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환자이송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외상에 의한 심장 손상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Traumatic Cardiac Injury)

  • 강준규;윤유상;김형태;박인덕;소동문;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35-341
    • /
    • 2004
  • 외상에 의한 심장 손상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었을 경우 치사율이 매우 높다. 이에 본원에서는 외상성 심장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통하여 내원한 외상성 심장 손상 환자 대상으로 하였다. 총 17명의 환자 중 흉기 등에 의한 자상이 5예, 둔상 중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이 7예, 작업장 등에서 추락한 경우가 4예,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모든 예에 있어서 응급 수술을 진행하였고, 6예의 경우 심폐기를 이용한 수술을 진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4예의 사망이 있었다. 수술 후 모든 환자는 중환자실로 이송하였고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3.86$\pm$3.35일, 평균 총재원기간은 18.27$\pm$14.99일이었다. 응급실에 도착하여 수술의 진행까지 생명 징후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경우 사망한 예는 없었다. 결론: 수술 전의 환자의 상태는 환자의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에 흉부외상 환자에게 있어서 심장손상 여부의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 구급차의 안락성 및 편의성 조사와 개선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Domestic Ambulances)

  • 유인술;신동민;정재한;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의 안락성과 편의성의 조사를 위하여 소음과 진동 및 사이즈의 타당성 등에 관하여 파악하였으며, 대상차량으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물형, 승합형 및 벤츠 구급차등을 이용하여 측정 및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의 구급차 제작기준을 살펴보면,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 특수목적을 가진 구급차에 대해 별도의 규정 없이 일반자동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구급차량에 대한 안전도, 응급처치에 대한 공간규정, 안락성 및 편의성 등에 관한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급차 환자실의 소음과 진동 측정 실험을 통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대한 비교 실험을 측정하였고, 구급차 환자실의 사이즈 및 내부의 재배치에 대하여 연구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개선이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음 측정 결과 승합형, 벤츠타입 및 화물형 타입의 구급차 순으로 소음이 큰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40 km/h 이상의 속도에서는 60~70 dB 이상의 소음측정 결과를 보여주었다. 진동의 경우는 승합형과 벤츠타입의 구급차량이 양호하고 역시 화물형 타입이 진동 또한 가장 안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사항이 필요하다고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구급차량 환자실의 내부를 살펴보면, 구조적으로 내부의 크기를 늘릴 수는 없는 구조이나, 침상의 재배치와 응급처치요원의 위치, 환자보호용 장의자의 배치 및 수납장 등의 재배치를 통하여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구급차의 사용을 보다 안락하고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심정지 환자 이송 시 구급대원의 자동제세동기 사용현황 (Use of Defibrillator(AED) on Prehospital Cardiac Arrests)

  • 고봉연;최용철;이재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3-62
    • /
    • 2006
  • Purpos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ehospital cardiac arrest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he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the popula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proper resuscitation technique and AED to be us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s. Methods: This studied 159 victims with prehospital cardiac arrests(VF or VT rhythm) by EMT's Reports from January to August, 2005. Results: 108 of 159 victims(67.9%) were shocked by AED. Eighty of 159 victims(50.9%) were recorded with AED shock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s. A number of shocks is averaged 2.19; 46.2% of one-shock and 86.1% of 1-3 shock. EMS first-tier response interval from time of dispatch to scene arrival was 5.88 minutes, from scene arrival to scene start was 7.36 minutes, from scene start to hospital admission was 9.91 minutes and from scene arrival to AED shock was 6.84 minutes. EMT provided advanced care to prehospital cardiac arrests: 97.5% in CPR, 10.1% in advanced airway management, 67.9% in AED shock. Conclusion: With the increase 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old age, the number of prehospital cardiac arrests has risen gradually. However, there were lack of CPR by bystander, defibrillation and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ACLS) in prehospital stage. To improve the adequacy of basic life support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ACLS, especially AED, we must create challenges to develop new protocols in prehospital care.

