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의 크기

Search Result 40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Optimizing D-axis Inductance for Maximum Speed Requirement in IPMSM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최고속도 맞춤 설계를 위한 D-축 인덕턴스 최적화)

  • Lee, Minhyeok;Lee, Taeyeon;Nam,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527-528
    • /
    • 2016
  • 현재 전기자동차용으로 높은 출력 밀도와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지는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 (IPMSM)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높은 돌극비는 큰 릴럭턴스 토크를 만들 수 있어 기저 속도 이하에서는 높은 토크를 보장한다. 하지만 고속 영역에서도 릴럭턴스 토크를 이용하여 출력을 보장하지만 큰 전류각, 즉 큰 음의 D-축 전류를 요구한다. 이는 전동기가 고속으로 갈수록 제어의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D-축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른 고속 영역에서 전류 지령치의 변화를 분석한다. 고속 영역에서 전류크기 및 전류각을 감소하고 정출력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D-축 인덕턴스를 조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출력을 검증한다.

  • PDF

Selection of Synthesis Unit for High Quality Korean Speech Synthesis System (고품질 한국어 음성합성 시스템을 위한 합성단위의 선택)

  • 김재홍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69-27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한국어 합성을 위한 합성단위에 대해서 연구한다. 합성단위는 합성음의 음질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음소와 같이 단위의 수가 적은 경우 적은 메모리로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음운천이구간의 처리가 어려우며, 복합음소단위의 경우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지만 음운천이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단위가 한국어 합성음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음절, CVC형, VCV형 복합음소를 대상으로 음성을 합성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합성시스템은 최근 제안된 코퍼스에 기반한 합성시스템이다. 실험 전에 파악된 각 단위들의 통계적인 특성과 합성음의 음질을 비교한 결과 CVC형 복합음소가 제안된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합성단위로 판정되었다.

  • PDF

A Monte Carlo Comparison of the Small Sample Behavior of Disparity Measures

  • Hong, Jong-Seon;Jeong, Dong-Bin;Park,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9-150
    • /
    • 2003
  • 소표본 분할표 자료에서 적합도 검정통계량들의 카이제곱 근사 적용 가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소표본에서 세 가지 검정 통계량(피어슨 카이제곱 $X^{2}$, 일반화 가능도비 $G^{2}$, 그리고 역발산 I(2/3) 검정통계량)에 관하여 비교한 Rudas(1986)의 연구를 확장하여, 최근에 제안된 차이측도(BWHD(1/9), BWCS(1/3), NED(4/3) 검정통계량)를 포함시켜 비교 분석하였다. 독립모형의 이차원 분할표, 조건부 독립모형과 한 변수 독립 모형을 따르는 삼차원 분할표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생성된 90과 95 백분위수와 이에 대응하는 95% 신뢰구간을 살펴보고 실제 백분위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X^{2}$, I(2/3), 그리고 BWHD(1/9) 검정통계량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통계량들이 기존에 제안된 검정통계량들보다 적은 표본크기에서도 카이제곱 근사방법에 적용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 PDF

정전 탐침을 이용한 산소 플라즈마의 음이온 발생 특성 연구

  • 김종식;김대철;김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1-221
    • /
    • 1999
  • 산소 플라즈마의 음이온 발생 특성을 정전 탐침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탐침에 흐르는 음 전류는 전자 전류와 음이온 전류의 합으로 구성되며 음이온 속도는 전자 속도에 비해 작아 음이온의 발생 량이 증가함에 따라 음이온 전류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탐침에 흐르는 양 전류와 음전류의 비 Ii*/(Ie*+I-*)는 음이온의 발생량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또한 플라즈마 전위와 부유 전위간의 전위차와 음 이온밀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 e(Vp-Vf)/Te={3.35 + 0.5 ln$\mu$ - ln(ni/ne)]을 갖으며 이로부터 음이온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정전 탐침에서 얻어지는 탐침 자료로부터 직접 플라즈마에서 음이온 발생에 관한 정성적인 특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운전 압력(0.1-600mTorr)과 입력 전력(50-500W)에 따른 DC, ICP, CCP에서 발생하는 산소 음이온 플라즈마의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운전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음이온의 비율이 증가하다가 감소함이 관찰되었으며 400mTorr에서 최대 30%의 음이온 발생 비율을 갖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더 큰 압력 하에서는 발생률이 점차 감소함을 관찰되었다. 또한 음이온의 발생 율은 입력 전력보다 운전 압력에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 PDF

