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 상태 판단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bars and meandering developments in the vegetated channels (식생하도에서 식생밀도 변화에 의한 사주의 거동과 사행의 발달과정 분석)

  • Jang, Chang-Lea;Kang, Tae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
    • /
    • 2021
  • 하도 식생은 하천의 지형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 식생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특히, 사주의 이동은 저수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하도에서 사주의 이동과 사행의 발달과정을 실내실험과 수치모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안의 안정성은 홍수터의 하도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하안의 안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실제 식생인 알팔파 밀도를 조절하여 성장시켰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상류에서 교호사주 발생하고, 하류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하안이 침식하였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폭은 증가하고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며 사주의 파장도 증가하였다. 홍수터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하안침식이 빠르고 사행의 발달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에서 부분 침식이 발달하였다.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곡률반경 대 하폭의 비인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가 증가하였다. 사주의 이동이 정지됨에 따라,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사행의 만곡부에서 저수로의 폭이 크지만, 홍수터 식생이 있는 조건에서는 저수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사행이 발달하였다. 이는 식생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 유출되는 유사량은 불규칙하게 배출되었으며, 이는 하안침식과 사주의 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생이 있는 하도에서 유사유출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배출되었다. 이는 저수로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사주의 발달도 크지 않아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ep Learning based Fish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for Smart Aqua Farm (스마트 양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어류 검출 및 이동경로 추적)

  • Shin, Younghak;Choi, Jeong Hyeon;Choi, Han 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552-560
    • /
    • 2021
  • Currently, the domestic aquaculture industry is pursuing smartization, but it is still proceeding with human subjective judgment in many processes in the aquaculture stage. The prerequisite for the smart aquaculture industry is to effectively grasp the condition of fish in the farm. If real-time monitoring is possible by identifying the number of fish populations, size, pathways, and speed of movement, various forms of automation such as automatic feed supply and disease determination can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algorithm to identify the state of fish in real time using underwater video data. The fish detec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evaluated by applying the latest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s, and an algorithm was proposed to measure fish object identification, path tracking, and moving speed in continuous image frames in the video using the fish detection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showed 92%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based on F1-score),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effectively tracks a large number of fish objects in real time on the actual test video. It is expected that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effectively used in various smart farming technologies such as automatic feed feeding and fish disease prediction in the future.

Efficient Handoff Time Decision Algorithm using Differential RSSI (차등 RSSI를 이용한 효율적인 핸드오프 시점 결정 알고리즘)

  • Kwon Young-Hwan;Choi Seong-Gon;Choi Jun-K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3 s.106
    • /
    • pp.323-330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handoff time decision mechanism to utilize resource efficiently by using Differential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DRSSI). DRSSI can be used to predict the movement direction of Mobile Station (MS). In other words, DRSSI changes its sign (+ or -) when a MS changes movement direction. This mechanism maximizes resource availability of Base Station (BS) by predicting resource reservation of MS and by giving priority of resource to MS. It is possible when a BS predicts the behavior of MSs by monitoring the DRSSI of MSs in overlapped region among cells. Additionally, we show that our proposed mechanism has better handoff blocking probability than existing mechanism with numerical modeling and analysis.

Performance Enhancement due to Oxygen Plasma Treatment on the Gate Dielectrics of OTFTs (게이트 절연막의 $O_2$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펜타센 OTFT의 성능 개선)

  • 이명원;김광현;허영헌;안정근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0 no.7
    • /
    • pp.494-498
    • /
    • 2003
  • In this paper, the plasma treatment on gate surface has been applied prior to deposition of pentacene and the effects o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The Plasma treatment produced the mobility of 0.05$\textrm{cm}^2$/V.sec which is 10 times larger than the non-treated. The resistance was also reduced from 400K$\Omega$ to 50K$\Omega$. In addi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performance parameters variation was reduced with the plasma exposure time, which implies that plasma treatment makes the gate surface states be uniform across the whole wafer area. The performance parameters were increased with the exposure time up to 5min, after which they degraded again. Therefore, the optimal exposure time was found to be 5min.

