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상위성식별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f GEO Satellite Identification Using Optical Observation

  • Oh, Youngseok;Jin, H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1
    • /
    • pp.53.1-5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궤도 및 원거리 우주물체의 추적 및 관측이 용이한 광학관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지궤도위성을 관측하였고, 광도곡선 분석을 통해 식별정보를 획득하였다. 정지궤도 위성은 자세에어 방법에 따라 회전 안정화 위성과 3축 안정화 위성으로 나뉘며, 3축 안정화 위성은 다시 통신위성과 지구관측 위성 등으로 나뉜다. 회전 안정화 위성의 식별 연구를 위해 중국의 FY-2 위성을 관측대상으로 선정하였고, 3축 안정화 위성의 식별을 위해 한국의 COMS-1 위성을 관측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회전안정화 위성은 Sidereal Tracking Mode로 관측하면 위성의 궤적이 선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때 나타난 궤적의 pixel value 값을 확인하면 일정한 주기로 밝기가 변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FFT를 수행하면 위성의 회전율과 회전 주기를 구할 수 있다. 3축 안정화 위성은 Stare Mode로 관측하여 측광하면 광도곡선을 획득할 수 있다. 위성의 형상을 결정하는 본체, 안테나, 태양전지판을 모델링하여 광도곡선 시뮬레이션결과와 비교하면 각각의 형상이 광도곡선에 미치는 영향과 특징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얻은 FY-2위성과 COMS-1 위성의 식별정보를 제시하고 향후 우주물체 식별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Network RTK 환경에서 위성에 의한 이상 검출 기법

  • Sin, Mi-Yeong;Jo, Deuk-Jae;Yu, Yun-Ja;Hong, Cheol-Ui;Park,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62-64
    • /
    • 2012
  • 개선된 정확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 시스템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Network RTK는 다중 기준국의 반송파 측정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시공간 오차를 보강한 측위성능을 얻기 위한 기법으로 현재에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한 알고리즘 개선안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지만, 무결성 확보를 위한 연구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Network RTK에서의 무결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 위성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을 검출하고 이상 위성을 식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오차 시나리오가 인가된 위성 신호를 생성하고, 이중주파수용 상용 수신기를 사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Method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atellite Anomaly Based on Pseudorange (의사거리 기반 위성 이상 검출 및 식별 기법)

  • Seo, Ki-Yeol;Park, Sang-Hyun;Jang, Won-Seok;Kim,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3
    • /
    • pp.328-333
    • /
    • 2012
  • Current differential GPS (DGPS) system consists of reference station (RS), integrity monitor (IM), and control station (CS). The RS computes the pseudorange corrections (PRC) and generates the RTCM messages for broadcasting. The IM receives the corrections from the RS broadcasting and verifies that the information is within tolerance. The CS performs realtime system status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functional and performance parameters. The primary function of a DGPS integrity monitor is to verify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feedback messages to the reference station. However, the current algorithms for integrity monitoring have the limitations of integrity monitor functions for satellite outage or anomal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s of satellite anomalies for maritime DGPS RSIM. Based on the function analysis of current DGPS RSIM, it first addresses the limitation of integrity monitoring functions for DGPS RSIM, and then proposes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 of satellite anomalies. In addition, it simulates an actual GPS clock anomaly case using a GPS simulator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integrity monitoring function. It presents the brief test results using the proposed methods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atellite anomalies.

Minimization Method of Measurement Noise for Satellite Clock Anomaly Detection (위성시계 이상검출을 위한 측정잡음 최소화 기법)

  • Seo, Kiyeol;Park, Sanghyun;Jang, Wonseok;Kim,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3 no.6
    • /
    • pp.505-510
    • /
    • 2013
  • In order to detect and identify the GPS clock anomaly in the Differential GPS real environment, this paper addresses a method for minimizing the measurement noise of reference receivers. It estimates the real measurement noise that removed the uncommon error source from pseudorange measurement to minimize the measurement noise. Based on the output of two reference receivers, it first removes the uncommon errors, then optimizes the measurement noise by applying the correction data. Finally, it detects and identifies the satellite clock anomaly using the minimized measurement noise. The method will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current DGPS reference system.

Anomaly Detection Technique of Satellite on Network RTK (Network RTK 환경에서 위성에 의한 이상 검출 기법)

  • Shin, Mi Young;Cho, Deuk Jae;Yoo, Yun-Ja;Hong, Cheol-Ye;Park, Sang-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1
    • /
    • pp.41-48
    • /
    • 2013
  • A positioning technique using the augmentation system has been researched to improve the accuracy. The network RTK is the precise positioning technique using carrier phase correction data from reference stations and is constantly being researched. The study for the system accuracy has been performed but system integrity research has not been done as much as system accuracy.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anomaly detection algorithm by satellite system and the diagnosis algorithm to a basic research in the integrity on network RTK. And the presented algorithms are verified on the DL-V3 dual-frequency receiver and the simulated error scenario using the GSS7700.

