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병성

검색결과 3,175건 처리시간 0.032초

감자 더뎅이병 저항성 품종 선발 (On Selection of Resistant Potato Cultivars to Common Scab(S. scabies))

  • 홍순영;강영길;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5-137
    • /
    • 2004
  • 제주지역 감자재배포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더뎅이병의 방제대책 마련의 일환으로 1997년과 2001년에 감자 더뎅이병 저항성인 품종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외국에서 도입하여 재배 가능성을 검토 중이거나 국내에서 재배중인 감자품종 중 더뎅이병 발생이 적은 포장에서는 알파, 젬칩, 대서, 조풍, 유곤골드 품종이 더뎅이병에 매우 강한 편이었으며, 더뎅이병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젬칩, 대서, 조풍이 더뎅이병에 비교적 낮은 이병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장려품종 중에는 수미, 추백, 조풍 품종이 더뎅이병에 저항성이었다.

모용(毛茸)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과 병원균(病原菌)의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e Leaf Hair Density on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of Alternaria Leaf Spot Caused by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5-249
    • /
    • 1987
  •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 PDF

'밀양 30호'의 흰빛잎마름병 (백엽고병)이병화 (Susceptibility of Tongil type Rice Cultivar Milyang 30 previously Resistant to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 최용철;윤명수;손재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84
  • 백엽고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밀양 30호의 이병화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밀양, 해남산에 대한 최고분얼기, 출수기엽과 기본식물에 대한 각균군의 균주별 저항성 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 $1979\~'81$년 전국에서 이병된 밀양 30호의 침해균군 비친화성으로 밝혀진 I, II균군의 균주가 다수분리되었다. 나. 산지 및 생육시기별 저항성 정도의 차는 인정할 수 없었으나 II 균군의 특수균주(병원성 분화형)에 대해 침해받았음이 원인이었다. 다. 밀양 30호의 기본식물에서도 동일 균군 균주에 의해 반응이 일치되므로 품종보다 균주의 병원성 분화에 따른 이병화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