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성 추출물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9초

발효숙성생강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inger with aging and fermentation)

  • 서영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0-1187
    • /
    • 2017
  • 본 연구는 생강의 천연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쇄한 생강과 숙성 후 발효시킨 생강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활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생강 추출물의 pH는 6.68 산도는 0.39로 나타났으며, 생강을 발효숙성 시켰을 때 pH는 감소하였으나, 산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반 생강의 6-gingerol 함량은 $404.8{\mu}g/g$ 이었으며, 6-shoga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6-shogaol 함량은 $128.8-196.4{\mu}g/g$로 증가하여 발효숙성 과정 중 6-gingerol이 6-shogaol로 변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일반생강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유의차는 없었다. ABTS 활성소거능은 발효숙성 생강이 88.11-101.32%로 65.43%의 일반생강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이 10-20% 정도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특히 S. thermophilus로 발효한 생강에서 가장 높았다. 일반생강과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고 활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한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결과는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L. monocytogenes 균주에서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L. brevis로 발효시킨 추출물의 항균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그람음성균인 Salmonella spp. 균주에서도 일반생강에서는 clear zone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에서는 1.88-2.51 cm의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E. coli에서는 clear zone이 관찰되지 않았다. 최소억제농도인 MIC 결과 항균효과를 위해 발효숙성생강보다 일반생강에서 보다 많은 양의 시료가 요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생강을 숙성 후 발효시키면 천연기능성 식품소재로서 radical 소거 및 항균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발효 중 생강의 매운맛이 감소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식품산업에서 발효숙성생강을 이용할 때 항산화 및 항균성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제주도 자생식물 메탄올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thanol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 문영건;허문수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78-83
    • /
    • 2007
  • 제주도 자생식물의 80% 메탄올 추출물 10종의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였다. 실험 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음건한 후 세절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된 시료를 10% 농도로 희석한 후 어류 질병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을 하였고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실험은 각각의 시료를 0.1%, 0.5%, 0.8%, 1.0%, 2.0%로 희석하여 각 식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균 실험은 어류 질병미생물로 분류된 그람 음성균 12종과 그람 양성균 1종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두메꿀풀 꽃과 잎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풀고사리 잎과 돌잔고사리 잎, 들깨 잎, 들깨 열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큰천남성 뿌리나 왕모시풀 잎, 열매에서는 눈에 띄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 Hy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실험하였다. 각 식물의 80% 메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측정 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으며 2.0% 농도에서 두메꿀풀 잎과 열매 그리고 들깨 잎과 열매, 돌잔고사리 잎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와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BHT,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익모초 물 추출물의 위염 예방효과 및 소핵시험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 (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 of Leonurus japonicus Houttuyn against HCl/EtOH-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Genotoxicity Evaluation using Micronucleus Test)

  • 노종현;이현주;장지훈;양버들;우경완;김아현;서재완;김선영;조현우;정호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2-289
    • /
    • 2019
  • 본 연구는 에탄올과 염산으로 유도된 위염모델에 대해 익모초의 물 추출물이 위염예방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고, 안전성 평가를 위해 유전독성평가인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익모초 물 추출물은 음성대조군 대비 위에서 분비되는 $PGE_2$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염산과 에탄올 투여에 의한 점막 표피세포 및 선상피세포의 손상과 울혈을 충분히 예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익모초 물 추출물에 대한 소핵시험을 실시한 결과, 익모초 물 추출물은 소핵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익모초 물 추출물은 자체적으로 위염 예방효과를 나타냈지만 정확히 어떤 기전을 통해 예방하는지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익모초에 포함된 여러 단일 성분을 이용해 위염 예방평가를 실시하여, 위염에 대한 익모초의 효능과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주도 자생식물 열수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 문영건;최광식;이경준;김기영;허문수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64-169
    • /
    • 2006
  • 제주도 자생식물의 열수 추출물 10종의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였다. 실험 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음건 한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하여 어류 질병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각 식물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 하였다. 항균 실험은 어류 질병미생물로 분류된 그람 음성균 12종과 그람 양성균 1종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두메꿀풀 꽃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풀고사리 잎과 돌잔고사리 잎, 들깨 잎, 들깨 열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큰천남성 뿌리나 왕모시풀 잎, 열매에서는 눈에 띄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실험하였다. 각 식물의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으며 2.0%(20 mg/ml)농도에서 두메꿀풀 잎과 열매 그리고 들깨 잎과 열매, 돌잔고사리 잎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와 높거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뽕나무 추출물의 유전독성 및 돌연변이원성 (Genotox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xtracts of Morus alba L.)

