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 아이템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loth Simulation System for 3D Fashion shopping mall based on Web (웹 기반 3D 패션몰을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

  • Kim, Ju-Ri;Joung, Suck-Tae;Jung,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5
    • /
    • pp.877-88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oth Simulation System for 3D fashion shopping mall based on Web. Web 3D shopping mall is implemented by using a Web3D authoring tool, ISB, which provides easy mouse operation. 3D human models and cloth item model are designed by low polygon modeling method of 3D MAX. The designed 3D human models and cloth item model are exported to XML file. Finally, 3D human models and cloth item model are displayed and animated on the Web by using ActiveX control based on DirectX. We also implemented textile palette and mapped it to clothes model by using alpha blending during simulation.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Korean Apparel Wearing Behavior of Foreigners (외국인의 한국 의류 착의실태)

  • Maharjan Shreejana;Chang-Bum Heo;Kyung-Seo Yoon;Ye-Sun Kim;Hyang Ki Yu;Su-Joung C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45-346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의류의 착용실태 및 착용 시 불편사항, 선호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소비자를 흡수할 수 있는 의류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류 구매장소는 온라인 쇼핑이 가장 많았고, 구매 아이템은 티셔츠, 재킷이 많았다. 가격대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심미적 요인이 높았다. 한국 의류는 어깨부위, 다리길이가 가장 불편하였고, 바지가 가장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스타일은 캐주얼과 모던 스타일이 많았고, 심플하고 편안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며, 천연소재를 선호하였다. 조금 여유있는 실루엣의 의복을 선호하고 재킷, 티셔츠 등의 아이템을 선호하였다. 향후 국적, 체형 등에 따른 착의실태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ng Women's Street Fashion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여성 스트리트패션 비교)

  • Yu, H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41-1955
    • /
    • 2009
  • This study compares street fashions in Korea and Japan to investigate possible interactive influences. Women's street fashion data were obtained from two magazines in each country from the 2003 spring/summer season to the 2007/08 fall/winter season. A total of 2211 pictu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longitudinal changes in street fashion showed a similar trend toward full coordination, the increased use of colors and prints, and the influences of global fashion trends in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a time lag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doption of some clothing items that suggest the influence of Japanese street fashion in Korea. The time lag has diminished and since 2006, street fashion has simultaneously progressed under the mutual and common influences of global trends. There are more fashion similarities in the spring/summer than in fall/winter. The adoption of fashion accessories did not show any sign of a time lag and many accessories became popular during the same season.

Attachment Transition from Suit to Casual Wear via TED Speakers' Clothing-Behavior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국가별 TED 강연자의 의복선택을 통해 본 수트에서 캐주얼 웨어까지 착용 변화)

  • Lee, Yoon Kyung;Youn, Chor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8 no.1
    • /
    • pp.46-5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lothing-behavior for the same occasions in terms of a cross-cultural context. It analyzed clothing items worn by TED speakers via video at TED.com in the US, UK, France, Japan, and South Korea from October to December 2012. An analysis on the 233 video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merican speakers wore casual items on the top and formal wear on the bottom. Most British speakers wore the same styles on the top and the bottom outfits such as 'formal-top & formal-bottom' or 'casual-top & casual-bottom'. French speakers chose mix and match styles. Japanese and Koreans selected the same styles on the top and the bottom outfits such as 'formal-top & formal-bottom' or 'casual-top & casual-bottom'. In particular, Japanese speakers selected various casual items more than other countries' speakers. Korean senior speakers had a preference to wear more formal clothing and young people liked more casual attachments. This study found that clothing attachments differed by cultural context and gener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mart App. for Home Economics Classes(1st): Focusing on 'Clothing Preparation Planning and Selection' (가정과수업을 위한 교육용 스마트 앱(App) 개발연구(제1보): 중1 기술·가정 '의복 마련 계획과 선택'단원을 중심으로)

  • Kim, Gyuri;Wee, Eunhah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3
    • /
    • pp.47-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smart app for classes by reconstructing some of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clothing preparation planning within the 'clothing preparation planning and selection' curriculum unit. To this en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as planned for the classes, a smart app was developed for classes, and feedback from home economics teachers and app development experts was received for the developed app. The main composition of the developed app consists of five steps. The first step is to set up a profile using a real photo, ZEPETO or Galaxy emoji, or iPhone Memoji. In the second step, students make a list of clothes by figuring out the types, quantities and conditions of their exisitng wardrobe items. Each piece of clothing is assigned an individual registration number, and stduents can take pictures of the front and back, along with describing key attributes such as type, color, season-appropriateness, purchase date, and current status. Step three guides students in deciding which garments to retain and which to discard. Building on the clothing inventory from the previous step, students classify items to keep and items to dispose of. In Step 4, Deciding How to Arrange Clothing, students decide how to arrange clothing by filling out an alternative scorecard.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learn in advance the subsection of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laying the foundationa for future learning in 'Practice of Rational Consumption Life'. Lastly, in the fifth stage of determining the disposal method, this stage is to develop practical problem-oriented classes on how to dispose of the clothes to be discarded in the thirrd stage by exploring various disposal methods, engaging in group discussions, and sharing opin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case study as an attempt to develop a smart app for education by an instructor to align teaching plans and educational content with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class. In the future, upgrades will have to be made through user application.

