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상 수질

Search Result 1,23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termination of Set Point of Streaming Current for Optimum Coagulation (최적 응집을 위한 Streaming Current의 기준값 설정에 관한 연구)

  • Yu, Myong-Jin;Jang, Mi-Jeong;Park, Gui-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
    • /
    • pp.34-41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streaming current(SC) and to evaluate set point(SP). For the study, a pilot scale apparatus with a capacity of 12 L/min was operated at Guui water intake of Seoul. SC was monitored with varying poly aluminium chlorides(PACs) dos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like conductivity, turbidity, temperature, and pH.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urbidity and dissolved organic carbon(DOC) with varying coagulation conditions. The effects of affecting factors on SC and SP were also estim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bserved from the variation of SC with water quality parameter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endencies of SC and conductivity were very similar, and SC and conductivity had a strong linear relation. At the optimum condition of coagulation, SP decreased as the rainy season changed to the dry seas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Especially, in condition of low turbidity, conductivity had relatively more effect on SC than turbidity. As conductivity increased, SP decreased and coagulant dose per unit increase of SC gradually increased.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obtained,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the SP range considering the real time variation of water quality, especially conductivity.

Seasonal and Year-to-year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r Area by the Long-term Monitoring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의 계절 및 년간변동)

  • Park, Joong-Hyun;Park, Seong-Yoon;Lee, Yong-Hwa;Choi, Da-Mi;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2 s.23
    • /
    • pp.97-102
    • /
    • 2005
  • Seasonal and year-to-year variations of water quality were observed at six stations in Mokpo Harbor area between 1997 and 2004. Water quality(salinity, pH, DIN and DIP) was variable between years. Salinity was significantly low in 1998, whil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998 than other years.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COD and DIP concentrations exhibited clear seasonal variations, and these seasonal trends reflected seasonal changes in fresh water discharge from Youngsan river mouth. Water temperature, COD and DI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ugust, while salinity and DO reached minimum values in August. In the station 1(Youngsan river mouth), waters with low salinity are subject to high nutrient inputs from Youngsan river, while in the station 6 (outside from Mokpo harbor) waters are primarily oceanic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dicates that salinity is the primary factor influencing the COD, DO, pH, Chlorophyll a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Mokpo harbor area.

  • PDF

A Study on the filtering bed of porous sintering-product and hydrophytes for sewage treatment (오·폐수처리를 위한 수생식물 다공성 소결체여상의 기초연구)

  • Kim, Ju-Hyung;Yun, Chan;Oh, Joon-Seong
    • Clean Technology
    • /
    • v.7 no.2
    • /
    • pp.89-9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high removal efficiency of water pollutant as sewage treatment technology using a filtering bed charged with porous sintering-pellet which was planted with hydrophytes.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changing concentration of water pollutants(COD, T-N, T-P), kind of hydrophyte, kinds of filtering material and size, and HRT. The result of removal efficiency was obtained as following: COD removal 73.8~87.1% for input concentration range of 50~450mg/L, T-N removal 61.3~77.3% for input concentration range of 7~124mg/L, T-P removal 89.5~99.1% for input concentration ranger of 3~27mg/L. In a comparative experiment of three kinds of hydrophyte(Iris pseudoacorus, Phragmites communis $T_{RIN}$., Oenanthe javanica Dc.), the best removal efficiency of COD and T-N was gained with Iris pse-udoacorus, and Phragmites communis $T_{RIN}$ showed better result than two hydrophytes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In a comparative experiment of four kinds of filtering-materials,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in the order of porous sintering-pellet, gravel, nonused-tire and nonused-concrete. It was found that for the porous sintering-pellet, the smaller its diameter, the better its result. In the filtering bed in which was charged with porous sintering-pellets of 5mm diameter and planted with Iris pseudoacorus, the removal efficiency of COD, T-N and T-P were over 80%, 70% and 90% under the concentration of COD 250mg/L, T-N 70mg/L and T-P 15mg/L for 24hrs treatment. Thus, we concluded that a filtering bed charged with porous sintering-pellet and planted with hydrophytes will be suitable for treatment of sewage water as a pro-natural treatment technology.

  • PDF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for Non-irrigated Cropland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 Park, Tae-Yang;Kim, Sung-Jae;Jang, Jeong-Ryeol;Choi, Kang-Won;Kim,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313
    • /
    • 2011
  • 오염물질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하고 있고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강우 시 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비점오염은 전체 수질오염의 42~67%(2003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농업 비점오염원은 총 수질 오염량의 3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법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중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기법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를 설치하여 밭 비점오염에 대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여 최적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려 한다. Silt Fence는 주로 건설공사현장에서 홍수유출 발생 시 인접한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사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합성 직물 필터를 나무나 금속 막대로 연결하여 등고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토양이 교란되기 전에 그 지역 아래쪽에 설치한다. 식생밭두렁은 밭의 이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우 시 빗물이 하단에 이를 때 늘어난 유량과 빠른 유속으로 토양침식이 가중되는데, 이때 30~35m간격으로 식생밭두렁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침식정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의 침식정도가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밭 비점오염의 저감효과 평가 및 제어대책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조성 하였으며, 시험포장내에 6개의 Plot을 만들어 하단부에 포장에서의 유출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플룸을 설치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해 플룸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포장의 토양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Plot별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특성을 분석 한 결과 6개 Plot모두 모래함량이 많은 점토질 사질토로 분류되었다. 향후 강우 시 시험포장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하고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농업수자원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선정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의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Water Quality of Streams in Some Agricultural Areas of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along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주요 농업지대 소하천 수질의 영농형태별 비교)