  • 진효주;이현용;김종대;허문영;이진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17-225
    • /
    • 2005
  • 강원도 산지의 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를 건조하여 100% EtOH와 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및 EtOH추출물로부터 용매별 분획물들을 NIH/3T3에 대한 세포독성,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damage손상으로부터 유전 독성, in vitro micronucleus assay를 이용한 유전독성,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들의 NIH/3T3에 대한 세포독성은 0.5mg/ml 농도에서 약 80%의 생육활성을 나타냈다. 2)뽕나무 잎의 1차 추출물들은 comet assay에서 양성 대조구 대비 약 40% 정도의 유전독성을 보였다. 뽕잎의 EtOH 추출물에서 분획한 분획물 시료중 수용성 분획은 거의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hexan의 0.25mg/ml 농도의 분획물이 약 50%정도를 보였으며 다른 시료들은 이 보다 약한 독성을 보였다. 또한 뽕나무 줄기의 분획물 시료들 중에서 0.5mg/ml 농도의 chloroform 분획물이 양성 대조구 대비 가장 강한 50%의 유전독성을 보인것 외에 다른 시료들은 그보다 약한 독성을 보였다. 3) In vitro micronucleus assay를 이용한 유전독성은 재료의 1차 추출물은 거의 유전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EtOH 추출물의 재분획물인 시료중에서 0.5mg/ml의 농도의 hexan 및 chloroform 분획물은 MN의 발생 빈도가 음성대조구에 비하여 약 2배의 증가로 나타났다 또 뽕나무 줄기의 분획물 시료들에서 0.5mg/ml의 hekan, chloroform 및 EtOAc 분획물에서 MN이 관찰 되었으나 그중 chloroform 분획물 시료에서 더 많은 MN 발생을 보였다. 4)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실험결과 뽕나무 잎 1차 추출물들은 0.25mg/ml의 농도에서 TA98에 대하여 거의 돌연변이 현상이 없었고, EtOH 추출물로부터 재 분획한 BuOH 및 chloroform분 획물에서는 강한 돌연변이 현상이, 또 5mg/ml의 hekan 분획물에서는 더욱 강한 돌연변이 현상이 관찰되었다. TA100 strain에 대하여는 각 재료의 1차 추출물이나 분획들의 낮은 농도 (1.25mg/ml)에서는 돌연변이 현상이 매우 약하거나 거의 없었고, 0.25mg/ml의 1차 추출물들에서는 매우 약한 돌연변이가 나타났으나 이들의 EtOAc 분획물은 다소 강한 돌연변이 유발성이 관찰 되었다. 그러나 수용성 분획물은 두 균주에 대하여 전혀 돌연변이 유발성을 보이지 않았다. 5) 뽕나무 줄기로부터 조제한 시료중 수용성 분획물과 EtOAc분획물은 IA98에서 전혀 돌연변이 유발성이 없었으나 0.25mg/ml 농도외 물 추출물, EtOH 춘출물, hexan 및 chloroffrm분획물들이 약 40%증가한 복귀변이 콜로니가 관찰되었고, 이보다 농도를 증가시킨 물 추출물 및 BuOH 분획물에서도 같은 수준의 복귀변이 콜로니가 관찰 된 결과로부터 돌연변이 유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TA100에 대하여 뽕나무 줄기의 수용성 분획물은 전혀 돌연변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0.25mg/ml의 물 추출물, EtOH추출물, hexan 및 BuOH분획물들이 약 10%증가한 약한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농도를 5 mg/ml로 한 EtOAc 분획물은 26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뽕나무를 이용한 식용 제품생산을 고려할 때 추출물들의 제조와 선택을 가름하는 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되며 앞으로 in vivo test 등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천초근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장혜정;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9-394
    • /
    • 2005
  •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지혈촉진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진바 있는 천초근을 이용하여 항균성 및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색하여 보았다. 먼저 천초근의 뿌리성분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etate, methanol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항균성분을 추출하여 9종의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추출물의 농도를 250ppm, 500 ppm, 1,000ppm으로 달리하여 disc method로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애서 아주 약한 clear zone이 형성되긴 하였으나 거의 모든 균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clear zone이 형성된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항균효과가 크게 드러났다. 또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ethylacetate, chloroform, petroleum ether, 증류수 순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난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과 또 다른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한 상승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와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상승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이 Bacill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해 본 바 천초근 추출물의 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더 두드러지게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 72시간 동안 그 성장 억제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에서의 방부효과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Preservative: Preservative Efficacy of Terminalia chebula, Rhus japonica (gallut) and Cinnmomum cassia Extract in the Cosmetic Formular)

