feasible treatment measures for agricultural reuse of effluent from WWTPs.

Estimat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pollution loads at Kyungan on a rainy season (경안 지점의 강우기 유량과 오염부하량 관계 분석)

  • Kim, Kyung-Hee;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91-1994
    • /
    • 2008
  • 우리나라는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수질저하 및 용수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환경기초시설의 증설과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왔다. 그러나 점오염원에 국한한 수질개선은 한계가 있었으며, 1995년 환경부는 전국 비점오염원 조사를 통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기여하는 비율이 T-N, SS는 50% 이상을 점유하고 기타 BOD, T-P도 $20{\sim}30%$ 수준임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여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시작하였으나, 강우시 정확한 유량자료를 바탕으로한 수질 측정자료의 부족으로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수도권 및 인근지역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로 직유입되고, 정확한 수질자료 확보가 필요한 경안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2007년 6월${\sim}$9월에 일어난 강우 중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수질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유량자료는 2007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으로 산정한 환산 유량이며, 실측한 수질자료를 바탕으로한 유량과 부하량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질측정 항목은 수온, DO, pH, EC, SS, BOD, CODMn, CODCr, T-N, T-P 등이며, BOD의 농도는 2개의 강우사상에서만 분석하였다. 현장에서 휴대용미터를 이용하여 수온, DO, pH, EC를 측정하였고, 나머지 항목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내 환경정밀분석 센타에 의뢰하였다. 각 항목별 유량-부하량 관계식은 기존의 지수식이 아닌 선형이나 다항식으로 산정하였다. 다항식으로 산정된 식의 결정계수($R^2$)는 BOD, T-N 항목을 제외한 각 항목에서 0.6 이상의 값을 가졌다. 항목별로 보면 SS는 0.90, $COD_{Mn}$은 0.87, $COD_{Cr}$은 0.84, T-P는 0.62의 값을 가졌다. 또한, T-N은 0.53, BOD는 0.32의 값을 가져 유량과 부하량의 관계가 거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의 경우는 4개의 강우사상 중 2개의 강우사상에서만 분석되어 다른 항목에 비해 실측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그 특성을 판단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가 주로 홍수기에 이루어져 실측자료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지점을 대표할 수 있는 유량-부하량 관계식으로는 미흡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자료를 기초로 장기간 많은 자료를 확보하여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수정 보완한다면, 차후 비점오염원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Using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 Indices (부착규조지수와 영양단계 평가를 이용한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수질 평가)

  • Kim, Yong-Jin;Lee, Ok-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1
    • /
    • pp.117-128
    • /
    • 2010
  • The water qualities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were examined, by using physicochemical factors,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s from May 2008 to February 2009. The physicochemical water qualities of three streams were, except for some construction areas and sites of downstream, generally good, having less concentration than BOD of $2\;mg\;L^{-1}$. As for the sites of downstream, there were ongoing pollution such as graduation of nutrients in Namdae-stream and Sacheon-stream, due to salinity of seawater and topographical feature of the closed estuary. The examination of trophic status of Namdae-stream showed mesotrophic status in all the sites. Also, eutrophication was in progress a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showed eutrophic status in all its sites. As a result of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Namdae-stream, excluding the downstream site, came out to be $\beta\sim\alpha$-oligosaprobic,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good, having TDI less than 50. Some construction sites and downstream site of Namdae-stream are $\beta$-mesosaprobic, and with the TDI over 70,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came out to be polluted. Yeongok-stream is $\beta\sim\alpha$-oligosaprobic, and its biological water quality is good, having TDI less than 40. Sacheon-stream, excluding the upstream site on May 2008 and February 2009, is $\beta\sim\alpha$-mesosaprobic, and its TDI over 70 shows that it has been pollute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both DAlpo and TDI. Also,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DAIpo, TDI)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TSI rather than BOD.

Summer Water Quality Management by Ecological Modelling in Ulsan Bay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울산만의 하계 수질관리)

  • Park, Sung-Eun;Hong, Sok-Jin;Lee, Won-Chan;Jung, Rae-Hong;Cho, Yoon-Sik;Kim, Hyung-Chul;Kim, Dong-M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1-9
    • /
    • 2010
  • Numerical study on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ponse of summer water quality to the flow into the sea of land based pollution load in Ulsan Bay, Korea The abatement of pollution load. from point sources of land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Korean coastal water quality standard using an ecosystem model. The results of the ecological model simulation showed that COD values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were greater than 280mg/L, and exceeded the grade III limit of Korean coastal water quality standard 30% of all land based pollution loads or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loads from point sources should be cut down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mg/L. As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was estimated to be 7,193kgCOD/day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mg/L in Ulsan Bay, 3,083kgCOD/day of land based organic loads should be reduced. The phytoplankton blooms have occurred in the Teahwa river mouth or estuary repetitively, so it is important to control land based nutrients loads for removal of autochthonous organic loads around Ulsan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