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운단어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that influence the phonological word recognition (음운구 경계와 단어빈도가 한국어 음운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 Kim, Jeahong;Shin, Hasun;Kim, Yeseul;Yun, Gwangyeol;Kim, Daseul;Shin, Jiyoung;Nam, Kichu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1 no.2
    • /
    • pp.45-5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between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variable in Korean speech processing. A word monitoring task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frequency effect of target word depending on whether a phonological phrase is formed within the target word. Frequency of target word (high vs low) and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within target word vs between target words) were applied as between and within subject condition respectively. Our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In the post-hoc analysis, the high-frequency target words were detected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low-frequency target words only in the within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condition. Frequency effect in the between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condition did not appe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variabl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speech processing. In particular,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processing the word frequency at the very early sensory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based on the interaction of two experimental factors.

우리 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 음운정보의 미리보기 효과

  • Kim, Jeong-Tae;Go, Seo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36
    • /
    • 2010
  • 우리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에 위치한 단어의 음운정보가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영향이 있음을 2음절의 표적단어를 사용하여 확인한 앞선 연구에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와주위에 제시된 2음절 단어의 음운정보 중 첫째 음절의 음운정보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표적단어(예: '손목')에 대한 미리보기 자극으로 첫음절_동일비단어(예: '손욘'),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예: '솜욘'),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예: '��욘'), 첫음절_무관비단어(예: '�F�E')가 제시되었고 경계선기법을 사용하여 눈이 도약하는 동안에 미리보기 자극들은 표적자극으로 바뀌도록 하였다. 표적단어의 주시시간을 측정한 결과,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가 중심와주위에 먼저 제시되었을 때가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나 첫음절_무관비단어가 제시되었을 때보다 짧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의 음운정보만으로도 고정 간 정보통합에 영향을 주어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The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LDT study & fMRI study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운, 철자이웃 크기 효과)

  • Kwon, You-An;Park, Chang-Su;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47-51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표상 정보가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철자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자극은 한국어의 2음절 단어 중 음운변화(자음동화)를 겪는 단어(예: 국민)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은 철자이웃이 크며 음운 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이 크고 음운이웃은 작은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은 작고 음운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과 음운이웃 모두가 작은 조건(O-P-)이었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음운이웃 크기와 철자이웃 크기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실험2는 동일한 실험자극을 사용한 fMRI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2 결과 음운처리에 관련된 뇌영역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의 경우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s of Orthographic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on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in Children Aged 5-8 Years (5~8세 아동의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

  • Na, Ye-Ju;Ha, Ji-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535-546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among orthograph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abilities. Children aged 5 to 8 years took letter knowledge test,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test,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representation), phonological awareness test(word, syllable and phoneme awareness), word decoding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reading) and word encoding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dictation). The performances of all tas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tasks. In the word decoding and encoding tests, the variables with the most predictive power were the letter knowledge ability and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orthographic knowledge more influenced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skills than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se ages.

The Effect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Priming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한국어 시각 단어재인과정에서 음운정보와 표기정보의 역할)

  • Tae, Jini;Lee, ChangHwan;Lee, Yoonh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6 no.1
    • /
    • pp.1-2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or the orthographic information plays a major role in visual word recognition. To do so, we used a non-word lexical decision task(LDT) in Experiment 1 and masked priming tasks in Experiement 2 and 3.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reaction times and the error rates were affected by the orth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non-word stimuli such that orthographically similar non-words condition showed prolonged reaction times and higher error rates than control condition. In 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e participants performed masked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s in two SOA conditions(60ms, 150ms). The results of the both experiments showed that the orthographically identical first syllable priming facilitated lexical decision of the target words while both of the pseudo-homophone priming and the phonologically identical first syllable priming did not. The dual route hypothesis(Coltheart et al, 2001), assuming that orthographic information rather than phonological information is the major source for the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es, fits well with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honological Activation in Multi-syllabic Word Recognition (다음절 단어재인에 있어서 음운적 활성화)

  • Lee, Chang-H.;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25-228
    • /
    • 2004
  • English has words that have a silent letter in their letter strings (e.g., knowledge). Such words provide an opportunity of investigating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multi-syllabic words by comparing them to words that do not have the silent letter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e.g., available). Stimuli that excluded a silent letter (e.g., _nowledge) were processed faster than those that excluded a sounding letter (e.g., _vailable)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evidence from this experiment provides seminal evidence of phonological recoding in multi-syllabic word recognition

  • PDF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Korean Monosyllabic Word Processing (한글 일음절 단어처리에서의 음운정보의 역할)