이동통신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이동전화 단말기 창의 컬러화에 대한 경제적 가치산정을 중심으로 -

  • 이종수;변상규;이정동;김태유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3.02a
    • /
    • pp.81-100
    • /
    • 2003
  • 최근 이동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전세계 이동통신업계는 제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의 성공여부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지금까지의 이동통신산업의 성장이 빠른 기술개발에 의존한 기술추동적(technology-push) 성격을 지녔다면, 이동통신시장이 포화상태에 근접하고 있는 최근에는 서비스 및 장비 양면에서의 경쟁이 치열해 짐으로써 소비자의 기술에 대한 선택이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수요견인적(demand-pull) 기술혁신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동통신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특정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 향후 산업의 기술진화방향을 예측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이동통신기술의 진보의 키워드는 '멀티미디어화'이다 향후 VOD (Video On Demand) 등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화상전화, 타 디지털기기(예를 들어 PDA, 디지털 카메라 등)와의 융합 등의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축이 가시화됨에 따라 이동통신의 멀티미디어 기능은 더욱 주목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기 창의 컬러화는 이러한 이동통신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떠받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정표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시1창의 컬러화로 실현되는 기술혁신요소에 대해서 소비자가 부여하는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하지만, 컬러 단말기의 보급이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연구시점의 특성상 현시자료가 가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가상의 품질특성을 지닌 제품 조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소비자가 순위를 매기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를 측정하는 컨조인트(conjoint)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소비자의 진술선호(stated preference)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별 특성에 대한 부분가치와 보상잉여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창의 컬러화로 인해 기대되는 초과이윤의 가능성 등 경제적인 효과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브랜드 가치 등 기존의 단말기 경쟁력 요소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컬러화가 가져다 줄 경쟁요소들을 추정함으로서, 기술확산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Vision-based Obstacle State Estimation and Collision Prediction using LSM and CPA for UAV Autonomous Landing (무인항공기의 자동 착륙을 위한 LSM 및 CPA를 활용한 영상 기반 장애물 상태 추정 및 충돌 예측)

  • Seongbong Lee;Cheonman Park;Hyeji Kim;Dongjin Le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5 no.6
    • /
    • pp.485-492
    • /
    • 2021
  • Vision-based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technology for UAVs requires precise position estimation and landing guidance technology. Also, for safe landing, it must be designed to determine the safety of the landing point against ground obstacles and to guide the landing only when the safety is ensured. In this paper, we proposes vision-based navigation, and algorithms for determining the safety of landing point to perform autonomous precision landings. To perform vision-based navigation, CNN technology is used to detect landing pad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is used to derive an integrated navigation solution. In addition, design and apply Kalman filters to improve position estim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determine the safety of the landing point, we perform the obstacle detection and position estimation in the same manner, and estimate the speed of the obstacle using LSM. The collision or not with the obsta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PA calculated by using the estimated state of the obstacle. Finally, we perform flight test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Phase delay of X-band GB-SAR system affected by humidity change (습도변화에 따른 X-band GB-SAR 시스템의 위상지연)

