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양이론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한.중 전통주택의 색채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민속촌 양반가 22호와 북경 사합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Hous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Focused on the Korean Folk Village Upper-class No.22 and Beijing Si-He-Yuan -)

  • 여화선;서주환;주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3-59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민속촌 양반가와 중국 북경의 사합원(四合院)을 대상으로 Munsell Conversion을 기준으로 색채분석을 시도하여, 양국의 도장재료나 기법상 표현된 전통 주택의 색채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양사상의 중심축은 음양오행사상으로, 이것은 종교와 풍수, 그리고 우주의 질서 등에 따라 모든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음양오행사상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정량적 색채 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체적으로 색상에서는 양반가가 Y, YR계열과 무채색에 집중해 있는 반면 사합원은 R, GY계열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한편 전반적으로 명도차는 중국이 낮으며, 한국보다 중국은 고채도의 이용 빈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 문화적 선호사상의 영향으로 R계열 색상이 많이 나타나 있는 중국의 전통주택에 비하여 오방색의 영향을 많이 보이지 않았던 한국의 양반가는 소박한 색채미가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한국과 중국의 공히 Y, R, YR계열의 색상에 대한 선호경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음양오행사상에 기초한 감성측정 접근방법 연구 (The Approach of Human Sensibility Measurement based on The Cosmic Dual And The Five Elements)

  • 박인찬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45
    • /
    • 1998
  •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모든 사물을 보고 다루는데 있어서 경험하고 교육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형태와 색채로 구성된 사물에 대한 경험과 교육은 인간이 성인이 될 때까지 그 사람의 인성과 감성 및 체질을 형성시켜 주는데 큰 영향을 주게된다. 이처럼 모든 사물은 인간이 유아에서 성년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에 함께 존재해 왔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이 한 인간을 어떻게 형성시킬 수 있는가 또는,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인간은 모든 사물로부터 주로 형태 감, 색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느낌은 개인의 생활환경 및 경험, 교육, 연령, 직업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일정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어떠한 사물의 형태와 색채가 있는 것부터 내재된 근본적인 형태 감, 색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즉, 자신의 형태 감과 색감에서 벗어난 어떤 사물을 접했다고 가정해 보자. 적어도 이 사람은 무의식 중에라도 이 사물을 멀리하게 될 것이다. 아마도 형태와 색채를 다루는 모든 행위는 인간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와 색채를 실현시킴으로써 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본 연 구는 인간이 근원적으로 갖고 있는 형태 감과 색채감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형태 와 색채가 인간에 어떻게 심리적, 신체적으로 영향을 주느냐에 대한 내용과 사용자에게 보다 심리적, 신체적으로 유익하게 유효 적절한 형태와 색채를 제공하기 위한 감성측정 접근 방법의 모색을 과제로 삼았다. 연구결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형태 감과 색채감은 인간 개개인의 심리와 인체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과 주위의 환경요건 즉, 구체적으로 형태와 색채가 변화됨에 따라 인간의 심리와 인체가 어떻게 변화되는가 대한 원리를 음양오행 사상의 관련이론을 통해 인식하고 설문방식을 통하여 본 이론의 실제성을 확인해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은 더욱 체계화되고 심화될 때 인간에게 보다 유익하고, 유효 적절한 형태와 색채의 사물을 실현시키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자세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조신(調神)을 통한 질병(疾病) 치료(治療) 연구(硏究) (I) -관어이조신치료질병적연구(關於以調神治療疾病的硏究)(I)-