A Study of Subjectivity about Virtual Fashion

  • Su-Joung Ch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5
    • /
    • pp.189-202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Q methodology to type subjective perceptions of virtual clothing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Perceptions of virtual clothing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was the "virtual clothing trusting fit grasping type," who preferred to use virtual clothing and believed that virtual clothing would help them grasp the fit. The second type was the shopping mall adoption-positive design understanding type, which believes that virtual clothing is useful for design understanding and that all shopping malls should have a virtual clothing system. The third type w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virtual clothing purchase type, where the virtual clothing re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user wants to purchase virtual clothing that cannot actually be worn. The fourth type was the actual clothing-like fun-seeking type, in which the virtual clothing resembles actual clothing and the shopper believes that the virtual clothing will make shopping more enjoyable. Depending on the type, the avatar was required to adjust the dimensions of the avatar, enhance the design expression of the garment, equip the avatar with decorative items, and produce virtual clothing for sale.

A Study on Human Sensitivity in Design of Men's suit (신사복 디자인의 감성에 관한 연구)

  • Lee, Youn-Soon;Park, Yun-A;Jeong,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09-1715
    • /
    • 2002
  • 신사복 정장은 일상의 관습으로 착용되는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서, 사무직, 관리 직, 전문직 등의 정신노동자들에 게 폭넓게 수용되는 매우 중요한 의복항목이 다. 따라서 소비자의 감성에 부합되는 신사복 개발을 위해 신사복 디자인에 대한 감성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사복 상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서 소비자의 감성에 적합한 신사복 상의를 적절하게 표현해 줄 수 있는 감성 어휘를 추출하고 그 인자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7개 의 요인과 67개 의 감성 어휘 가 채택되었다. 선택된 감성어휘는 인자별로 대별하여 7개의 요인으로 묶어서 대표적인 요인명을 붙인 결과, 요인 1은 품위성 요인. 요인 2는 매력성 요인. 요인 3은 실용성 요인, 요인 4는 체형성 요인. 요인 5는 외관성 요인. 요인 6은 남성미 요인. 요인 7은 활동성 요인이라고 하였다.

Trends on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and Market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및 개발 동향)

  • Son, Y.K.;Kim, J.E.;Cho, I.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5
    • /
    • pp.79-88
    • /
    • 2008
  • 최근 기존 전통산업의 성장 잠재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산업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산업 및 기술을 발굴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산업전반에서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의복형태의 컴퓨터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컴퓨터는 섬유 및 의류 기술과 IT 기술과의 산업적 융합의 대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새로운 성장 아이템으로 주목 받고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현재 웨어러블 컴퓨터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술 접근방법별로 개발 현황 및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 본 뒤,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전망해 보고자 한다.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or selecting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binogi, the on-line game (마비노기에서의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Jang, You-Won;Doh, Young-Yi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1-655
    • /
    • 2007
  • 카툰 렌더링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RPG 게임인 마비노기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이 염색 시스템을 통하여 의복아이템에 자신들이 원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색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현상은유행색이 존재하고 색에 따라 같은 아이템의 가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행색이 존재하는 것은 현실과 비슷하지만 같은 아이템이 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는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심리적인 속성이 다른 사이버공간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비노기에서 게임이용자들이 색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작용하는 심리기제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비노기에서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게임이용자 20명과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색 사용 경험을 추출하고, 추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18문항의 색 선택 행동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온라인 설문으로 129명의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색 선택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색 선택 행동은 4개의 요인-색채 둔감성, 유행추종, 개성표현, 캐릭터이미지와의 적합성-으로 구분되었다. 색선택 행동 4개의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색 선택 행동 유형은 각각 색 분화형, 유행추종형, 색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 하위 범주 중 부정적인 자기평가, 타인의 의견에 대한 걱정, 의존성의 세 가지 하위 범주에서 색 선택 행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의식 차원에서는 색 선택 행동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행추종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색 둔감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색 분화형은 유행추종형과 색 둔감형의 중간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볼 수 있었다. 유행추종형은 자기의 외부에서, 색 둔감형은 자기의 내부에서 색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가치감의 소재와 근원을 찾는 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RPG 게임에서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색 선택 유형별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색이미지와 개별적인 색이미지 및 색이미지의 심리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색채감성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제작할 때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템 디자인에 어떠한 색을 사용해야 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