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산화염소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금속산화물센서의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한 감지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Behavior of Chlorine Dioxide on Metal Oxide Sensors)

  • 유준부;변형기
    • 센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1-214
    • /
    • 2020
  • Chlorine dioxide is very effective gas for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in manufacturing), and does not produce harmful by-products after use. However, if its concentration exceeds 10 %, it become explosive and cannot be compressed or sto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it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with a high oxidizing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metal oxide sensor. The sensor was a commercially available TGS series from Figaro.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a low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gas below 6 ppm and returned to the initial resistance at about 6 ppm. When the gas concentration reached multiples of 10 ppm, resistance of the sensor increased to several megaohms.

RuO2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이산화염소수 제조 (Preparation of Chlorine Dioxide Aqueous Solution by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using RuO2 anode)

  • 권태옥;박보배;노현철;문일식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96-300
    • /
    • 2009
  • $RuO_2/Ti$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시스템에서의 이산화염소수($ClO_2$) 제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이 사용되었으며, 무격막 전해셀에서 전구체 용액의 전해셀 주입유량, 전구체 용액 초기 pH, 아염소산나트륨과 전해질인 염화나트륨의 주입농도 그리고 전류밀도(current density)가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 및 p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와 pH는 초기 전구체 용액의 pH와 전해셀 주입유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질로 사용된 염화나트륨은 전해질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도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염소수 제조를 위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전구체용액의 최적 주입유량은 90 mL/min,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는 2.3, 아염소산나트륨 주입농도는 4.7 mM, 염화나트륨 주입농도는 100 mM 그리고 전류밀도는 $5A/dm^2$로 나타났으며, 이때 발생된 이산화염소수의 pH는 약 3, 이산화염소 농도는 약 350 mg/L이었다.

'신고' 배 수확 전·후 처리가 저장 중 배과피얼룩과 발생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and post-harvest treatments on the fruit quality and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the storage of 'Niitaka' pears)

  • 문병우;윤덕훈;남기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2
    • /
    • 2014
  • '신고' 배에서 저장 전 몇 가지를 처리하여 배과피얼룩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중 봉지 속지색에 따른 배과피얼룩과 발생은 황색지가 청색지 및 적색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확 시기별로는 적숙기 보다 7일 전에 수확하여 저온 저장한 처리가 발병률이 낮았으며 과실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저장방법에서 칼슘코팅봉지에 넣어 저장한 과실이 PE 봉지 및 알배로 저장한 과실에 비하여 현저하게 발생률이 높았다. 이산화염소 및 칼슘액 침지처리는 무처리 및 증류수 처리에 비하여 발생률이 낮았다. 또한 NaDCC 1,500배액에 침지처리를 하면 발생률이 낮았으며 반점의 크기도 감소되었다. 저장 중 과피얼룩과 발생은 과피의 수분함량(67.7%)이 낮은 과실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적숙기 보다 7일 전에 수확하여 칼슘봉지 씌우기 및 이산화염소, 칼슘용액, NaDCC 침지는 저장중 배과피얼룩과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병원내 환경으로부터 분리 및 확인된 병원균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살균 효과 - 생화학 및 기술 융합 (Biocidal Effects of Chlorine Dioxide on Isolated and Identified Pathogens from Nosocomial Environment - Biochemical and Technical Covergence)

  • 송경주;정석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39-3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화학 및 기술학 융합 연구의 일환으로, 병원내 환경으로부터 미생물이 추출되고 생화학적 분석으로 통하여 동정되었다. 미생물은 평택 소재 평원 중환자실에서 수집되었다 (2014년 11월 28일부터 2014년 11월 30일). 생화학장비인 VITEK2를 이용하여 11개의 미생물, Micrococcus luteus (or M. lylae), Granulicatella adiacens (M. luteus or M. lylae), Staphylococcus caprae, Sphingomonas paucimobilis, Kocuria kristinae, G elegans, Aerococcus viridans (or Staphylococcus arlettae), Methylobacterium spp., Dermacoccus nishinomiyaensis (or Kytococcus sedentarius), Kocuria kristinae (or M. luteus, M. lylae), Pseudomonas oryzihabitans이 동정되었다. 이후 이산화염소가스를 배출하는 팜이톡이라고 하는 플라스틱 막대와 함께 두고 측정해본 결과, 약 99.9% 이상의 매우 강한 미생물 성장억제가 분석되었다. 팜이톡과 함께 배양된 미생물 플레이트에는 어떠한 세균 집락도 발견되지 않았다. 종합해볼 때, 이산화염소가스를 배출하는 팜이톡은 병원내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에 대한 매우 강한 성장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척방법에 따른 인삼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inseng Washed by Different Methods)