  • 정호진;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27-43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내경(內經)${\lrcorner}$ 중출현적조신적개념급용조신치병적방법적연구(中出現的調神的槪念及用調神治病的方法的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조신이양생지의(調神以養生之意), 용우지금(用于至今). ${\ulcorner}$내경(內經)${\lrcorner}$중신지의(中神之意), 우기표현위여우주자연지신(尤其表現爲與宇宙自然之神)[천신(天神)]상응적인체지신(相應的人體之神)[인신(人神)]상(上), 즉천인상응적사상교위돌출(卽天人相應的思想較爲突出) 형신상호관계상(形神相互關係上), 재유지형신합일적사상적동시(在維持形神合一的思想的同時), 비기양형경가중시어조신(比起養形更加重視於調神). 재양생방면(在養生方面), 조신의조시간급공간(調神依照時間及空間), 분위사시조신화오장신조신(分爲四時調神和五臟神調神). ${\ulcorner}$소문(素問).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lrcorner}$적요지시이사시출현적자연계적변화규율(的要旨是以四時出現的自然界的變化規律), 응대청정적우주정신래수련신심(應對淸靜的宇宙精神來修練身心). ‘이념요법(移念療法)’시통과개변재인체오장내정기적운행위치(是通過改變在人體五臟內精氣的運行位置), 진행치료적방법(進行治療的方法). 기내용개괄료기타각종정신요법(其內容槪括了其他各種精神療法). 대지언고론요법적한의학해석(對至言高論療法的韓醫學解釋), 불시이이유오행혹음양이론작위의거(不是以已有五行或陰陽理論作爲依據), 이시가종사상의학중조도. 기원인시사상의학적출발점(其原因是四象醫學的出發點), 불시이단순적육체무병작위기목적(不是以單純的肉體無病作爲其目的). 저일점(這一點), 종명확지표현재수세보원적성명사단론중(從明確地表現在壽世保元的性命四端論中). 대생리병리독특적유심론관(對生理病理獨特的唯心論觀), 시이제마선생탁월관점(是李濟馬先生卓越觀点). 한방음악치료초월료이행동주의심리학위중심(韓方音樂治療超越了以行動主義心理學爲中心), 발전기래적기유적음악요법적국한성(發展起來的旣有的音樂療法的局限性), 약여약물(若與藥物), 침구치료병용(鍼灸治療倂用), 불근가이치료신경정신질환(不僅可以治療神經精神疾患), 환가이치료기타각종신체질환(還可以治療其他各種身體疾患). 기공시이응신(氣功是以凝神), 의수(意守), 의념등표현(意念等表現), 작위기주요조신방법적일종수신법(作爲其主要調神方法的一種修身法).

  • PDF

정상인의 12경맥 측정전위에 대한 유의성 분석 - 고전경락이론의 수족 . 음양 . 장부의 표리와 오행 . 육기의 표리와 오행을 중심으로 - (Significance Test for Electric Potential of Meridian System - Between hand and foot meridian, yin and yang meridian,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ody, and among the five elements -)

  • 최환수;남봉현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9-80
    • /
    • 2000
  • Objectives : Assuming that the characteristic of meridian system has been similar to this of electric potentials in human body and that measurements of electric potential at well(井穴) and sea(合穴) points in branches of the twelves meridians will be representative of measurements of the twelve meridians, to measure the electric potentials in twenty healthy volunteers when they were sleeping or waking respectively, to do significance test for electric potential of meridian system between hand and foot meridian, yin and yang meridian,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ody, and among the five elements. Methods : When twenty healthy volunteers were sleeping, their electric potentials of well and sea points in branches of the twelve meridian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by physiograph. After a minute we measured them again, totally 5 times. And then when they were waking, their electric potentials were measured 5 times by the above method. Results : Measurement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test, we obtained that the left side electric potential of hand or yin meridia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oot or yang meridian both sleeping and waking. The right side of electric potential was the same result as the left side's. Most of the t-test was significant between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ody, and among the five elements. That meaned that it was partly possible to apply the ancient theory of meridians to the study of electric potential at well and sea points in branches of the twelves meridians.

  • PDF

『문자(文子)』의 황노사상(黃老思想)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Huang-Lao philosophy in the Wenzi)

  • 김예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9호
    • /
    • pp.169-194
    • /
    • 2013
  • "문자"는 저자와 문헌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문헌의 진위문제, 최근 출토된 죽간본과 통행본과의 관계 등 학계에서 논란되는 자료이다. 본 논문은, 잡가(雜家)와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하는 황로학의 연구방식을 지양하기 위해 죽간본(竹簡本)과 통행본(通行本)이 공유하는 편장(篇章)을 중심으로, 도가학파의 도론(道論)과 대비시켜 "문자" 황로사상의 고유성에 대해 논의한다. "문자"는 도법가(道法家)의 유형으로 파악할 수 없는 유가유(儒家類)의 황로문헌으로, 노자학(老子學)에서 발원하여 유가(儒家)를 위주로 제가철학(諸家哲學)의 요체를 수용한 문헌이다. 본 논문은, "문자"는 이론적으로 노자학(老子學)에서 발원하지만 사회정치적 범주에서 유가(儒家)와의 주된 사상적 결합을 시도한 유가유(儒家類) 황로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문헌임을 논증한다.