위성 영상 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 기술 현황과 발전 추세

  • Gwak, Yeong-Gil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2 no.1
    • /
    • pp.88-106
    • /
    • 2011
  • 최근 고해상도의 영상 레이다(Syntetic Aperture Radar. SAR)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지구의 환경 변화를 관측하거냐 고정밀도의 표적 탐지 및 식별이 가능해짐에 따라 레이다 영상을 이용한 활용 분야가 군사 목적의 정밀 감시 정찰뿐만 아니라 과학 및 민수용으로도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SAR의 역사는 1950년대부터 약 50년의 기술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최근 3~4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유사 이래 가장 많은 10여개 이상의 저궤도 SAR 위성들을 발사하므로서 비로소 "저궤도 위성 SAR 전성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다목적 실용위성 5호에 SAR를 탑재하는 최초의 영상 레이다 위성을 2011년 중반에 궤도에 집입시키기 위하여 현재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 9월 26~30일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국제영상 레이다 학술대회(Asia-Pacific Conference on Synthetic Aperture Rader: APSAR 2011)에 즈음하여 위성 SAR 개발 동향을 중심으로 SAR 기술 특정과 활용 기술 및 최근 기술 발전 동향을 소개한다.

Development of Non-stationary Rainfall Simulation Method using Deep-learning Technique and Bigdata (기상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비정상성 강우량 모의 기법 개발)

  • So, Byung-Jin;Kim, Jang Gyeong;Oh, Tae-S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5-185
    • /
    • 202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적 규모의 홍수, 가뭄 등의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복사에너지 변화에 기인한 전지구적 대류활동의 변화는 단발성 피해에 확산되어 특정 지역의 기후 패턴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대류활동의 변화는 국가별 물순환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자원의 변동성은 국가적 수자원 이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수자원의 중요성으로 인해 국제적인 기관들은 전지구적 대류활동에 기인한 물순환 과정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GCMs (Global climate modeling) 등과 같은 모형이 개발되었고, 위성을 통한 전지구 강우량 측정망을 구축하였다. 위성을 통한 전구 강우량 자료와 GCMs에서 산출된 대류과정과 연관된 기후변량 자료들은 빅데이터로 구축되어 제한 없이 제공되고 있다. 정상성 강우 모의 기법은 데이터에 한정된 패턴을 반영하는 모형들로서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 변동성 증가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한반도의 강우량과 기상학적 특성을 연관할 수 있는 머신러닝의 일종인 딥러닝 방법을 접목시킨 강우 모의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학적 패턴의 변화를 딥러닝 기법을 통해 식별하고 식별된 기상학적 특성에 기반한 한반도의 강우량을 모의할 수 있다. 본 모형은 단기 및 장기 예측 모형과 결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단/장기 강우량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oad Extraction by the Orientation Perception of the Isolated Connected-Components (고립 연결-성분의 방향성 인지에 의한 도로 영역 추출)

  • Lee, Woo-Beo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1
    • /
    • pp.75-81
    • /
    • 2012
  • Road identification is the important task for extracting a road region from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when the road candidates is extracted by the pre-processing tasks using a binarization, noise removal, and color processing. Therefore, we propose a noble approach for identifying a road using the orientation-selective spatial filters, which is motivated by a computational model of neuron cells found in the primary visual cortex. In our approach, after the neuron cell typed spatial filters is applied to the isolated connected-labeling road candidate regions, proposed method identifies the region of perceiving the strong orientation feature with the real road reg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accuracy&error ratio in the confusion matrix was measured from road candidates including road and non-road class.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s the more than 92% accuracy.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High-Resolution Middle-Infrared Data for Day and Night Time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자료의 주야간 지표면 식별 특성 평가)

  • Baek, Seung-Gyun;Jang,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13-125
    • /
    • 2012
  •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KOMPSAT-3A middle infrared (MIR) data. Airborne Hyperspectral Scanner (AHS) data, which has MIR bands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were used to assess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retrieval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MIR bands. Firstly, LST values for daytime and nighttime, which were calculated with AHS thermal infrared (TIR) bands, were compared to digital number of AHS MIR band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AHS band 68 (center wavelength $4.64{\mu}m$) was over 0.74, and was higher than other MIR bands. Secondly, The land cover maps were generated by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AHS MIR bands. Each class of land cover maps for daytime, such as water, trees, green grass, roads, roofs, was distinguished well. But some classes of land cover maps for nighttime, such as trees versus green grass, roads versus roofs, were not separated. The image classification using the difference images between daytime AHS MIR bands and nighttime AHS MIR bands were conducted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land surface for AHS MIR imager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land cover map for zone 1 and zone 2 was 67.5%, 64.3%, respectively. It was improved by 10% compared to land cover map of daytime AHS MIR bands and night AHS MIR bands. Consequently, new algorithm based on land surface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temperature retrieval of high resolution MIR imagery, and the difference images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was considered to enhance the ability of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using high resolution MIR data.

Statistical Conjunction Analysis between KOMPSAT-2 and Space Debris (아리랑 2호와 우주파편간의 충돌가능성 분석)

  • Jung, In-Sik;Choi, Su-Jin;Chung, D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1
    • /
    • pp.78-85
    • /
    • 2012
  • Space debris is the collection of objects in orbit around the Earth that were created by humans but no longer serve any useful purpose. Since the beginning of spacecraft launch in 1957, the number of space debris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USSTRATCOM, the number of space debris which were bigger than 10 cm is more than 15,000. Recently there were two critical events: One is that China shot down their satellite using missile and the other is that two satellite, United States's Iridium 33 and Russia's Cosmos 2251, collided with each other. Thanks to these events, Space environment in which KOMPSAT-2 operates has become severer.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space debris which are close to KOMPSAT-2 and the maximum conjunction probability via minimum range. Especially, this paper makes it possible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pace debris that is possible to hit KOMPSAT-2 through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