  • Chung, Jong-Bae;Kim, Bok-Jin;Kim, Jeong-Kook;Kim, Min-Kye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7 no.2
    • /
    • pp.140-144
    • /
    • 1998
  • A survey on four tributary streams in agricultural areas along Nakdong River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actices on the quality of streamwater. Typicalpaddy and upland farmings were major agriculturalpractice in two survey areas. Apple orchards were located along Imgo -Cheon. Intensive farming in plastic film house was conducted along the Habin cheon. Electriclal condutivity and nutrient contents were measured. Comparing to the reference water sample collected from very upper part of Yangsang -Cheon in Moonkyong, water in the streams studied were quite polluted and such pollution could be due to the farmings conducted along the streams. Phosphorus content were higher than the minimum level for eutrophication (0.01-0.05 mg/L). Nitrogeon content were also significantly high in many sites to cause harmful effects on crops when normalfertilizer level was applicated. Among the four stream, water quality in paddy area were relatively less polluted. High nitrogen level in Imgo-Cheon and high level of EC in Habin-Cheon were problematic. As farming is the major sources of pollution in the streams studied, this are traceable to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To maintain water quality of the stream,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long thributary streams should be properly controlled.

  • PDF

Business Model of Data Service i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유비쿼터스시대 방송과 통신의 컨버전스 데이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 Jung, Chang-Duk;Lee,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45-249
    • /
    • 2006
  •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시대의 시작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방송 통신 사업의 컨버전스를 가속화 시켰으며, 그 결과로DMB, WCDHA, Wibro, IP-TV, HSDPA 등의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제품과 서비스들이 뉴미디어 매체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 방송 통신의 컨버전스의 빠른 진행은 세계 최초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 시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DMB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핵심이다. DMB 데이터 서비스인 Broadcasting Website Service(BWS)는 현재 지상파 DMB방송 사업자인 KBS, MBC, SBS, YTNDMB가 본방송 준비 막바지 단계이며, 삼성 전자와 LG전자를 비롯한 단말기 개발사들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제품 출시에 서두르고 있는 등 DMB 산업의 활성화의 주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DMB의 데이터 서비스는 뉴스, 날씨, 프로그램 정보 등의 단순 정보보기 수준에 그치지 않고, 리턴 채널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와, SMS, 전화걸기 등 휴대전화 단말의 고유기능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도 선보일 것이다. 더 나아가 향후 T-Commerce와 개인 광고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영역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DMB와 데이터 서비스는 초기단계로서, 표준 기술의 규격 작업, 이론적 논의들, 관련 사업자들의 비즈니스 준비 등에서 검토되어,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한 연구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격적으로 방송, 통신 컨버전스 데이터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사용자들에 초점을 맞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러한 연구의 분석를 통해 또 다른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기회의 창출을 기대해 본다.여 RD(Rate Distortion) 최적화 기반 모드 결정을 빨리 완료함으로써 고속 프레임간 모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방법은 프레임 간 모드 결정을 고속화함으로써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기의 연산량과 복잡도를 최대 57%감소시킨다. 그러나 연산량 감소에 따른 비트율의 증가나 화질의 열화는 최대 1.74% 비트율 증가 및 0.08dB PSNR 감소로 무시할 정도로 작다.,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A View Interpolation Method for Multi-view Video of Large Disparity (변위 범위가 큰 다시점 비디오에 적합한 영상보간법)

  • Lee, Cheon;Oh, Kwan-Jung;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55-58
    • /
    • 2006
  • 차세대 방송서비스 개발의 일환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 MVC) 방식은 인접한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획득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중간시전 영상을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과정의 참조영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시점 비디오 특성에 맞는 영상보간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 제안되었던 영상보간법은 변위의 검색범위를 초기에 설정하여 블록정합을 이용하여 화소 단위로 변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크거나 객체의 움직임이 커서 변위의 변동이 심한 영상에서는 안정적인 화질의 영상을 얻기 어렵다. 또한,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이용하여 전체 변위를 측정하므로 객체의 변위차가 큰 영역에서 변위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개선된 화질의 중간시점 영상을 얻기 위한 새로운 영상보간법을 제안한다. 영역분할을 이용한 초기의 변위측정 과정에서, 처음부터 최대 변위의 범위를 설정하는 대신에 블록 단위로 대략적인 변위륵 측정한 후에, 가변 블록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변위를 측정한다. 이 방법은 변위차가 큰 객체의 경계 부분에서 보다 정확하게 변위를 측정 할 수 있으므로, 화소 단위로 변위를 측정할 때 이전에 추한 변위 정보를 바탕으로 각 화소별로 검색 범위를 설정한다. 적응적으로 설정된 검색 범위를 이용하여 화소 단위의 변위를 측정하면 보다 개선된 변위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변위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위의 오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각 단계별로 미디언 필터를 이용하여 변위 오류를 수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영상보간 방법보다 화질이 약 $1{\sim}4dB$ 정도 개선되었다.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of the Coastal Saline Groundwaters in Jeju Island (제주도 염지하수 수질의 시공간적 변화)