장현광 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에 대한 검토 (The Relation of the Cosmology and Xiangshuxue of Jang, Hyeon-Guang)

  • 김문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7-29
    • /
    • 2008
  • 장현광(張顯光)은 조선시대 자연학자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 글은 그의 우주론 속에 함축된 상수학적 요소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는 데 목표를 둔다. 역학에서 상과 수는 만물의 분별과 그 상호관계, 그리고 그것들의 시간적 질서를 표현하는 개념 도구이다. 그것들은 음양을 결합함으로써 내부 운동인을 확보하고, 우주 만물에 대한 상수학적 해석과 설명의 틀을 구성하였다. 상수학적 우주론의 핵심적인 주장은 우주가 시 공간적으로 유한하며, 그것과 반대로 리(태극)는 무한하다고 하는 것이다. 리가 시 공간적 무한하다는 것은 도덕원리가 절대적이고 항상적임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장현광은 자신의 우주론이 주자학의 도덕형이상학과 순조롭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장현광은 역서(易書)를 자연 이해의 준거 또는 범형(範形)으로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불완전하나마 소옹에게서 나타났던 법칙 객관주의를 질곡하고, 그의 법칙 개념으로 하여금 경험이나 지식의 확장과 더불어 스스로를 갱신해 가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상수학적 우주론은 당시 성리학의 자연학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Yongdoseo(龍圖墅) and Guimunwon(龜文園) which Applied a Sangsu(象數) Principle on Garden Composition)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9
    • /
    • 2012
  • 용도서와 귀문원은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 "복거(卜居)" 편에 실려 있다. 이 글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원리를 적용한 독특한 정원 구상안으로, 실제 조영된 바 없는 상상 속의 정원이다. 여기에는 두 정원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상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여기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록을 고찰함으로써 정원도해에 담긴 의미와 조경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의 배경이 되는 저작 및 편찬자, 상수학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또 하도와 낙서에 담긴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음양, 사상, 팔괘도 등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와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등 상수철학의 기본 명제들을 포괄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라 할 수 있는데, 용도서와 귀문원은 이를 정원구성 원리로 적용하여 거기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에서도 전례가 없는 독특한 사례이다. 둘째, 하도와 낙서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원이라는 생활공간이 선정되었고, 하도와 낙서의 방위개념과 위치와 수 등을 재현하는 소품으로 태극정과 십자각, 돈대, 우물, 연못 등과 함께 각종 수목이 사용되었다. 셋째, 용도서와 귀문원은 각기 하도와 낙서가 표상하고 있는 선천과 후천, 체와 용의 관계를 주 모티브로 하고있다. 즉, 용도서는 하도가 표방하는 우주생성의 원리, 정적이며 조화, 질서, 상생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하여 '십장청'이라는 상록수만을 식재하도록 구상하였다. 귀문원에는 낙서가 표방하는 후천의 변화 즉, 동적이며 부조화 무질서, 상극,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화목과 과목을 자유롭게 식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효과를 통해 구현하고자한 두 정원의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차별성은 용도서에는 '청상함', 귀문원은 '화려함'으로 함축된다. 하도와 낙서가 바탕이 된 상수학은 고대 이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파와 여러 학자의 지혜가 축적된 동양의 독특한 사고 체계이다. 따라서 그 개념과 이론이 심오하고 방대하며 해석의 관점도 다양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철학의 제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전통정원에 내재된 상수학 등 동양사상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문왕팔괘(文王八卦)에 관(關)한 연구(硏究)