인라인 타입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에서 증착 두께 분포 병렬 계산

  • 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25-225
    • /
    • 2014
  • 일반적인 Cosine law를 이용한 증착 두께의 분포에 대한 계산은 적분의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LCD 8G 급의 경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타겟의 크기가 깊이 3 m, 폭 25 cm정도인데 대략 6~8개를 설치하여 공정 시간을 줄이고 있다. 이 때 한 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판이 타겟 표면과 이루는 각도는 아주 작은 각에서 수직으로 다시 음의 각도로 변화한다. 이 때 발생하는 박막의 미세 조직 변화는 박막 특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한 1단계로 타겟 표면과 기판 표면을 모두 미소 면적소로 구분하고 각각의 면적소 간에 이루어지는 증착 원자의 비행을 충돌이 없다는 가정하에 direct flux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였다. 이 때 소요되는 계산 시간은 매우 길어서 single core CPU에서 serial job으로 처리하는 경우 여러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OpenMP를 이용한 작업의 병렬화를 시도하였다. 4 core machine에서 최대 96%의 병렬 효율을 달성하였다.

  • PDF

The Prediction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 Formation by Ion Beam Mixing (이온선 혼합에 의한 비정질상 및 결정상 형성 예측에 관한 연구)

  • 최정동;곽준섭;박상욱;백홍구;황정남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 no.1
    • /
    • pp.41-49
    • /
    • 1993
  • 두 층으로 이루어진 박막에서 이온선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정상 및 비정질상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예측 모델과는 달리, 이온선 혼합 공정에서의 확산메카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각 원소의 응집에너지와 침입형자리 크기 그리고, 이온반경을 이용하였다. 비정질상 형상 여부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ADF(amorphization determinating factor)를 새로 정의하여 다음과 같이 모델식을 세웠다. 즉, ADF=C1(RB-rA)+C2(Ecoh, max/Ecoh, min)+$\alpha$이다. ADF가 양의 갓을 갖는 계는 이온선 혼합에 의해 비정질상이 형성되며 ADF가 음의 값을 갖는 계는 비정질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70여 가지의 금속/금속 및 금속/실리콘계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아직까지 실험결과가 부족한 몇 가지 금속/실리콘계에 대해서 본 모델을 이용하여 비정질상 형성 여부를 예측하였다.

  • PDF

Signal Parameter Estimation via Transfer Matrix Analysis (전달 행렬 분석에 의한 신호변수 추정 기법 연구)

  • 조운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82-87
    • /
    • 1998
  • 여러 음원들에 의해 형성된 파동장내에서 각 신호음의 주파수 특성과 시간 지연 (time delay)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관련 수식은 두 개의 상호 간섭하는 신호가 입사하고 여기에 주변 환경에 의한 랜덤 잡음이 첨가된다고 가정하여 유도되었으며 두 개 이상의 신호음이 있는 상황에 대해 확장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시간 지연이 일정한 수신 신호 영역에 등간격으로 놓여진 수신기로부터 각 센서에 수신된 신호의 스펙트럼은 M개의 센서에 대해 K개의 음원 스펙트럼과 K개의 조정 벡터(steering vector) 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으로 주파수에서 모델된다. 각 음원의 주파수 특성과 음원 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입사각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알고리즘은 전달 행렬(transfer matrix) 을 계산하고 그 전달 행렬의 고유값(eigenvalue)과 고유벡터(eigenvector)를 분석한다. 이 고 유값들은 복소수이며 그 크기는 진폭 변환 계수를 결정한다. 위상은 수신기의 간격으로부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기울기를 갖는 주파수의 선형 함수이다. 전달 행렬에의 입력 자료들 은 동일 간격 소자간의 cross-power spectra이다.