  • 이현석;차환수;김병삼;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2-347
    • /
    • 2009
  • 인삼의 저장 유통시키는 기존 방식을 개선키 위한 기초 연구로 표면 세척을 한 인삼의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세척 살균수로 저온 냉각수($2^{\circ}C$), 전해수(pH 8.0-8.5, HClO 80 ppm), 이산화 염소수(5 ppm)를 사용하여 품질특성을 비교 하였다. 경도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연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처리 후 저장 조건의 CT-10 처리구의 경우 15일 경과 후에 급격히 표면의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났으며, $20^{\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10^{\circ}C$에 비교하여 연화에 의한 경도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저장온도 10, $20^{\circ}C$에서 모든 처리구가 갈변반응이 진행되었다. 상대적으로 저온 냉각수의 세척이 오히려 무처리구 보다 갈변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갈변억제 또는 지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 감소율은 처리구의 50일까지 중량 감소폭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15일후 $10^{\circ}C$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전해수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산화 염소수, 무처리구 저온 냉각수 순으로 감소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장 30일후에는 저장 15일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전해수 처리구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 50일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가 없었다. 저장 10일후 $20^{\circ}C$에서는 $10^{\circ}C$에서와 같이 처리구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가장 감소폭이 높게 나타났다. 살균조건별 미생물의 변화는 10, $20^{\circ}C$에서 전해수 80 ppm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척방법에서 이산화 염소수의 경우 전해수 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세척 인삼의 저장 중 수분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인삼은 수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염소산나트륨의 무격막 전기분해에 의한 이산화염소 생성: 양전극 재질에 따른 영향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from Sodium Chlorite Using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Effect of Anode Materials)

  • 권태옥;박보배;노현철;문일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75-282
    • /
    • 2010
  •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의 무격막 전기분해(un-divided electrolysis)에 의한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_2$) 제조에서 양전극(anode) 재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발생특성을 조사하였다. 양전극으로는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음전극으로는 Pt-coated Ti 전극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양전극을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시스템에서 이산화염소의 전구체인 아염소산나트륨 ($NaClO_2$) 농도, 전해질로 사용된 염화나트륨(NaCl) 농도 그리고 전구체 용액의 전해셀 체류시간(cell residence time;$t_R$),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 그리고 무격막 전해셀에 공급된 전류(current; A)와 같은 운전 파라미터가 이산화염소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그리고 DSA 양전극 시스템에서 최적 전해셀 체류시간은 각각 약 2.27, 1.52, 1.52 s,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는 약 2.3, 최적 아염소산나트륨 농도는 $IrO_2$-coated Ti와 $RuO_2$-coated Ti 양전극 시스템이 약 0.43 g/L, DSA 양전극 시스템이 약 0.32 g/L 그리고 최적전해질 농도는 약 5.85 g/L로 나타났으며 무격막 전해셀에 공급된 최적 전류는 약 0.6 A로 나타났다. 산출된 최적 무격막 전해셀 조건에서 이산화염소수 발생을 위한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그리고 DSA 양전극 시스템의 전류효율(current efficiency; C.E.%)과 에너지 소모율(energy consumption; E.C. $W{\cdot}hr/g-ClO_2$)은 각각 약 79.80, 114.70, 70.99% 그리고 1.38, 1.03, $1.61W{\cdot}hr/g-ClO_2$로 나타났다.

