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의 맞음새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의 의복 맞음새(Fit)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Determinant Characteristics Affecting Consumers' Evaluation of Clothing Fit)

  • 황수현;박주연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101-11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비자 맞음새 평가의 주요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NS에서 수집된 소비자의 2,000여건의 의복 맞음새 평가 후기로부터 의복 맞음새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의미연결망 분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츠'와 '스커트'가 많은 맞음새평가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형태로 평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의복의 길이가 가장 많이 평가되었다. 인체부위 중 '허리'는 다양한 의복의 맞음새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의복 맞음새평가어 중 '넓은', '큰', '와이드한', '긴'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 맞음새 평가에 사용된 언어의 구조적 관계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의복 맞음새의 향상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선호 성향 조사

  • 석혜정;김인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5-85
    • /
    • 2003
  • 기성복은 근래에 들어 유행의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디자인이 더욱 다양화, 전문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여 소비자들의 개인적 취향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의복의 맞음새는 개인의 기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성별, 연령, 체형, 선호하는 패션 경향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현실적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성복 정장(재킷, 스커트, 바지)의 맞음새 선호 성향을 조사하여 연령대ㆍ비만도별 각각의 선호 경향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의복관련 맞음새 평가에 관한 연구동향 - 2000~2016년 국내학회지를 중심으로 - (Trend of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Journals of 2000~2016year -)

  • 이진희;김윤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9-170
    • /
    • 2016
  •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the trend of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using the domestic research journals. clothing fit has long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customers in clothing appearance. Understanding fit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is complex. 85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academic sites (KISS, DBpia, KiSTi). Many clothing fit articles published on the 2011-2016 year. In research target, young women were more than other age group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method of clothing fit classified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wearing test. Many articles were used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57.7%. The other articles were used wearing test with professional analyst and objective evaluation tool. Objective evaluation was used 3D virtual wearing systems (i-designer, DC suit, CLO et al). In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wearing test using the objective evaluation, jacket and pants were researched on the clothing items mainly. Many young women put on the jacket and pants to active energetically. In the future, researches related clothing fit need to develop the objective and accuracy evaluation tool of clothing fit.

  • PDF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s and Wearing Sensation of Women's Ready-to-wear)

  • 이영주;김점해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3-1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s and wearing sensation of ready-to-wear of the elderly woman who residing in the Pusan and Kimhae.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an who assessed the wearing sensation of slacks, jacket 1(1-2button), jacket 2(over 4button), and jump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clothing behaviors factors, the factor 1 was the concern about the appearance, the factor 2 was mental dependency about the clothes, the factor 3 was the satisfaction about the clothes and the factor 4 was the concern about the fashion. 2.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slacks, waist and thigh of the slacks was large and slacks length and crotch length was long.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acket 1, over the age of 70 years was more satisfied than under the age of 70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bust, waist, hip, and sleeve length.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acket 2, under the age of 70 years was more satisfied than over the age of 70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sleeve length and location of the armhole. As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the jumper, the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Jumper was larger than jacket.

20대 성인남성의 체형 (Body Type of 20's Male)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67-26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신체밀착형 의복의 유행으로 맞음새가 우수한 의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20대 나성을 대상으로, Size Korea의 제 7차 인체치수조사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신 체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전신 체형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20대 전반 남성의 의복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대 남성의 체형은 4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둘레 및 너비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몸통길이와 발목/종아리 굵기, 엉덩이처짐 요인 높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굵은 몸통새다리 체형'이다. 유형 2는 어깨너비와 길이, 몸통길이의 적재량이 높고, 둘레 및 너비와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낮으며, 높이요인의 적재량이 높은 '가는 역삼각형 체형'이다. 유형 3은 발목/종아리 굵기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높이요인, 둘레 및 너비와 몸통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가는 몸통 굵은 다리 체형'이다. 유형 4는 높이요인과 엉덩이처짐,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어깨너비와 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긴 삼각형 체형'이다.

  • PDF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Subjectivity about Virtual Fashion

  • Su-Joung C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89-202
    • /
    • 2024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가상의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상의류에 대한 인식은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제1유형은 가상의류 이용을 선호하고 가상의류가 맞음새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가상의류 신뢰 맞음새 파악형이었다. 제2유형은 가상의류가 디자인 파악에 도움이 되고 모든 쇼핑몰에 가상의류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쇼핑몰 도입 긍정 디자인 파악형이었다. 제3유형은 가상의류가 환경오염을 줄여주고 실제 입을 수 없는 가상의류를 구매하고 싶어하는 환경오염 감소 가상의류 구매형이었다. 제4유형은 가상의류가 실제의복과 유사하고 가상의류가 쇼핑을 즐겁게 해준다고 생각하는 실제 의복 유사 즐거움 추구형이었다. 유형에 따라 아바타의 치수조절, 의복 디자인 표현 강화, 아바타 꾸미기 아이템 구비, 판매용 가상의류 제작 등이 요구되었다.

Development of "ZIGTECHnology" Apparel for Body Shape Renovation of New Senior Life Genera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57-16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노년 여성 체형을 보정해주고 체형변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보정용 ZIGTECHnology 의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척추의 만곡 등 노화 및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어깨, 등, 허리의 굽어짐 등의 증상별 체형을 분석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체형의 변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움직임이 용이한 노년 여성용 보정 의복을 개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ZIGTECHnology 의복 디자인 1, 2, 3에 대한 착의 평가 결과, 기능성에서는 디자인 1이 등각도를 3.17° 정도 완화시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맞음새 등을 고려하였을 때 디자인 3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년 여성의 의복에서는 신체적 단점을 보완해주는 의복의 필요성이 증대되므로 지속적인 체형완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