  • 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8-67
    • /
    • 2000
  • 통과대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적연구(通過對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的硏究). 득도요여하결론(得到了如下結論). 1. 최초명명위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적인시소옹(最初命名爲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的人是邵雍). 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수연몰유시문왕소화적확체적근거(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雖然沒有是文王所畵的確切的根據), 단시종추연복희이(但是從推演伏羲易), 동사상결합(同事相結合), 최종확립여금적역학체계적인시문왕(最終確立如今的易學體系的人是文王). 이차환부합현금적역리(而且還符合現今的易理), 인차구유일정설복력(因此具有一定說服力). 2. 재문왕팔괘차서도중삼남유일양이음구성(在文王八卦次序圖中三男由一陽二陰構成). 삼녀유일음이양구성(三女由一陰二陽構成). 저가이용음양호근적원리진행설명(這可以用陰陽互根的原理進行說明). 3. 복희팔괘방위도현시모종공간상(伏羲八卦方位圖顯示某種空間相). 이문왕팔괘방위도칙현시사시(而文王八卦方位圖則顯示四時). 팔절적변화화만물생장적류행주기등시간상적변화(八節的變化和萬物生長的流行周期等時間上的變化). 4. 문왕팔괘방위도동사시적오행상일치(文王八卦方位圖同四時的五行相一致). 시상생관계(是相生關係), 팔괘당중각유양개목김토(八卦當中各有兩개木金土). 시유우형흔왕성(是由于形흔旺盛), 수화각유일개시유우기흔왕성(水火各有一개是由于氣흔旺盛). 5. 문왕팔괘방위도재표면상간호상시오행상생적관계(文王八卦方位圖在表面上看好象是五行相生的關係). 단시(但是), 상호성대면적팔괘적오행도성상극관계(相互成對面的八卦的五行都成相剋關係). 화동측상임적감수(和東側相臨的坎水) 간토(艮土) 진목(震木) 손목도시성상극관계(孫木都是成相剋關係). 종차가이지도상극시발전만물적주체(從此可以知道相剋是發展萬物的主體). 6. 대우복희팔괘전화위문왕팔괘적원리(對于伏羲八卦轉化爲文王八卦的原理), 수유각종이론제출(雖有各種理論提出). 단시상무확체적설법(但是尙無確切的說法). 7. 복희팔괘주요체현천도화외상등(伏羲八卦主要體現天道和外象等), 문왕팔괘측체현인사화내정등(文王八卦側體現人事和內情等). 8. 복희팔괘위체(伏羲八卦爲體), 문왕팔괘위용(文王八卦爲用). 복희팔괘중(伏羲八卦中), 위변화적주체적천지즉건곤위우중축(爲變化的主體的天地卽乾坤位于中軸). 문왕팔괘중(文王八卦中), 위변화적대용적일월즉감리위우중축(位變化的大用的日月卽坎離位于中軸). 9. 복희팔괘도속우표현춘천적변화지상적제일괘도(伏羲八卦圖屬于表現春天的變化之象的第一掛圖), 생괘도화창조도(生掛圖和倉曹圖), 문왕팔괘도칙속우표현하천적변화지상적제이괘도(文王八卦圖則屬于表現夏天的變化之象的第二掛圖), 장괘도화발전도(長掛圖和發展圖). 10. 문왕팔괘도시류행이치기용적역지용(文王八卦圖是流行以致其用的易之用), 표현무질서화혼란(表現無秩序和混亂), 위화여괴리상호란무적난음난양지상(韋和與乖離相互亂舞的亂陰亂陽之象). 11. 문왕팔괘도화낙서적변화원리상일치(文王八卦圖和洛書的變化原理相一致), 가이장낙서적수직접대응도문왕팔괘도중(可以將洛書的數直接對應到文王八卦圖中). 우명낙서팔괘도(又名洛書八卦圖). 구수도혹일구역(九數圖或一九易). 12. 문왕팔괘도적상대응적수자지합도위십(文王八卦圖的相對應的數字之合都爲十). 저예시료성괘도십수도적출현(這豫示了成掛圖十數圖的出現).