브롬이온을 함유한 상수 원수에 이산화염소 주입시 THM생성거동에 관한 연구 (Trihalomethane Formation by Chlorine Dioxide in Case of Water Containing Bromide Ion)

  • 이윤진;이환;남상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3-88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behavior of THM formation in water treated with chlorine dioxide where humic acid was used as THM precursor. THM was not detected in bromide-free water, but formed in water containing bromide. When 10 mg/l of chlorine dioxide was added to water containing 5 mg/l of humic acid and bromide respectively, 20.46 ${\mu}$g/l of THM was formed. It is postulated that chlorine dioxide oxidize bromide to hydrobromous acid, which subsequently reacted with humic acids similar to chlorine reaction. The formation of THM could be reduced at low pH. Among THM formed, CHBr$_3$ was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alkaline solution, while CHCl$_3$ in the acidic solution. A sample pretreated with chlorine dioxide for 24h before addition of chlorine showed a reduction of 75.1% in THM formation, compared with a sample not pretreated with chlorine dioxide and a sample treated by chlorine for 24h prior to addition of chlorine dioxide also showed a reduction of 37.8% in THM formation, compared with a sample not added with chlorine dioxide. It may explain that chlorine dioxide oxidizes directly a fraction of THM.

  • PDF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의 소다 안트라퀴논 펄핑 특성 및 이산화염소 표백 특성 (Soda-Anthraquinone Pulping and Chlorine Dioxide Bleaching Properties from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 이규성;송우용;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2호
    • /
    • pp.13-19
    • /
    • 2016
  • Moso Bamboo was investigated as the a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industry. Soda-Anthraquinone (Soda-AQ) pulping, elemental chlorine free bleaching was applied. Yield of soda or soda-AQ pulp was 29.3-31.7% with Kappa number 33.0-22.8 with different cooking time or anthraquinone addition at 20% active alkali. In soda or soda-AQ pulping, 81-86% of xylan was removed, which was the main reason for lower pulp yield than hardwood species. Average fiber length of Moso Bamboo soda-AQ pulp was 1.36 mm with $15.5{\mu}m$ fiber width. Soda-AQ pulp from Moso Bamboo (P-3, lowest Kappa pulp) was bleached with 5.5-6.5% of chlorine dioxide charge as D0ED1 bleaching sequence. In 3-stages ECF bleaching, final brightness of 85.3% ISO was achieved with total chlorine dioxide 6.5%.

UV법에 의한 안정화 이산화염소 원액 성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by UV method)

  • 김호순;안창진;윤제용;이상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5-111
    • /
    • 1997
  • Chlorine dioxide is being used to control THMs formation or taste & odor in water treatment plant. Recently, some operators or academic circles doubted the effectiveness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which is presumed as a liquid form of chlorine dioxid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omponents which consist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in terms of chlorine dioxide and chlorite. Two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UV method and Iodometric method. Iodometric method is recommended by Korean EPA to check the purity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The samples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from four water treatment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produced from chlorine dioxide generator on-sit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omponent of stabilized chlorine dioxide was overwhelmingly chlorite (${ClO_2}^-$) not chlorine dioxide ($ClO_2$) by UV method. It was also proved that Iodometric method (2nd method) recommended by Korean EPA could not differentiate between $ClO_2$ and ${ClO_2}^-$. Iodometric method (2nd method) recommended by Korean EPA should be revised accordingly to measure chlorine dioxide properly.

  • PDF

이산화염소에 의한 페놀제거 및 살균 (Disinfection & Removal of Phenol by Chlorine Dioxide)

  • 정승우;최희철;강준원;김종배;최승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4-33
    • /
    • 1993
  •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on the oxidation of phenol and disinfection were studied in the various test water conditions. With the 0.3mg/l of chlorine dioxide dose, the spiked phenol(initial concentration: 0.1mg/l) was completely oxidized within 10 minute. The removal rate of phenol was much faster in distilled water than in ground water and filtered water. The applied dose of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s higher than 0.2mg/l was sufficiently enough for the complete oxidation of phenol. However, with 0.1mg/l of dose, chlorine dioxide can oxidize only 20% of the spiked phenol. The reactive substances present in test water may influence the chlorine dioxide demand in water. pH effect of oxidation rate was also investigated. Increasing the pH, the removal rate of phenol was found to be increased. The disinfection test of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were conducted and compared. The lethal effect for the both disinfectants are similarly powerful. The time for 99% inactivation of E. coli was obtained within 120 sec with the 0.2mg/l of each d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