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력배열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다구찌 방법을 이용한 AISI 4130재료에서 EBW공정의 용접 변수 영향 (Effect of Welding Variables for EBW Process in AISI 4130 by Taguchi Method)

  • 김원훈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5권6호
    • /
    • pp.66-77
    • /
    • 1997
  • In the present work, Taguchi method for electron beam welding(EBW) process in AISI 4130 steel plate has been adopted for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effect of welding variables. $A L_8(2^7)$ orthogonal array is adopted to obtain the effect of adjustment parameters. The adjustment parameters consist of accelerating voltage, beam current, travel speed and focus currrent. And the quality features selected for the EBW process are bead width of weldment, reinforcement, penetration depth, undercut and area of weld metal. Variance analysis is perform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adjustment parameters on EBW.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n beam welded joints for each heat treatment conditions a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base metal, especially from the view point of tensile and impact properties.

  • PDF

XRD와 TEM을 이용한 알바이트의 구조 및 상전이 연구 (XRD and TEM Investigations of Structures and Phase Transformations in Albite)

  • 김윤중;이영부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106
    • /
    • 2003
  • Na-장석(Amelia albite)의 등온가열 실험에 대한 XRD 분석 결과는 $1073^{\circ}C$의 가열 시료에서 격자상수의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는데, 이는 Al과 Si의 비배열(disordering)과 가열된 시료의 급랭에 의한 격자 변형 때문이라고 본다. $1073^{\circ}C$에서는 약 7일 간의 가열에 의해 저온 알바이트에서 고온 알바이트로 상전이한 반면, $924^{\circ}C$에서는 Al-Si의 비배열 속도가 느려서 140일 동안 가열된 시료도 초기 단계의 중간단계 알바이트 상태로 남아 있었다. TEM 분석 결과는 가열된 시료에서 100∼200$\AA$ 크기의 트위드(tweed) 구조가 형성됨이 특징적인데, 이 구조의 발달 및 변화는 고온($1073^{\circ}C$)과 저온 ($923^{\circ}C$)의 가열 시료가 다름이 드러났다. 즉, 전자는 국부적으로 알바이트 쌍정과 유사한 미세구조로 전이한데 반해, 후자는 보다 넓은 지역에 걸쳐 알바이트 쌍정면이 우세한 도메인 구조로 전이하였다. 가열에 의한 Al과 Si의 비배열과 급랭에 의한 응력 때문에 격자의 불안정(lattice instability)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태아 단계의 쌍정 구조(알바이트 쌍정과 pericline 쌍정)를 형성되는 것이 트위드 구조의 원인이라고 본다.

호남통(湖南統)에 대(對)한 토양(土壤) 미세형태학적연구(微細形態學的硏究) - B층(層)의 점토피막(粘土皮膜)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 (Micromorphological Observation of Honam Series -Some characteristics of clay films in B horizon-)

  • 신제성;엄기태;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5-70
    • /
    • 1974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내륙평탄지(內陸平坦地)에 분포(分布)하고 배수(排水)가 야간불량(若干不良)한 식질(埴質) 답토양(畓土壤)인 호남통(湖南統)에 대(對)하여 B층(層)의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특성(特性)을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 입장(立場)에서 구명(究明)해보고자 수행(遂行)하였다. 토양미세형태(土壤微細形態)에 관(關)한 분석(分析)은 토양(土壤)을 원상시료(原狀試料)(Undisturbed sample)로 채취(採取) 부편(溥片)을 제작(製作)한 후편광현미경(後偏光顯微鏡)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호남통(湖南統)의 B층(層)에서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가 (Oriented clay)가 확인(確認)되어 B층(層)은 Bt층(層)(Argillic Horizon)으로 간주(看做)된다. 2. B21t 층(層)에서 토양기질외(土壤基質外)의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주(主)로 비대칭면상공극(非對稱面狀孔隙)(Skew plane) 및 관상공극(管狀孔隙)(Channel) 벽(壁)에 형성(形成)된 층상점토(層狀粘土)(Argillans)가 대부분(大部分)이나 토양기질내(土壤基質內)에 있는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응력(應力)에 의(依)하여 토양기질내(土壤基質內)로 이동(移動)되고 있어 토양원질(土壤原質)(Plasma)의 분리현상(分離現象)이 뚜렷하다(Masepic). 3. B22t 및 B23t 층(層)에서의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균일(均一)하지 않은 조점토(粗粘土)(Coarse, dirty clay)로 구성(構成)되여있으며 배열정도(排列程度)가 약(弱)하다(less oriented). 4. B24t 에서의 특징적(特徵的)인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응력성점토피막(應力性粘土皮膜)(Stress cutans)이며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높은 토양기질(土壤基質)이 오랜 기간(期間) 외부(外部)로부터 물리적(物理的)인 작용(作用)을 받아 일정(一定)한 방향(方向)으로 배열형성(排列形成)되었다.