  • PDF

삼음삼양(三陰三陽)의 시간배속(時間配屬)에 대한 연구 -관우삼음삼양시간배속연구(關于三陰三陽時間配屬硏究)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46-52
    • /
    • 2006
  •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내함한의학이론(內含韓醫學理論) 기중삼응삼양적내용비상난(其中三陰三陽的內容非常難) 기원인사(其原因是)${\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삼음삼양적내용비상복집(中三陰三陽的內容非常複雜), 특별시삼음삼양적시간배속매편화일양(特別是三陰三陽的時間配屬每篇不日樣) 본론문통과관우(本論文通過關于子)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삼음삼양적시간배속진행연구(中三陰三陽的時間配屬進行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운기지주기순서춰시오행(목화토금수)순서(運氣之主氣順序就是五行(木火土金水)順序), 저설명주기변화주요근거형지변화(這說明主氣變化主要根據形之變化), 운기지객기순서취시기지대(運氣之客氣順序就是氣之大小)(일양(一陽)${\longrightarrow}$이양(二陽)${\longrightarrow}$삼양(三陽)${\longrightarrow}$일음(一陰)${\longrightarrow}$이음(二陰)${\longrightarrow}$삼음(三陰))${\longrightarrow}$, 저설명객기변화주요근거기지변화(這說明客氣變化主要根據氣之變化) ${\ulcorner}$소문맥해(素問脈解)${\lrcorner}$ 적삼음삼양월별배속시음관(11월:태음)(的三陰三陽月別配屬是陰關(11月:太陰)${\longrightarrow}$양관(1월:태양)(陽關(1月:太陽)${\longrightarrow}$음합(3월:궐음)(陰闔(3月:厥廠)${\longrightarrow}$양합(5월:양명)(陽闔(5월:陽明))${\longrightarrow}$음추(7월:소음)(陰樞(7月:少陰)${\longrightarrow}$양추(9월:소양)(陽樞(9月少陽). 태양소음시음양세력적기초(太陽少陰是陰陽勢力的基礎), 소이상위표리(所以相爲表裏). 소양소음시음양세력적중간(少陽少陰是陰陽勢力的中間), 소이사위표리(所以杞爲表裏) 태음궐음시음양세력적전성기(太陰歐陰是陰陽勢力的全盛期), 소이상위표리(所以相爲表裏) 차료리적의사반영경락류주(此表養的意思反映經絡流注). 태음양명경류주신체전면(太陰陽明經流注身體前面), 태양소음경류주신체후면( 太陽少陰經流注身體後面 ), 소양궐음경류주신체측면(少陽厥陰經流注身體側面). ${\ulcorner}$령추경맥(靈樞經脈)${\lrcorner}$적12경맥류주순서시태음양면경(的12經脈流注順序是太陰陽明經)${\longrightarrow}$소음태양경(少陰太陽經)${\longrightarrow}$궐음소양경적표리경락위주(厥陰少陽經的表裏經絡爲主). 수선매기류주태음양명경적이유(首先脈氣流主太陰陽明經的理由), 취시후천수곡정미화호흡대기결합이형성경맥지기(就是後天水穀精微和呼吸大氣結合而形成經服之氣). 지후맥기류주소음태양경(之後脈氣流注少陰太陽經), 설명순행태음양명경적후천영양물질전입한열경락이위신(說明盾行太陰陽陽明經的後天營養物質轉入寒熱經絡而爲寫薪), 기차맥기순해궐음소양경적(其次脈氣盾行厥陰少陽經的), 인위한열경락지화기피궐음소양경지풍기조절이후조절조습경락(因爲寒熱經絡之火氣被厥陰少陽經之風氣調節而後調節操濕經絡), 비여작반시(比如作飯時), 화기취시소음태양경(火氣就是少陰太陽經), 풍기취시궐음소양경(風氣就是厥陰少陽經), 정내지반취시태음양명경.(鼎內之飯就是太陰陽明經). ${\ulcorner}$령추음양계일월(靈樞陰陽緊日月)${\lrcorner}$ 적삼음삼양월별배속주요시추관합합관추순서(的三陰三陽月別配屬主要是樞關闔闔關樞順序). 저양배서적원인시개문화관문과정(這樣排序的原因是開門和關門過程). 재춘하(在春夏), 양경락지맥기여개문관문과정(陽經絡之脈氣如開門關門過程), 수착추관합합관추순서순행(隨看樞關闔闔關樞順序盾行), 재추동(在秋冬), 음경락지맥기여개문폐문과정(陰經絡之脈氣如開門閉門過程), 수착추관합합관추순행(隨看樞關闔闔關樞盾行).

  • PDF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 Ji, Yoon-Young;Lee, Hye-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