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 양상

Search Result 1,15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소재사용의 중복성에 따른 수용자 의미생산에 관한 연구 -이미지 생산자와 수용자의 의미생산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 이유연;이용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6-17
    • /
    • 1999
  • 이미지는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지배하고 그 구성원의 사고 구조와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현상은 TV 등 다양한 영상매체의 등장으로 가속화되었으며$^1$ 시각 커뮤니케이션이 갖는, 언어문화권을 뛰어넘는 의미의 보편성과 순간적인 의미 전달성이라는 기능적 속성으로 인해 급격히 진행되었다. (중략)

  • PDF

Onthe typology of Pragmatic scales: scalar implicatureof '-(i)na' in Korean (국어 조사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나타나는 척도의 유형에 관하여)

  • Ryu, Byung-Ry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16-227
    • /
    • 2007
  • 본고는 서로 다른 용어와 기준들로 일관성 없이 나열되어 있던 이전의 '-이나'의 의미 해석을 통합적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즉 특정한 양상 척도(개연성, 희구성, ${\ldots}$ 등)을 이용하여 '-이나'가 쓰인 맥락에 따라 척도 함축을 해석해 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교착어의 특성을 가진 한국어의 특수조사(혹은 한정사)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척도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의미 해석과 형식화의 초석을 다지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먼저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나타나는 척도의 유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나'의 함축이 드러내는 척도들을 형식적으로'선형과 비선형'척도를 나누고 이러한 문장들이 들어내는 양상을 분류할 것이다. 둘째, 정대호 외(2002)에서 논의하고 있는 '~이나/도'가 분류사구와 결합한 문장이 화용론적인 개연성의 척도상에서 하한 값을 유발한다고 제안함에 따라, 본고는 양상을, 이러한 개연성의 척도를 포함한, '인식(진리, 원인, 지식, 평가), 의무(의지), 희구(기원)'의 3가지 양상으로 분류하고, 이에서 '-(이)나'가 유발하는 각각의 척도상의 함축을 기술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spect of filmography of (<흥부전>의 영화화, 그 양상과 의미)

  • Kim, s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9-200
    • /
    • 2019
  • 이 연구는 <흥부와 놀부>(1967), <흥부>(2017)을 중심으로 <흥부전>의 영화화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50여년의 격차를 두고 제작된 두 영화를 통해 <흥부전>에 의해 매개된 1960년대 말과 2010년 말의 사회, 문화적 차이와 접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흥부전>은 과거에 박제된 문학이 아니라 그것이 재현되는 세계와 긴밀히 조응하며, 살아있는 문학, 문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 PDF

The Analysis of Dischar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Han River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홍수 유출량 분석)

  • Um, Myoung-Jin;Nam, Woo-Sung;Shin, Ju-Young;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6-260
    • /
    • 2011
  • 최근 들어 우기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일정한 기후양상이 지구 온난화 등의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양상에 의하여 변화된 영향으로 판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강우에 직접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곧바로 홍수에도 변화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Scaling Invariance와 NSRPM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추정"에서 산정된 시나리오별 확률강수량을 적용하여 홍수 유출량을 산정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지역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역인 한강유역을 선정하였다. 유출량은 HEC-1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입력매개변수 중 강수인자는 선행연구에서 NSRPM으로 산정한 확률홍수량을 적용하였으며, 나머지 인자는 한강유역종합치수계획(2008)을 참조하였다. 산정방법으로는 Clark 단위도법을 적용하였으며, NRCS의 CN값을 사용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 30년 간격으로 이동 구분된 7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거하여 홍수유출량을 산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도 도시하여 한강유역의 대표지점에서의 유출량 변화양상 또한 제시하였다. 이러한 산정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양상을 고려한 수문 설계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xtraction of aspect and modality information in Korean (한국어의 시상과 양상 정보추출에 관한 연구)

  • 이수현;한광록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 no.2
    • /
    • pp.255-257
    • /
    • 1989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extracting the imformation of aspect and modality from the predicative part which is consisted of main verbal and auxiiary verbals.Data which are expressed by the compound predicate with many consecutive verbal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thirty-six structual forms of the predicative part.Inthe final analysis, an extracting function of conceptual information is derived to find the connoted aspect and modality in each structure.The informations which are obtained by this function decrease the individual ambiguity of an auxiliary verbal and offer a detailed meaning inthe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 or inference machine.