  • PDF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Tridymite의 구조 및 상전이 연구 (TEM Investigations of Structures and Phase Transitions in Tridymite)

  • 김윤중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4-58
    • /
    • 2002
  • 지금까지 기재되지 않았던 새로운 tridymite의 동질다형상의 하나로 비조화 변조상("IC상")을 확인하였다. IC상의 격자형은 L1상과 같은 대칭성을 가진 단사정계(Bb)로 분석되나, 기하학적인 격자 구조는 오히려 L3샅의 바탕 구조와 같으며 L3상과는 다른 형태의 변조구조를 갖는다(변조 벡터 q=0.22 $c*_{H}$ ; $\lambda$ 37 ).편, Ll상의 전자 회절도형에서 보여주는 독특한 분산 회절곡선은 원자 특히 산소 원자의 동적 비배열(dynamic disorder)이 상온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암시해 준다. Tridymite 시료의 분쇄에 의한 Ll상에서 L3상으로의 상전이는 점진적이기는 하나 매우 두드러지게 일어난다: Ll$\longrightarrow$LI+IC$\longrightarrow$IC+L3$\longrightarrow$L3. 그러나, 분쇄에 의한 상전이의 구체적인 과정은 각 입자의 국부적인 응력 상태와 미세구조의 발달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이번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

이방성 섬유의 배열이 복합재료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isotropic Fiber Packing on Stresses in Composites)

  • 이정기;이형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9호
    • /
    • pp.1284-1296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anisotropic fiber packing on stresses in composites, a Volume Integral Equation Method is applied to calculate the elastostatic field in an unbounded isotropic elastic medium containing multiple orthotropic inclusions subject to remote loading, and a Mixed Volume and Boundary Integral Equation Method is introduced for the solution of elastostatic problems in unbounded isotropic materials containing multiple anisotropic inclusions as well as one void under uniform remote loading. A detailed analysis of stress field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sotropic matrix and the central orthotropic inclusion is carried out for square, hexagonal and random packing of orthotropic cylindrical inclusions, respectively. Also, an analysis of stress field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sotropic matrix and the central orthotropic inclusion is carried out, when it is assumed that a void is replaced with one inclusion adjacent to the central inclusion of square, hexagonal and random packing of orthotropic cylindrical inclusions, respectively, due to manufacturing and/or service induced defects. The effects of random orthotropic fiber packing on stresse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sotropic matrix and the central orthotropic inclusion are compared with the influences of square and hexagonal orthotropic fiber packing on stresses. Through the analysis of plane elastostatic problems in unbounded isotropic matrix with multiple orthotropic inclusions and one void, it will be established that these new methods are very accurate and effective for investigating effects of general anisotropic fiber packing on stresses in composites.

크리깅 근사모델 모델을 이용한 LMTT 이동체의 구조최적설계 (Structural Optimization for LMTT-Mover Using the Kriging Based Approximation Model)

  • 이권희;박형욱;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90
    • /
    • 2005
  • LMTT(Linear Motor-based Transfer Technology)는 항만 자동화를 위한 수평 이송 시스템이며, 셔틀카(shuttle car)와 격자구조의 레일에 부착된 스테이터 모듈(stator module)로 구성된 PLMSL(Permanent Magnetic Linear Synchronous Motor)에 의해 구동된다. 본 논문에서는 LMTT시스템 부품인 이동체(mover)의 경량화를 위하여 직교배열표 및 크리깅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를 수행한다. 설계변수로는 가로빔, 세로빔, 휠빔의 두께와 높이 방향의 치수를 결정하는 형상변수를 포함시켰다. 목적함수로는 중량, 제한조건 함수로는 안전율이 고려된 응력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구한 최적해를 민감도기반 최적설계로 구해진 최적해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다층 대칭배열된 타원형 적층관의 좌굴하중 및 모드해석 (Buckling Load and Mode Analysis of Symmetric Multi-laminated Cylinders with Elliptical Cross-section)