  • 김연희;이창환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5 no.1
    • /
    • pp.35-41
    • /
    • 2004
  • The letter delay task using monosyllabic words has been employ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word is processed by the phonological route, and to investigate which stage this phonological information affects word recognition. Two main conditions were delaying a sounding letter( $\rightarrow$향), and delaying a silent letter( $\rightarrow$양). Experiment 1 was the naming task with the SOAs of 150㎳ and 250㎳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affects the early stages, or the later stages of word recogn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onological value condition and the presence/absence of the prime was significant under the 150㎳ SOA, but not under 250㎳ SOA. Experiment 2 was conducted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Experiment 1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e similar pattern as the Experiment 1.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Korean words are processed by the phonological route, and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plays roles in the early stages of word recognition.

  • PDF

Computational Model for Proving Phonological Information a Role in Visual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어 시각단어재인 과정에서의 음운정보 역할 규명을 위한 계산주의적 모델)

  • Park, Ki-Nam;Lim, Heui-Seok;Han, K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180
    • /
    • 2007
  • 본 논문은 인간의 언어정보처리 과정 중 시각단어재인(visual word recognition) 과정에서 음운정보와 철자정보의 역할 및 심성어휘집의 표상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계산주의적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계산주의적 모텔은 한국어에 대한 시각 단어재인 시 보이는 언어현상 중 음운, 철자 이웃 크기효과(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시각단어재인 과정에서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표상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를 보였다.

  • PDF

Australian English sequences of semivowel /w/ + Back Vowel /3:/, / :/ or / / production by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한국인과 일본인의 호주 영어 모음 연쇄 /w+V/ 조음 비교)

  • 박시균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188-191
    • /
    • 1998
  • 호주 영어의 단어 중 한국인과 일본인이 구별하기 어려운 'work', 'walk', 'wok' 세 단어에 대해 다룬다. 우선 한국인과 일본인이 이들 세 단어를 어떻게 조음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실제로 한국인과 일본인 화자들이 조음한 자료를 가지고 모듬의 음질과 길이 두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예측한 사항과 비교하고 또 이들 단어를 조음할 때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 어떤 음성 음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도 비교 분석한다. 결과는 모국어의 음성, 음운적 영향이 목표어의 음소를 습득하고 발음하는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wok/wo k/의 예는 언어 보편적인 요소가 L2의 음소를 습득하는데 있어 또 하나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도 알려주고 있다.

  • PDF

Pronunciation Dictionary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발음사전 구축)

  • 이경님;정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97-199
    • /
    • 2000
  • 연속음성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음사전과 언어모델이 필요하다. 이 둘 사이에는 디코딩 단위가 일치하여야 하므로 발음사전 구축시 디코딩 단위로 표제어 단위를 선정하며 표제어 사이의 음운변화 현상을 반영한 발음사전을 구축하여야 한다. 한국어에 부합하는 음운변화현상을 분석하여 학습용 자동 발음열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발음사전을 구축한다. 전처리 단계로 기호, 단위, 숫자 등 전처리 과정 및 형태소 분석 과정을 수행하며, 디코딩 단위인 의사 형태소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 규칙을 이용한 태깅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나온 결과를 발음열 생성기 입력으로 하며, 결과는 학습용 발음열 또는 발음사전 구성을 위한 형태로 출력한다. 표제어간 음운변화 현상이 반영된 상태의 표제어 단위이므로 실제 음운변화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의 표제어와는 그 형태가 상이하다. 이는 연속 발음시 생기는 현상으로 실제 인식에는 이 음운변화 현상이 반영된 사전이 필요하게 된다. 생성된 발음사전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음향학습을 위하여 PBS(Phonetically Balanced Sentence) 낭독체 17200문장을 녹음하고 그 전사파일을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였고, 발음사전의 평가를 위하여 이 중 각각 3100문장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형태소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표제어간 음운변화 현상을 반영한 최적의 발음사전과 다중 발음사전, 언어학적 기준에 의한 수작업으로 생성한 표준 발음사전, 그리고 표제어간의 음운변화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독립된 단어로 생성한 발음사전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표제어간 음운변화 현상을 반영하지 않은 경우 단어 인식률이 43.21%인 반면 표제어간 음운변화 현상을 반영한 1-Best 사전의 경우 48.99%, Multi 사전의 경우 50.19%로 인식률이 5~6%정도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고, 수작업에 의한 표준발음사전의 단어 인식률 45.90% 보다도 약 3~4%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