  • PDF

Left-Handedness 특성 Metamaterial 구조의 마이크로파 부품과 안테나 개발에의 적용 기술

  • Gang, Seung-Taek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2
    • /
    • pp.59-67
    • /
    • 2009
  • 본고를 통해 초고주파 이론과 공학 분야는 물론 물리학, 재료공학의 기초 학문 분야에서도 지대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Metamaterial(MTM) 구조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 먼저 MTM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Left-Handedness(LH) 왼손 전파 법칙과 LH 발생 재질인 Double Negative(DNG) 재질에서의 전파 특성을 상대 유전율과 상대 투자율 평면에서 확인하고, 일반 매질인 Double Positive(DPS)형인 오른손 전파 법칙 Right-Handedness(=RH) 매질과의 결합(Composite Right-and Left-Hnaded=CRLH)에서 얻어지는 특징들을 살펴본다. 특히 DPS와 DNC의 결합에서 얻을 수 있는 음의 공진과 0차 공진(Zero-Order Resonance)을 언급하고 ZOR을 응용한 RF 부품의 소형화와 특성 개선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안테나와 전자파 산란 특성에 MTM의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크기를 줄이거나 표면파를 억제하거나 혹은 방사 개구를 확대 또는 렌즈 특성을 얻어낸 사례도 언급된다 그리고 LH 특성은 아니지만 MTM 계열인 ENG(Epsilon Negative), MNG(Mu Negative), ENZ(Epsilon Near Zero)를 응용한 예들을 보이고, MTM 관점에서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의 특성을 논의하고, 그간에 발표된 대표적 MTM 연구 결과에 대한 소개를 마치고자 한다.

A study on neutron diffraction of amorphous Ni-Ta and Cu-Ta alloy powders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기계적 합금화법으로 제조한 비정질 Ni-Ta 및 Cu-Ta 합금분말의 중성자회절에 관한 연구)

  • Lee, Chung-Hyo;Lee, Jin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8 no.6
    • /
    • pp.715-720
    • /
    • 1995
  • 기계적 합금화법에 의한 비정질화 과정을 Ni-Ta계 및 Cu-Ta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Ni-Ta합금계는 혼합엔탈피가 음이나, Cu-Ta계는 혼합엔탈피가 양인 열역학적으로 대조적인 합금계이다. 볼밀 중 발생하는 원자구조 변화를 중성자회절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두 합금게에 있어서 기계적 합금화에 의한 비정질상이 생성되었다. 비정질 Cu-Ta합금의 local원자구조를 혼합엔탈피가 크게 음인 Ni-Ta계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적 특성을 가진 두 합금계임에도 불구하고 원자크기가 작은 Ni 및 Cu가 bcc Ta의 결정격자 속으로 우선적으로 침입함으로써 비정질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heat fluxes in the East Sea(Sea of Japan) (東海熱收支 의 時.空間的인 分布)

  • 박원선;오임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2
    • /
    • pp.91-115
    • /
    • 1995
  • Air-sea heat fluxes in the East Sea were estimated from the various ship's data observed from 1961 to 1990 and the JMA buoy #6 data from 1976 to 1985. The oceanic heat transport in the sea was also determined from the fluxes above and the heat storage rate of the upper layer of 200m from the sea surface. In winter,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is almost balanced with the outgoing longwave radiation. but the sea loses her heat through the sea surface mainly due to the latent and sensible heat fluxes.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is about 100 Wm/SUP -2/, and the maximum loss of heat is occurred near the Tsugaru Strait. There are also lots of heat loss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Korea Strait and Ulleung Basin. Particularly, the heat strong los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might be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her Intermediate Homogeneous Water. In summer, the sea is heated up to about 120∼140 Wm/SUP -2/ sue to strong incoming solar radiation and weak turbulent heat fluxes and her spatial variation is only about 20 Wm/SUP -2/. The oceanic heat flux is positive in the southeasten part f the sea and the magnitude of the flux is larger than that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however, the oceanic heat flux is negative. This fact implies cold water inflow, the North Korean Cold Water. The sigh of net surface heat flux is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in March and from positive to negative in September. The heat content in the upper surface 200 m from the sea surface reaches its minimum in March and maximum in October. The annual variation of the net surface heat flux is 580 Wm/SUP -2/ in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The annual mean values of net surface heat fluxes are negative, which mean the net heat transfer from the sea to the atmosphere. The magnitude of the flux is about 130 Wm/SUP -2/ near the Tsugaru Strait. The net surface fluxes in the Korea Strait and the Ulleung Basin a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the rest areas. The spatial mean values of surface heat fluxes from 35$^{\circ}C$ to 39$^{\circ}$N are 129, -90, -58, and -32 Wm/SUP -2/ for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latent hear flux, outgoing longwave radiation, and sensible heat flux,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