  • 김성수;김대권;손팔원;이창훈;하동수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6 no.1
    • /
    • pp.15-23
    • /
    • 2003
  • We have investigated water quality of the coastal saline groundwaters utilized for fish farms in Jeju Island. The water quality investigation included the spatial observations for 75 fish farms during March-May, 1994 and the hi-monthly observations for both coastal saline groundwaters and seawaters at four fish farms from August 1994 to December 1995. Water temperature of the saline groundwaters ranged from 16 to 18$^{\circ}C$ over the study period. Salinity of the saline groundwaters varied between 20.60 ppt and 34.02 ppt,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coastal seawaters(26.47~34.53 ppt). This salinity variation must be associated with local precipitation conditions in Jeju Island. The oxygen saturation for most saline groundwater samples was lower than 80%, ranging from 24.7 to 89.8%. The COD and pH values for the saline groundwaters were similar to those for the coastal seawaters. The concentrations of DIP for the saline groundwaters varied between 0.021 mg/L and 0.121 mg/ L, and seasonal variation of DIP in the saline groundwater ranged from 0.014 to 0.077 mg/L,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astal seawaters(0.000~0.015 mg/L). Nitrate in the saline groundwaters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DIM.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ammonia, nitrite, nitrate and DIN in the saline groundwaters were 0.085, 0.012, 2.294 and 2.309 mg/L, respectively. These concentrations of the saline groundwaters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affected culture organisms. Overall, the saline groundwaters utilized for fish farms in Jeju Island appear to maintain good waterquality for fish farms.

Effect of Change in Hydrological Environment by Climate Change on River Water Quality in Nam River Watershed (기후변화에 따른 남강유역의 수문환경의 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 Kang, Ji Yoon;Kim, Young Do;Kang, Boo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8
    • /
    • pp.873-884
    • /
    • 2013
  • In Korea, the rainfall is concentrated in summer under the influence of monsoon climate. Thus, even a small climate change can be significant problems in water resources. As a result, a lot of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climate changes and a number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a manner commensurate with the attention to the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ecast the changes in the flow and water quality of the Nam river resulting from the future climate changes in the Nam river basin using a watershed and water quality model. An SWAT model, as a watershed hydrologic model, was established after estimating a climate scenario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and the established model was verified and adjusted using date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As a consequence, $R^2$ showed more than 0.7 in the simulation test, which satisfies the minimum required level. Results from the SWAT model and the future Namgang dam discharge calculated by HEC-ResSIM is used as input date for QUALKO. The results showed a huge variation in BOD depending on the annual flow of the river, which recorded a maximum difference of 2 mg/L between a rainy season and a dry season. It can be deduced that because rainfall and the runoff of a basin significantly account for the water quality of a river, higher water concentrations are recorded in a dry season in which the flow is not as much as that in a rainy season. It also can be said that water should be reserved in advance to secure water in the Nam river downstream for a dry season and be controlled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to provide better water quality.

Effects of Light-Blocking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주암호에서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광 차단효과)

  • Lee, Yong-Woon;Lee, Hak-Yo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2 s.103
    • /
    • pp.150-16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inhibitory effects of light-blocking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from August to November 2000. The values of water temperature, DO, TN, $NO_3-N$, $NH_4-N$, TP, DIP, COD, SS and PH did not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light-blocked areas. Concentrations of Chl-a decreased -6.6${\sim}$40% (mean 14.7%) from inside of the light-blocked area by light blocking. During the study, 55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ndentifi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Microcystis aeruginosa, Aulacoseira granulata, Peridinium sp., Synedra spp., Oscillatoria sp., Fragilaria construens, and Trachelomonas sp. The successional pattern of dominant phytoplankton was diatoms (July)${\to}$ diatoms/cyanophytes (August-September)${\to}$cyanophytes (October)${\to}$ diatoms (October-November). The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showed maximum density in 22 September with $1.1{\times}10^4$cells/L, and minimum in 25 October with $4.7{\times}10^3$ cells/L. The decreasing efficiency of standing crop by light-blocking was 8${\sim}$38% (mean 19.9%).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blocking light seems to have a decreasing effect on the density of phytoplank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