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동운동능력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Improvement in Loc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Physical Activity Programs)

  • 한범석;이태희;전혜자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83-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0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사이의 선행연구 중에서 '대근육운동능력', '이동운동능력', 'TGMD'를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24편 논문의 장애아동 518명을 대상으로 CMA3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운동능력의 전체 평균효과크기, 장애아동의 성별, 연령, 장애유형, 프로그램 시간, 빈도, 기간에 따른 효과크기와 달리기(run), 겔롭(gallop), 홉(hop), 립(leap), 제자리멀리뛰기(horizontal jump), 슬라이드(slide)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의 질적 검증을 위해 출판편향(publication bias)검증과 이탈치(outlier)를 확인하였고 연속형 변인은 메타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이동운동능력에서 1.143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장애유형 중 자폐 스팩트럼이 1.697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이동운동능력의 6가지 하위변인 중 달리기의 효과크기가 1.019로 크게 나타났다. 연령별 결과에서 8~10세가 0.920의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1회당 100~120분(1.261), 주 3회(1.078), 16~20주(1.587)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on Balanc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Low Back Pain Patients)

  • 손호희;오정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2
    • /
    • 2014
  • 본 연구는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0대 요통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척추안정화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복식호흡을 함께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척추안정화 운동만을 시행하였다. 운동은 8주간 적용하였으며 운동 시작 전과 후에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설문지를 사용하여 통증을 비교하고 BioRescue를 사용하여 신체중심이 이동한 길이와 면적을 측정하여 균형능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요통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면적 비교에서 실험군은 운동 후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길이의 비교에서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룹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요통환자에게 안정화운동과 복식호흡을 함께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outdoor movement activities on the motor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67-174
    • /
    • 2020
  • 본 연구는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총 15주간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아 운동능력 검사에서는 지성애(2007)의 유아 운동능력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영역은 모두 5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문항의 수는 총 33개 문항이다. 유아의 운동능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t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전체 운동능력, 비이동 운동 능력, 이동 운동 능력의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외 동작활동과 통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가정용 게임기를 이용한 재활운동이 뇌졸중 장애인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a Home Video Game (PS2) on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 신원섭;이승원;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87-490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용 게임기를 이용한 재활 운동을 적용하여 뇌졸중 장애인의 보행능력에 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게임운동군 16명과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었다. 게임운동군은 가정용 게임기(PS2, sony)를 이용하여 1시간씩 주 3회, 6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운동의 적용 없이 평상시 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 전과 후에 보행능력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보행능력에서 10m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6분 보행거리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가정용 게임기를 이용한 재활운동이 뇌졸중 장애인의 보행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뇌졸중 장애인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의 효과를 가진 게임형태의 재활운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on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 김경화;여영근;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0
    • /
    • 1998
  • 난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s와 sterol이 수정에 참여하는 정자의 주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이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rogesterone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억제하였으나 수정능획득한 정자를 유인하였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progesterone은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2. Estradiol 17 beta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10$\mu$g/ml 수준의 estradi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 및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자극하였으나,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4. Progesterone, estradiol 및 cholesterol의 병용처리에서,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나, progesterone과 estradiol은 이러한 cholesterol의 효과를 감소시켰다. Progesterone은 수정획득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이나 cholesterol은 progester-one의 이러한 효과를 억제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rogesterone은 50$\mu$g/ml 첨가수준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swim-up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며, cholesterol은 5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은 1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고무로프의 탄성을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노인의 보행능력, 균형능력 및 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주간보호센터 노인을 대상으로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with Elasticity of Tubes on the Gait, Balance and Strength in the Elderly of the Daycare center)

  • 엄혜미;시주운;이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2-110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의 기준에 의해 부분도움 또는 완전도움이 필요한 등급을 받은 정신적,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고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관절과 근육이 무리를 덜 주는 저항성 운동프로그램들 개발하고, 이 운동이 노인의 보행능력, 균형능력 및 근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경기, 충청권의 주간보호센터 세 곳을 대상으로 노인들 58명에게 12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운동 참여 전과 후의 수치에 대해 종속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참여자들이 보행능력, 균형능력, 근력에서 평균적인 향상을 보였다. 특히 모든 등급에서 검증된 균형능력의 유의한 향상(p<.01)은 균형능력이 일상생활 능력을 향상시키고 낙상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노인 삶의 질 향상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운동프로그램을 전체 노인으로 대상을 확대하고 활성화시킨다면, 건강한 노인이 치료가 필요한 취약계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허약노인이 장애노인으로 진행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어 개인적,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방적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이용한 4주간의 운동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Balance Ability after Four Week Training Using the System for 3-D Dynamic Exercise Equipment)

  • 신선혜;유미;정구영;유창호;김경;정호춘;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
    • /
    • 2012
  • 기존의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통한 연구는 체간 안정화 운동에 주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피험자는 요부와 하지 근육에 이상이 없는 20대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간 안정화 및 자세균형 훈련은 주 3회 15분씩 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세균형능력평가는 Balance System SD을 이용하였으며, 20초 동안 신체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한 점에 유지하는 능력인 자세 안정성 검사와 8가지 방향으로의 이동능력 평가인 자세 한계성 검사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이용한 4주간의 훈련이 자세균형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이는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낙상 위험이 높은 고령자나 자세균형 훈련이 필요한 운동선수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나 예상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회복을 위한 가정운동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Home Bas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Recovery in a Post-Stroke Population)

  • 장상훈;정병옥;방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97-304
    • /
    • 2014
  • 본 연구는 가정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9월에서 2013년 12월까지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는 총 20명으로 일반적인 통원 물리치료를 실시한 조군 10명, 일반적인 통원 물리치료를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운동군 10명으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가정운동프로그램은 신경계 물리치료사가 대상자 집을 방문하여 8주동안 주 2회씩 매회 30분간 시행하였으며 체중이동훈련, 지구력훈련, 운동재훈련, 감각재훈련, 하지운동으로 구성되었다.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Biorescu를 이용하여 족저압, 안정성한계, 동요속도를 측정하였고 임상적인 측정방법 중 하나인 기능적 팔뻗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운동군은 안정성한계, 동요속도, 기능적 팔뻗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회복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인 치료전략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낸다.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Effects of Low-density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 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43-650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악력, 정적균형, 복합적 이동능력), 심리적 기능(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복합적 이동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적 균형은 운동 수행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우울은 운동수행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은 허약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향상과 심리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빈도와 강도를 연장하여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의 체성분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asic Motor Skills in Obese Children)

  • 김원준;나승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66-4272
    • /
    • 2010
  •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 유아의 체성분의 변화와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비만 판정에 쓰이는 카우프지수(Kaup Index)가 20이상인 유아 비만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 3회식 12주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프로 그램이 비만유아들의 체성분의 하위변인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수분량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향상되었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들의 기본운동능력 중 이동운동과 조작운동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향상되었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비만유아들의 체성분의 변화와 기본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