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정보원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온라인 의류 소비자들의 쇼핑동기, 정보원 사용과 의사결정 유형 (Purchase Motives,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of Online Clothing Shoppers)

  • 이정은;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80-892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동기, 정보원의 사용,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실증적 연구결과 소비자의 쇼핑동기는 편의적 동기, 제품특성적 동기, 쾌락적 동기, 경제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보원은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은 중립적 정보원, 인적 정보원,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으로 구분된 반면,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오프라인 정보원으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원의 사용, 쇼핑동기, 의사결정 유형 각각의 관계도 알아 보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온라인상의 의류 판매자가 소비자들을 그들의 쇼핑몰로 이끌고, 구매를 유도하도록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남자 중.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제1보) (The Interrelatinship among Fashion Leadership, use of Fashion Leadership, use of Fashion Information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Middle-and High-School Male Students(Part I))

  • 전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5-685
    • /
    • 2000
  • The fashion leadership, use of fashion information,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middle-and high-school male students wer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hree variables was also analysed. Subjects were 600 male students in Kang-Bouk and kang-Nam.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fashion consciousness and confidence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fashio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the outfit of celebrities(popular signer and film star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he fashion leadership. Among commercial informations, the display and interior was more effective than advertisings. The higher the innovativeness, the more subjects wanted to accompany friends rather than parents and also the more time was spent in their shopping.

  • PDF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분석적 탐구 (A Path Analytic Explor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in Online Clothing Purchases)

  • 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21-1732
    • /
    • 2007
  • 본 연구는 온라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온라인 쇼핑속성, 정보원 및 구매의도와 관련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모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표본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총 219명의 이용 가능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LISREL8.53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소매점 정보원, 대중매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해 소매점 정보원(점포내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의 팜플렛 또는 카달로그)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경로모델을 살펴보면,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가 정보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온라인 의복 구매시, 소비자의 온라인 정보원 이용은 거래관련속성 즉 구매유인서비스(incentive service)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은 심미성, 가격 등의 제품 및 시장관련속성의 중요도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세가지 탐색유형 모두 구매의도에 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다른 정보원에 비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이 온라인 의복구매의도에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속성별 소비자의 차별화된 정보탐색 패턴이 온라인 구매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의류제품의 멀티채널 소매전략(Multi-channel retailing) 방향이 논의되었다.

의복관여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여자 중.고교생을 중심으로- (U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Clothing Invol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 전경숙
    • 복식
    • /
    • 제52권4호
    • /
    • pp.75-85
    • /
    • 2002
  • The degree of involvement was known to shape the types of decision- process behavior of consumers. The types of information search would be influen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used in clothing purchase, an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 of clothing involvement and information sources. The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information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arketer-oriented, internal and personal sources. Fashion informations spreaded by mass media were the most diversely used by teens. Among fashion information sources, ‘my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was counted as the most important one. And ‘interior and display of the shop’ wa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marketer-oriented informations. Clothing involvement in the aspect of pleasure/symbol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street fashion’, but in the aspect of fashion consciousness, ‘fashion of movie stars and celebrities’was the most significant information source. It seemed that ‘fashion articles in the magazines’ was used to reduce perceived risk in clothing purchase.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인식 변화: 종단적 연구 (Changes in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toward Korean Apparel Products: A Longitudinal Study)

  • 유혜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878-189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주요 목적으로 중국소비자의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피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산의류를 구매할 때의 구매동기, 정보원, 구매기준과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2002, 2003, 2005, 2007년 중국 북경의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6월과 7월 중에 수집되었다. 총 603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으며 그 중 57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도와 한국산의류구매경험을 포함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구매동기와 여러 정보원의 중요도는 시간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였으나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간에 따른 변화에 비하여,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인식은 구입경험에 따라 대부분의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소비가치, 독특성 욕구, 정보원 활용이 의류제품속성 및 점포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 분석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among Clothes Consumption Value, Need for Uniqueness, Use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Store Attributes)

  • 박혜정;유태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802-813
    • /
    • 2012
  • This study establishes how the clothes consumption value, need for uniqueness, and use information sources could influence the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ith 48 questionnaire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the programs AMOS 16.0 and SPSS 18.0 for window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e clothes consumption value influences the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indirectly through use information sources. Second, the need for uniqueness influences the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indirectly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lothes consumption value and use information sourc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20-30대 남성소비자의 가치의식에 따른 의류쇼핑성향과 정보원활용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Utilizations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Values of Male Consumers Aged between the 20's and the 30's)

  • 김주희;박옥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1-300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the utilizations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values of male consumer aged between the 20's and the 30'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x2- test,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le consumer's values were classified into 2 factors, and consisted of three group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s variables. 3.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and information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3 factors. 4.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ale consumer's value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 PDF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의복추구 혜택과 패션 정보원 유형 연구 (A Study on Clothing Benefits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 김칠순;이진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0-23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othing benefits and the types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technique in Seoul and suburban area. Collection of the research data was made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acto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on 562 out of 600 questionnaires. Clothing benefit variables were reduced to five factors : fashion/social status, individuality, function/comfort, figure flaws compensation, and economic value.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3 clothing benefits(fashion/social status, individuality, and function/comfort) and 5 fashion information soures (celebrities, street fashion, T.V commercial, Internet/home shopping, fashion catalog)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기능성의류 인식에 따른 소비자 분류와 이에 따른 제품정보 및 행택 활용도 연구 (Consumer Categorization Based on Perception of Functional Jacket and their Utilization of Functional Information and Hang-tag)

  • 방기성;유신정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75-86
    • /
    • 2015
  •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기능성 의류제품의 효과적인 정보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 중 일부로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과 행동양식에 따라 응답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시 활용하는 정보원과 행택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경험이 있는 20~60대 남, 녀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은 '기능성', '가격', '경험/지식', '브랜드/디자인'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에 따라 응답자들은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 '고가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인터넷을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30대의 회사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의 경우에는 행택(Hang-Tag)을 정보원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문직의 40대, 50대가 주를 이루었다. '고가제품 선호집단'은 60대 이상,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판매원을 정보원으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정보제공에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이었으며 성능정보 관심도가 떨어지는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오히려 상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재킷 소비자 유형의 특징과 성능 정보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능성 의류제품의 성능 정보 제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원으로서 패션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소비자 반응 - 유튜버의 성별과 연령 특성에 따른 비교 - (Consumers' Responses to Information Created by Fashion YouTube Creators - Generational and Gender Differences -)

  • 최영현;이규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2-225
    • /
    • 2021
  • With the recognition of YouTube as an information search tool, YouTube creators have subsequently become sources of information to consum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umers' response of famous fashion YouTubers in Korea,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 based on the gender and generation of YouTub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opening of fashion creators' YouTube channels, we collected postings on blogs and Internet cafes using textom. As a result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six fashion YouTubers were selected. First, all the selected fashion YouTubers were well recognized by consumers as fashion informants. However, Milanonna has been shown to act as a life advisor and as an informant for luxury brands at the same time. Second, female fashion YouTubers were perceived with themes related to daily life, beauty, emotions, and mood rather than fashion itself; whereas, male fashion YouTubers appeared to be more interested in fashion accessories,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basic style. Third, Generation Z fashion YouTubers used the most non-fashion keywords, and their Millennial counterparts used keywords related to fashion items and product purchase properties. However, consumer response to OPAL fashion YouTubers have emerged with items such as life experiences, wisdom, and advice. Moreover, OPAL fashion YouTubers showed a variety of consumer assessments and the YouTuber's personal background. This study'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er response to fashion YouTubers based on gender and age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strategy to attract target consumers and identify their appeal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