  • 조은미;배준태;표형배;이근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1
    • /
    • 2008
  • 본 연구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 내에서 천연 방부제로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별된 1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에 대한 paper disc법(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측정법(MIC)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자,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양성인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E. coli 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우수하였고, 계피 추출물은 효모균인 C. albicans와 곰팡이균인 A.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최종 선별된 3종 외 식물추출물은 효과가 없었다.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한 최적 조합비로 구성된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여 제형 내 방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 혼합 방부제와 유사한 정도의 방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오창석;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9-2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균 활성을 benzoic acid와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하여 총 페놀함량을 비교한 결과 ethyl acetate분획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항균활성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benzoic acid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Gram 양성균과 음성균간 항균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iquid culture에서 생육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800 ppm이상일 경우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일부 어병 세균에 대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oot Bark of Morus alba against Selected Fish Pathogenic Bacteria)

  • 목종수;송기철;최낙중;양호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1-226
    • /
    • 2001
  • 상백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규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약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상백피 추출물에 침지 시킨 사료의 항균작용 등을 검토하였다. 고체배지에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은 Steptococcus sp., Lactococcus garvieae 및 Staphylococcus sp. 등의 그람양성 세균에 대하여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람음 성세균인 Listonella anguillarum 및 Edwardsiella tarda에 대하여는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액체배지에서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19.8 $\mu\textrm{g}$/$m\ell$이었으며, 37.5~118.5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물 보여 그람양성세균에 대하여는 균 증식을 억제함은 물론 살균작용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최저발육저지농도는 790.0~1185.0$\mu\textrm{g}$/$m\ell$이었고, E. tarda에 대하여는 1185.0 $\mu\textrm{g}$/$m\ell$이었고, E. tarda에 대하여는 1185.0 $\mu\textrm{g}$/$m\ell$를 첨가하여도 균을 사멸시키지 못하였다. 사료를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에 침지시 적정 침지 시간은 3분이었고, 상백피 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는 그람양성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10.5~12.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 = 7.5757X + 4.6962 ($R^2$ = 0.9998)으로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골관절염 랫드 모델에서 계피의 연골보호 효과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Blume in a Rat Model of Osteoarthritis)

  • 김명환;강성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9-165
    • /
    • 2013
  • 본 연구는 내측반월판 절제와 전십자인대 단열로 유발된 랫드 골관절염 모델을 이용하여 계피 (Cinnamomum cassia Blume, 육계(肉桂)) 추출물의 연골손상 방지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골관절염유발 랫드 48마리를 군당 8마리씩 6군으로 음성 대조군과 골관절염 대조군, 체중당 diclofenac 2 mg 투여군, 계피 추출물 25 mg과 50 mg, 100 mg 투여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수술 1주 후부터 12주동안 투여하였다. 연골 소실과 관절의 불안정성은 계피 추출물과 diclofenac 투여군이 골관절염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병리조직학적 평가에서 연골의 퇴행은 계피 추출물 투여량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개선됨이 확인되었다(p < 0.01). 계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관절구조 퇴행성 변화의 감소와 Safranin-O 염색 정도의 용량 의존적인 증가를 보여 연골 퇴행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Diclofenac이 골관절염 진행에 있어 활성화된 caspase-3와 절단된 poly(ADP-ribose) 중합효소에 유도된 세포자멸사 표지율 증가에 별 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계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이들 세포자멸 표지자에 대한 반응세포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 < 0.05). 그러나, diclofenac과 계피 추출물 투여군은 5-bromo-2-deoxyuridine의 섭취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계피추출물이 항염활성과 항세포 자멸 활성을 통해 관절연골에 보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