  • PDF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 7년간 국가심장정지조사사업 자료 활용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Cardiac Etiology)

  • 정수연;김철웅;홍성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60-569
    • /
    • 2016
  • 목적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응급의료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119 구급대가 이송한 심장정지 환자 전수 자료 중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 90,734명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심장정지 조사 자료는 같은 지역 내 환자의 생존 여부가 상호 관련성이 있는 다층적 구조의 자료이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환자-지역 2단계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 시행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 퇴원 가능성이 1.40배, 병원 도착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퇴원 가능성이 2.98배 높았다. 병원별 응급의학 전문의 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의수가 가장 적은 경우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1.29배, 3분위인 경우 2.89배, 4분위인 경우 3.39배, 5분위인 경우 4.07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병원별 연평균 심장정지 환자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심장정지 환자를 가장 적게 보는 병원인 1분위를 기준으로 각각 2분위인 경우 2.06배, 3분위인 경우 3.06배, 4분위인 경우 3.46배, 5분위인 경우 4.36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또 지역박탈지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역박탈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교차비가 0.96, 3분위인 경우 1.00, 4분위인 경우 0.72, 5분위인 경우 0.64를 보여 지역박탈지수가 높을수록 생존퇴원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론 일반인에 의해 CPR이 시행된 경우, 병원 도착 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 퇴원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많은 병원과 심장정지 환자를 많이 보는 병원에서 처치되었을 때, 지역 박탈지수가 낮을수록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응급환자이송업에 종사하는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the Private Ambulance Service)

  • 김미숙;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80
    • /
    • 2012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in the private ambulance service, to examin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provide the solu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ambulance service.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EMTs (73 paramedics, 36 basic EMTs and 12 nurses) in the private ambulance service in Korea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14, 2011. In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was 0.790 for job satisfaction and 0.796 for turnover intention. Using SPSS 18.0, we obtained Cronbach's ${\alpha}$,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rformed independent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 mean score with regard to job satisfaction was 2.94 and that of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4.23. In the area of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 of the job demand area was 4.23; 3.97 for the job itself; 3.07 for the area of interaction; 2.98 for the area of autonomy: 2.67 for the organizational demand area; 2.67 for working conditions area; and 1.73 for the wage area.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F=3.819, p=.006), wages (t=-4.640, p=.000), terms of incumbency (F=3.868, p=.011), and in turnover intention it was according to sex (t=-1.995 p=.048), age (F=9.611, p=.000), education levels (F=6.974, p=.002), marital status (t=4.393, p=.000), wages (t=5.515, p=.000), license types (F=8.481, p=.001), and terms of incumbency ( F=14.115, p=.000). 3)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56, p<.000) in general, and in the sub-7 areas of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was high in order of the wage area (r=-.61, p=.000), working conditions area (r=-.52, p=.000), the area of autonomy (r=-.49, p=.000), the area of interaction (r=-.45, p=.000), the organizational demand area (r=-.40, p=.000), the job itself (r=-.24, p=.007) and the job demand area (r=-.24, p=.009). Conclusion: The government must take the charge of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paramedics in the private ambulance service by providing the advantage in wages and fringe benefits. Ultimately, this would bring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edical emergency services to hospitals especially in the area of patient transfer and transportation.

흉부관통상으로 인한 심실중격결손의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raumatic Ventricular Septal Defect by Penetrating Chest Injury)

  • 김시욱;한종희;강민웅;나명훈;임승평;이영;최시완;유재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999-1002
    • /
    • 2004
  • 흉부관통상 환자에서 심장손상이 의심될 때 신속한 이송, 조기 진단 및 체계적인 수술적 치료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에서 심장손상의 정도를 진단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 13세 남아가 칼에 의한 흉부 관통상을 입고 흉관으로부터 과도한 출혈이 있어 본원 흉부 외과로 전원되었다. 단순 흉부촬영에서 좌측페야에 균일한 음영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는 의식이 혼미했으며 생체의 징후는 불안정하여 신속히 수술실로 옮겼다. 소생술 후 정중 흉골절개술을 통해 좌심실 열상을 봉합하였다. 수술 중 시행한 경식도 심초음파에서 심실중격결손에 의한 단락이 발견되었고 좌심실절개하에 데크론 첨포(Dacron patch)를 이용하여 정복하였다. 수술 후 경과는 좋았으며 심실중 격결손을 통한 작은 단락이 있었으나 추적 관찰하기로 하고 퇴원하였다.