  • Lee, Jae-Hee;Lee, Hoon-Yol;Cho, Seong-Jun;Sung, Nak-H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02-2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X-band GB-SAR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상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대기 중의 습도와 거리의 영향을 받는 대기보정 상수를 산출하였다. 시스템에서 X-band 안테나는 중심주파수 9.65 GHz, 밴드 폭 600 MHz이며, 신호의 증폭과 다편파 측정 및 분석을 위해 각각 마이크로파 앰프와 마이크로파 스위치를 이용하였다. Azimuth step과 length는 5 cm와 5 m로 최대 관측 거리는 약 200 m 이다. phase 분석에 쓰인 산란체는 총 5개의 trihedral corner reflector로서, 시스템으로부터의 거리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였다. 실험은 3일간 연속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실험간 상대습도는 최소 50 %에서 최대 90 %까지로 약 40 %의 변화를 보였다. 고정된 상태의 reflector는 마치 이동한 것과 같은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마이크로화의 전파과정에서 발생하는 거리와 습도에 따른 지연효과라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대기보정식을 산출하였다. 산출과정에서 temporal coherence가 0.98 이하인 reflector의 신호는 제외하였는데 이 경우 시스템 및 reflector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산출된 대기보정식은 C-band 안테나를 사용한 실험과 비교하여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investigation equipments for underground telecommunication conduit (통신용 지하 관로의 품질 측정을 위한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 개발)

  • Kim, Dong-Hun;Han, Jin-W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29-237
    • /
    • 2005
  • 통신용 지하 관로는 대부분 내경 100mm인 PVC 재질로 되어 있으며, 지하에 매설한 후 또는 관로를 사용하기 전에 관로 상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할 목적으로 맨드릴(직경 90mm)을 이용한 선통 검사로 정상 관로와 불량 관로를 판단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조사 대상 관로의 불량 원인을 밝힐 수 없을 뿐 아니라, 복수 개소의 불량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관로 보수나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를 개발하였으며, 관로 내부를 따라 관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관로 내부의 변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관로 벽에 조사된 레이저 빔 영상을 검출하여 관로 단면의 최소 직경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맨드릴은 1mm 간격으로 관로의 내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관로 단면의 최소 직경을 측정할 수 있어 조사 관로의 전반적인 변형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신설 관로의 시공품질을 측정하거나, 기존 관로의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로 상태에 따른 케이블 포설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불량 관로 보수를 위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아리랑위성 2호 발사 후 검보정

  • Lee, Dong-Han;Seo, Du-Cheon;Song, Jeong-Heon;Park, Su-Yeong;Im, Hyo-Suk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9-32
    • /
    • 2007
  • 2006년 7월 28일 발사 된 아리랑위성 2 호 검보정 작업은 발사 한 달 후인 8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아리랑위성 2호 검보정의 첫 단계로 위성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재정리하는 작업부터 시작하였으며, 곧바로 아리랑위성 2호의 기본 설정 값들을 결정하는 작업을 마무리하였다. 이후, 복사 검보정, 공간 검보정, 기하 검보정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지만, 검보정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사 전에 고려하지 못 했던 요소들이 발견되었고, 위성과 사용자 간의 요구사항 정확도 차이에서 오는 문제점들이 검보정 작업 진행 중에 나타남에 따라 검보정 작업이 지연되었다. 발사 전에 계획되었던 검보정 계획에 비해 일정 지연이 있었으나, 현재는 아리랑위성 2호 영상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영상 품질을 만족한 상태이며, 향후 계속해서 아리랑위성 2호 기본 사양을 넘는 영상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검보정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Mobile System for Repair with the TRS Network (TRS망으로 구성된 기동보수시스템 개발)

  • Lee, Bong-Jae;Jang, Moon-J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268-270
    • /
    • 2002
  • 신속한 고장복구를 통해서 정전시간을 최소화하고자 배전기동보수업무에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간 GIS, GPS, Mobile 등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핵심요소기술들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였고, 무엇보다 기반 시스템으로서의 NDIS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비종합 DB와의 체계적인 연계가 미비하여 사업소 확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최근에 관련 정보기술(IT)의 발달과 NDIS DB구축사업이 사업소별로 추진되어 기동보수시스템이 현장업무에 적용될 환경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동보수차량의 위치를 GPS와 TRS망을 연계하여 실시간 관리함으로써 고장지점으로 신속히 출동시키게 하고, 현장에서는 고장접수정보와 계통구성정보 등 관련 설비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많은 비용과 노력을 기울인 GIS DB 구축자료의 활용성과 이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