  • 천경식;손병직;지효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457-464
    • /
    • 2006
  • 화이버로 보강된 복합재료는 비강성과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위한 작업이 가능한 재료로써, 항공, 선박 그리고 토목분야와 같은 많은 산업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단변형을 고려한 타원단면을 갖는 복합적 층 구조물의 좌굴하중 및 모드형상을 분석하였다. 좌굴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면내회전자유도를 갖는 평면응력 요소와 휨 요소를 결합하여 무결점 4절점 쉘요소를 작성하였다. 이때 추가변형률과 대체전단변형률을 도입함으로써 요소의 거동을 개선하였다. 해석모델에 대해 쉘의 기하학적 형상, 종횡비, 화이버 보강각도, 그리고 적층배열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타원단면을 갖는 적층관의 임계좌굴하중과 모드형상은 여러 가지 설계변수에 의한 거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부터 효율적인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적층관의 좌굴해석시 좋은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경상분지 남서부 일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Microcrack Orientations in Bulgugsa Granites from Southwestern Gyeongsang Basi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6-221
    • /
    • 2008
  • 경상분지 남서부 일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분포하는 미세균열의 전반적인 분포특성을 규명하였다. 사천시-고성군, 거제시 및 남해군 지역에서 채취한 11개 암석시료의 수평면 상에서 발달하는 131조의 미세균열은 영상처리를 통하여 구별하였다. 다음에 이들 미세균열 중, 뚜렷한 선상배열을 갖는 45조의 미세균열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세균열은 수직의 2번 면에 대비된다. 이들 45조의 미세균열의 방향성과 국내의 쥬라기 및 백악기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수직의 1번 및 2번 면의 방향성을 대비하였다. 분포도에서 45조의 미세균열과 이들 수직 면의 분포형태가 일치한다는 사실은 연구지역 일대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계는 국내의 쥬라기 및 백악기의 화강암에서도 광역적으로 발달함을 시사한다. 방향각-빈도수 상관도의 전 영역은 미세균열의 분포상에 의하여 20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한편 45조의 미세균열이 속하는 18개의 방향각 영역과 기존의 연구결과에서 시사한 최대 압축 주응력의 방향과 상호 대비를 시도하였다. 최대 압축 주응력의 방향은 대부분 방향각 영역- $1{\sim}2$, $5{\sim}6$, ${\sim}15$, $17{\sim}18$$19{\sim}20$에 각각 속하며 이들 영역은 이들 45조의 미세균열의 장미도에서 제시한 주방향 및 2차적인 방향과 일치한다. 열린 미세균열의 대표적인 방향은 기존의 연구에서 시사한 최대 압축 주응력 방향을 반영한다.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 모델링 (Modeling of Materi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 양인환;박지훈;최정선;조창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49-35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준압축강도 120MPa의 강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FRHSC)의 재료 특성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서 강섬유 혼입량을 1.0%, 1.5% 및 2.0%로 설정하였다. 우선, 콘크리트의 압축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압축응력-변형률 곡선을 산정하였다. 보통 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응력-변형률 관계는 곡선 형태로 나타나지만, 강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거의 직선으로 비례하여 증가하는 형상을 나타냈다. 또한, 콘크리트의 인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균열개구변위(CMOD) 실험을 수행하고 역해석을 통하여 인장응력-CMOD 곡선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인장응력-변형률 관계 곡선을 모델링하였다. 강섬유 혼입량이 1.0%에서 1.5%로 증가할 때 인장강도는 뚜렷히 증가하였으나, 강섬유 혼입량이 1.5%에서 2.0%로 증가할 때 인징강도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강섬유의 분산성과 배열이 향상되지 않아 콘크리트 재료 특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기둥의 강·연성축을 고려한 브레이싱된 정방형 3차원 강골조 구조물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Braced Three Dimensional Square Steel Frame Structures Considering Arrangement of Major-minor axis of Column)

  • 김기욱;박문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59-267
    • /
    • 2004
  • 우리주변에서도 많이 존재하고, 현재 시공중인 강골조 구조물이 대부분 강 연성축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향 쪽으로만 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하여 재료가 과다로 쓰여지고 있으며, 같은 재료를 강 연성 축의 배치만 잘 하여도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탁월하다는데 착안하였다. 또한, 국내 강구조물의 대부분이 허용응력설계법을 이용한 과다설계로, 다른 설계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논문을 수행하게 되었다. 현재 기둥의 강 연성축 배열은 미국시방서 AISC-LRFD에 일부 기술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효율성과 경제성에 관해서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는 3차원 강뼈대구조물에서 기둥의 강 연성 축 배치와 브레이스의 배치, 브레이스의 연결방법 및 각국의 시방코드별로 수행한 최적설계를 비교하여 보다 향상되고 합리적인 최적설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