응급환자 병원내 이송중의 모니터링을 위한 저전력형 휴대용 무선 ECG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ow-power Portable Wireless ECG System for Monitoring the Emergency Patient during Transfer in Hospital)

  • 장기웅;김지원;공세진;김철승;엄광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63-2164
    • /
    • 2006
  • It is desirable to monitor the vital signals, such as ECG, of a emergency patient during transfer in the hospital as well as in the ambu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which provides a real-time and wireless ECG to the medical staff nearby patient during transfer in hospital. In this context, we developed a low-power, low-cost and portable ECG system consisting of 1) ECG measurement and RF transmission module and 2) RF receiving and LCD display module.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be useful in monitoring ECG of a patient during transfer in the hospital.

  • PDF

응급 환자 이송서비스의 적절성: 미충족 의료와 부적절한 이용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in Emergency Ambulance Service)

  • 강경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7-366
    • /
    • 2014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n emergency ambulance system and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mergency ambulance service. Methods: Based on 2011 Korea health panel,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ambulance service were measured by Gibson in 1977. Furtherm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ambulance service were identified by Fisher's exact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Unmet need,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emergency patients who clinically need ambulance transportation but do not receive it, was found to be 59.8%. Inappropriate use,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emergency patient receiving ambulance care who did not clinically need it, was found to be 37.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groups in overall variables of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gender, age, relationship to household, and reasons of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accident/disea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appropriate use of emergency ambulance service. Conclusion: Unmet ambulance need is a useful measure for patients needs assessment, and inappropriate ambulance use is a valid criteria in judging the efficiency of emergency ambulance system. To improve and understand emergency ambulance system, unmet need and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ambulance service should be more concerned.

심페소생술 시행 시에 휴대용 압박 센서 활용이 흉부압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마네킹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The effect of portal compression sensor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 mannequin based simulation study)

  • 양현모;백경민;김광석;윤병길;김진우;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44-750
    • /
    • 2013
  • 본 연구는 평균 이송시간에 따른 흉부압박을 심정지 환자에게 수기로만 이루어진 압박과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압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영향을 규명하여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1년 9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청주시 소재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및 2급 응급구조사 20명과 BLS provider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과 깊이 보조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의 결과 기록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박깊이는 떨어지고 횟수는 증가했으며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은 압박깊이를 유지하고 횟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나타내었고 두 그룹 모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압박 정확도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에게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119 구급대원의 구급활동일지 기록 충실도 (Completenes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ivity Report by Paramedics)

  • 윤성우;이효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1-383
    • /
    • 2022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이 기록 충실도를 조사하기 위해, 현장응급처치지침을 기반으로 구급활동일지 작성지침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정상 이송된 67,830건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으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p<0.5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구급활동일지 필수항목 기록 충실도에서는 구급대원 2 자격 누락이 50,037건(73.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시간과 관련된 항목의 오기록율이 1,227건(1.8%)으로 많았다. 환자평가 충실도에서는 1차 활력징후에서 수축기혈압이 누락 및 오기록 되는 건수가 각각 1,218건(1.9%), 1,129건(1.8%)로 가장 많았고, 2차 활력징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정상 기록율이 70%대에 그쳤다. 환자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기록지 작성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병원 전 상황은 좋은 기록지를 완성하기에 여러 가지 여러움이 존재하지만 구급대원은 기록지 작성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충실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