Semantic Aspects of Negation as Schema (부정 스키마의 의미론적 양상)

  • Tae, Ka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1
    • /
    • pp.23-28
    • /
    • 2002
  • A fundamental problem in building an intelligent agent is that an agent does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its perception or its action. One reason that an agent cannot understand the world is partially caused by a syntactic approach that converts a semantic feature into a simple string. To solve this problem, Cohen introduces a semantic approach that an agent autonomously learns a meaningful representation of physical schemas, on which some advanced conceptual structures are built, from physicall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using its own sensors and effectors. However, Cohen does not deal with a meta level of conceptual primitive that makes recognizing a schema possible. We propose that negation is a meta schema that enables an agent to recognize a physical schema. We prove some semantic aspects of negation.

Theoretical Categorization of the Meanings of Interaction in Interactive Media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적용되는 인터랙션 의미의 범주화)

  • Rhee,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5-86
    • /
    • 2015
  •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주요 화두로서 등장하는 인터랙션이라는 용어는 단어자체 의미의 포괄성으로 인해 미디어 세부 분야마다 각기 다른 해석을 가진다. 이러한 양상은 산업 간 융합 및 다학문적 연구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보다 나은 인터랙티브 관련 기술 및 학문 발전의 토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터랙션의 개념에 대한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해석하는 인터랙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일차적으로 총체적인 분류체계를 만들고, 인터랙션 관련 산학 전문가들과의 FGI를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치며 분류체계에 따른 의미의 범주화를 완성하였다.

  • PDF

한중 미각어 '달다', '첨(甜)'계열 어휘의 의미 확장 및 의미구성 양상 대조 연구

  • Lee, Seon-Hui;Kim, Mi-Geum
    • 중국학논총
    • /
    • no.64
    • /
    • pp.75-98
    • /
    • 2019
  • 味觉是人类感受的基本五感之一. 味觉语不仅表现为味道, 还扩展到多个领域, 因为这种语义扩展与我们身体经验有着密切的联系, 所以在多种语言中可以发现其相似性. 但是由于语言使用者的文化, 价值观与思维方式等方面的差异, 所以味觉语也存在着差异. 本论文聚焦于此类现象, 以韩语和汉语的味觉形容词"달다"与"甜"词类的词汇为研究对象, 首先进行了形态结构和基本意义方面的对比. 以此词类为基础, 通过汉韩语的语料分析, 并提出了具体事例, 考察了语义扩展的过程. 接下来根据认知语言学的概念合成理论, 对其机制进行对比分析, 发现了如下特点:韩语的味觉语"달다"与汉语的"甜"在词典上的基本意义都是"蜂蜜或糖的味道". 两种语言的"달다"与"甜", 都是嗅觉, 听觉, 感情, 视觉, 触觉等在其他领域的语义扩展, 是对甜味的肯定经验, 被概念化为积极价值. 相反, 在感情与视觉领域的部分语义扩展中存在两种语言的差异. 除此之外, 在价值意义上, "달다"与"甜"除了具有积极价值意义外, 也具有否定价值意义. 通过本研究, 我们了解到了对人类体验的普遍性以及韩中语言文化圈的特殊性是如何在味觉语"달다", "甜"中体现出来的.

A Case Study for Interactive Learning between Visitors and Exhibits in a Natural History Hall Focused on the Discourse Flow and the Modes of Visitors' Own Interactions (관람 대화의 흐름과 상호작용의 양상에 기반한 자연사 전시관의 전시물과 관람객 간 상호작용적 학습 사례 연구)

  • Choi, Moon-Young;Maeng, Seungho;Park, Eun Ji;Jung, Won-Young;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7
    • /
    • pp.1251-126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several cases of interactive learning mediated by exhibits in a natural history hall during visits by middle school students. Five visiting cases were selected, in which visitors engaged actively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Each visiting case was analyzed in terms of visiting discourse register and the modes of inter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both visitors' meaning-making processes through the discourse flow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iting discours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exhibit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exhibits was used as THEMEs in visitors' discourse and the visitors presented their information on the THEMEs as RHEMEs. The visitors made their own meaning for the exhibits by exchanging their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terrogative sentences on the exhibit panels allowed visitors to make arguments. Similar exhibits displayed together helped visitors to compare those exhibits. These two features of the exhibits facilitated visitors' meaning-making processes in the natural history hall. The modes of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mediated by the exhibit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itself from the exhibits as well as visitors' opinion on the exhibits were frequently used as the elements for in-depth cognitive social interactions that allowed the visitors to construct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at understanding in detail how visitors choose information from exhibits and construct visiting discourse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visitors' collaborative science learning at a natural history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