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태도 유형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

의복 태도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s of Clothing Attitudes)

  • 박혜선;김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9-289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clothing attitudes and to study differences of th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selected for final analysis were 595 adults ranging from 20's to 50's in age. The clothing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nine dimensions: fashionability, clothing involvement, clothing conformity, modesty, status symbolism, comfort, manageability, individuality and economy. And the dimens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sex and educational level.

  • PDF

중고등학생의 의복 태도 유형에 따른 교복 착용에 대한 태도 (School Uniform Attitude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현화;박명자;이지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3-57
    • /
    • 2009
  •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appearance and clothing and they use it as a method of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and freedom. We examined clothing attitudes and school uniform attitude of the students and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the survey of 4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First,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hool uniform th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 school students prefer school uniform and wear more frequently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o. Second, the group of economic efficiency and individuality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and prefer the school uniform than group of practicality, fashion and conformity have. The group of fashion and economic efficiency show the preference of famous brand. Based on these results, we understand the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towards school uniform with reference to the clothing attitudes. Therefore, we need to accept demand of students in producing school uniform.

  • PDF

대학생 소비자의 돈에 대한 태도 유형별 의복구매행동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Comparison of Different Money Attitudes)

  • 박정숙;차경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3-28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money altitud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bo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by different money attitudes. For this study, guestionnaires completed by 2-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n=426)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X²- 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ney attitude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s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three clusters: cluster of considering the money as a tool for future safety, a way of approval and filling up emotions, and inclination toward stinginess and distrust. Second, the factors which were associated with money attitudes were academic level, education level of parents, household income, students' own income, and the economic level of their households. Third, in each type of attitudes,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had four steps of decision making: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of alternatives, and the purcha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mong the money attitude styles.

의복추구혜택 유형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패스트패션 태도 및 화장행동 (Lifestyle, Fast Fashion Attitude, and Cosmetics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Typology)

  • 박은희;구양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1호
    • /
    • pp.121-13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lifestyle, fast fashion attitude, and cosmetics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38 college students living in Deagu and Busan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X^2$-test, ANOVA, and Scheffe-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typologies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self-expression, pursuit of economic, and pursuit of social oriented body. In the relationship of the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was related to the sub-variables of lifestyle, fast fashion, and cosmetics behavior.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groups showed different the sub-variables of lifestyle, fast fashion attitude, and cosmetics behavior factors.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groups showed connected with college students and ages.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가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on Their Appearance -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

  • 유경옥;정명선;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147
    • /
    • 2007
  •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를 중심으로 여교사의 외모관리가 역할수행(학습지도, 생활지도,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생 및 학부모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 ANOVA와 Duncan-test, t-test,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여교사의 역할수행능력 평가는 4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학습지도능력, 생활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 학급경영능력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는 개성추구, 유행관심, 의복 중요성, 정숙성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이 요인들에 의해 의복태도 유형은, 의복중시 지향집단, 유행 개성 지향집단, 정숙성지향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학생의 경우 유행 개성 지향 집단이 여교사의 학습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에서 여교사의 외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교사는 학생의 의복태도를 잘 파악하고 역할수행에 맞는 옷차림 및 외모관리로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부모의 경우 의복태도에 따른 여교사가 역할수행능력 평가에 있어 관련성이 적거나 관련이 있더라도 학습 지도 역할을 할 때 보통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므로 여교사는 학습지도를 할 때 외모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과 학부모의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는 여교사의 외모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학생집단의 지도시에 여교사는 학습지도활동 및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활동을 하는데 있어 여교사 본인의 외모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학생과 학부모는 자신의 의복태도에 따라 여교사의 외모가 역할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백질과 철분은 남녀 노인 모두에서 평균필요량 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가 없는 것으로

  • PDF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패션잡지광고유형별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청 바지광고를 중심으로 (The Fashion Involvement and Attitudes of Consumers toward Advertising and Buying Intensions According to Types of Jeans Advertising in Fashion Magazines)

  • 박지영;정성지;김동건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4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1)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ing ofjeans, buying intension, importance of merchandise selection factor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shion involvement 2)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buying intension among types of advertising 3) importance among merchandise selection factors 4) utilization among types of information sour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men and women between 10 and 30 years of age. A sample of 286 men and women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Using SPSS/PC version 12.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randomized block design a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ing of jeans, buying intension, importance of merchandise selection factor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 among groups according to levels of fashion involvement 2)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buying intension among types of advertising 3) importance among merchandise selection factors 4) utilization among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대학생의 허영심 유형에 따른 차이연령과 의복 가격태도 (Difference Age and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Vanity Typology)

  • 박은희;구양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3-215
    • /
    • 2015
  • This study classifies vanity into groups, analyzes age differences and categorizes price attitudes toward apparel produc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61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City and Kyungbo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t-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College student van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appearance/ achievement pride, low vanity, and appearance/achievement concern. Van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variables of age difference and price attitude towards apparel products. Appearance pride and achievement concern (sub-variables of va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picuous of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Appearance pride and Appearance concern (sub-variables of va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of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Gender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distinction insub-variables of vanity factors such as appearance concern and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such as information, quality, and using coupons. Male students were distinct in look and health as well as age differences by group; female students were distinct in age perception differences (a sub-variable of age differenc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conspicuousness (a sub-variable of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by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