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학철학(醫學哲學)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1초

"좋은 의사는 또한 철학자이다" 의사-철학자의 모델 갈레노스를 중심으로 ("The Best Doctor is also a Philosopher" Medicine and Philosophy in Galen)

  • 여인석
    • 의철학연구
    • /
    • 제25권
    • /
    • pp.3-26
    • /
    • 2018
  • 고대세계에서 의학과 철학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은 자연학의 일부로 인체에 대한 관심을 갖고 우리 몸의 구성이나 생리적·병리적 현상을 탐구했다. 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의학이나 의사, 혹은 질병을 예로 들어 자신들의 철학적 논변을 전개했다. 여기서 철학과 의학은 비유적 차원에서 인간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는 두 분야로 설정된다. 그들은 철학은 정념을 제거하여 우리 영혼을 치유하고, 의학은 질병을 제거하여 우리 육체를 치유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보았다. 다만 여기서는 의학과 철학의 관계가 유비적 차원에 머물고 있는 문제가 있다. 고대세계에서 의학과 철학의 체계적 결합은 의사-철학자의 전형인 갈레노스를 통하여 전면적으로 이루어졌다. 갈레노스는 의학과 철학의 관련 양상을 그의 글 「좋은 의사는 또한 철학자이다」에서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갈레노스는 스토아 학파의 철학관을 받아들여 철학을 자연학, 논리학, 윤리학으로 구성된 학문으로 보았다. 따라서 갈레노스에게 좋은 의사는 자연학, 논리학, 윤리학에 정통한 철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의사-철학자의 완벽한 모델을 히포크라테스에게서 찾았다.

사상의학으로 본 철학적 자연관 (The Philosophical View of Nature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최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9-40
    • /
    • 1998
  • 동무의 사상의학은 단순히 임상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철학적 차원에서 자연관에 대한 중요한 인식론을 담고 있다. 그 내용으로서 사상의학의 사상체질을 마치 결정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다. 사상의학은 실체론에 근거한 서구 전통철학으로 볼 때 결정론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간의 의지를 더 중시하는 유기적 치심(治心)의 철학임을 보이고자 한다. 사상의학에서 본 인간의 창국단장(廠局短長)의 체질은 각기 태어나면서 정해진 것이지만, 그로 인해 모든 성정이 고정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피심(治心)을 통하여 후천적인 변화와 자기 가변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로 사상의학의 핵심이라고 본다. 철학적으로는 서구철학처럼 인식이 행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가 인식을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으며, 그 근거로서 사상의학에서 본 자연관을 도입하였다.

  • PDF

정신 질병의 탄생: 고대 그리스 의학적 시선의 철학적 기원 플라톤의 정신 질병 개념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Mental Disease in Plato)

  • 장미성
    • 철학연구
    • /
    • 제121호
    • /
    • pp.1-24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영혼의 질병과 치유와 관련된 고대 논변들을 통해 플라톤이 말하는 정신의 질병과 건강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의학은 몸의 건강을 돌보는 것이었다면, 철학은 영혼의 건강을 돌보며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정신적 질병의 개념을 규정하는 것은 의학의 영역이기보다 철학의 영역이며, 철학의 실천적 기능은 우리의 영혼을 돌보는 삶이다. 그리고 영혼을 돌보기 위해서는 영혼의 질병은 무엇이며 어디서부터 오는지에 관한 진단이 우선시 된다. 플라톤은 정신적 질병을 (1) 국부적인 뇌의 문제가 아니라 인격의 총체적 문제이며, (2) 이는 불균형과 부조화에 기이하는 것으로, (3) 무지 또한 정신적 질병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4) 더 나아가 그는 부정의와 악덕 역시 정신적 질병이라고 진단하며, 정신적 질병의 문제를 개인을 넘어서 국가의 문제로 확대시킨다. 결과적으로 플라톤은 철학의 목적을 영혼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덕을 가지고 공동체 속에서 정치적 정의를 이루어 나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캉길렘의 생명철학에서 개체성과 내재적 규범의 문제 (The Problem of Individuality and Intrinsic Norms in Canguilhem's Philosophy of Life)

  • 황수영
    • 의철학연구
    • /
    • 제15권
    • /
    • pp.3-37
    • /
    • 2013
  • 조르주 캉길렘의 의철학에서 의학은 기술이라고 주장된다. 이는 실용적 의미가 아니라 인간의 전체성을 반영하는 가치론적 지평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의학의 특징이 캉길렘의 철학적 사유의 동기가 된다. 의학적 지식은 생리학의 단순한 응용이 아니라 환자 개인의 체험에 기초한 임상적 관찰에서 비롯한다. 의학이 과학이고 그 실행이 순수 지식의 응용이라면 환자는 수동적 대상에 머물게 된다. 그러나 환자는 질병에 수동적으로 노출되기보다는 자신의 생애를 통해 이미 습득된 능동적 태도에 의해 질병의 위협에 대처한다. 캉길렘은 이 점을 '규범성'이라고 특징짓는다. 규범성은 개인의 삶의 핵심이지만 실증주의 의학은 이를 설명할 수 없다. 여기서 캉길렘의 의학사상의 생기론적 특징이 나타난다. 캉길렘의 규범성 개념은 일인칭 주관과 관련되기 때문에 기계론적 설명방식을 벗어난다. 캉길렘의 독창성은 개체성과 가치 그리고 규범에서 의학의 본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중국·조선철학의 성정(性情)과 동의수세보원의 성정(性情)에 관한 문헌적 고찰(考察) (A Bibliographic study between Sung-Jung in and Sung-Jung in and Sung-Jung in Chinese and Chosun's philosophy)

  • 설유경;김종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73
    • /
    • 1999
  • 1. 연구목적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는 사상인(四象人)의 생리(生理), 병리(病理)의 원인이 희노애락(喜怒哀樂)으로 표현되는 성정(性情)의 작용으로 설명되어진다. 따라서 동의수세보원에 나타나 있는 희노애락(喜怒哀樂)으로서의 성정(性情)과 중국 조선철학에서의 성정(性情)에 관한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2. 연구방법 먼저 중국철학에서의 성정(性情)개념의 변천과 의미를 고찰하고 그 다음 조선철학에서 성정(性情) 개념을 중심으로 한 논변(論辯)인 사단칠정론과 정제두의 양명학에서의 성정(性情)에 대해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동의수세보원에서의 성정(性情)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3. 연구결과 이제마가 동의수세보원에 중국과 조선철학에서의 성정(性情)을 모두 포괄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사심신물적(事心身物的)인 사고체계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