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고 산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를 통한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향상 사례 (Interval-Based Sing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Pitch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 Case Study)

  • 김효진;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6
    • /
    • 2017
  • 본 연구는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및 음고 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의 인공와우이식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회기 당 35분, 주 2-3회씩 총 12회기의 개별 세션이 진행되었다.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동안 3도, 5도, 8도의 목표 음정을 중심으로 음고 변별 - 음고 모방 - 목표 음고를 포함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단계적으로 시행되었고, 프로그램 전후에는 음고 모방 및 노래 내 음고 산출의 정확도 변화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프로그램 참여 후 제시된 음고를 산출하는 정확도가 증가하고 노래부르기 시 산출된 음고가 기대 음고에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출 가능한 음고의 범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정 지각 특성을 반영한 단계적 접근과 다감각적 환경에서의 체계적 음악 정보 처리가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음악 지각이나 인공와우이식성인 대상군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연구 영역을 확장시키고,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억양과 음고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inging program using self-voice monitoring on the intonation and pitch production change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김성경;김수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75-83
    • /
    • 2020
  • 본 연구는 인공와우아동을 대상으로 자가음성 모니터링(self-voice monitoring)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억양의 개선과 음고 산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모집된 19명의 아동 중 참여기준을 충족하고 본인 및 보호자가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표현한 7명이 최종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CI 집단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연령의 건청 아동 6명을 모집하였다.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은 노래를 녹음하여 들어보고(listen), 음성의 음고 진행방향과 숨쉬기 구간 및 음질을 확인한(explore) 다음, 목소리를 수정하여 의도한 대로 재산출하는(reproduce)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는 문장과 노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문장은 발화시간과 억양 기울기 및 산출 음고의 주파수 변화, 노래는 프레이즈(phrase) 구간 내 평균 음고의 주파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율윤곽과 산출 주파수 범위를 측정한 후 건청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분석에서 인공와우 아동 집단의 사후검사 시 의문문의 문미 2음절의 억양 기울기 및 패턴이 건청 아동과 같이 상행하는 윤곽으로 변화되었으며, 노래 데이터에서는 음고의 도약 및 산출 음고의 주파수 범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이 억양의 개선과 음고 산출 정확도의 효과적인 중재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락화성(詩樂和聲)』의 성기지원(聲氣之元)에 관한 미학적(美學的) 고찰 (Aesthetic study on sungkijiwon of Siakhwaseong)

  • 이종진
    • 동양고전연구
    • /
    • 제56호
    • /
    • pp.209-239
    • /
    • 2014
  • 본 논문은 락률(樂律)의 근원이 되는 '성기지원(聲氣之元)'에 관한 미학적(美學的) 함의(含意)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고대(古代)로부터 락률(樂律)는 황종률(黃鍾律)를 기본률(基本律)로 삼았다. 황종률(黃鍾律)는 양률(陽律)과 음려(陰呂), 즉 십이율(十二律)로 구성된다. '성기지원(聲氣之元)'는 이러한 황종률(黃鍾律)의 구성에 근원적인 모종의 역할이 있었을 것이다. 락률(樂律)는 자연을 본받은 것이다. 락률(樂律)의 근본이 되는 자연은 인간에게 가장 온전하게 내재(內在)되어 있다. 따라서 황종률(黃鍾律)의 기원이 되는 '성기지원(聲氣之元)' 은 천지(天地)의 기(氣)를 온전히 내재한 인간의 소리에 근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기지원(聲氣之元)'는 곧 '성기지원(聲氣之元)'이다. '성기지원(성기지원(聲氣之元))'는 인간이 태어나면서 하는 첫 호흡(呼吸)의 호(呼)로, 이때의 소리는 불변의 음고(音高)를 지니고 있다. 이 음(音)은 인간의 본래성(本來性)을 온전하게 보존하고 있는데, 락률(樂律)에서의 성(聲) 음(音) 락(樂)은 이러한 인간의 본래성(本來性)이 성음(聲音)으로 발현된 것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성기지원(聲氣之元)'는 양률(陽律)과 음려(陰呂)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도수(度數)로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성기지원(聲氣之元)'는 '함삼위일(含三爲一)'인 태극(太極)의 원기(元氣)에서 비롯된다. 가장 본원적(本元的)인 도수(度數)는 1에서 비롯되고, 1을 내재(內在)한 기(氣)에서 황종(黃鍾)(율장(律長))이 산출된다. 다시 말해 태극(太極)의 1과 음(陰)의 1, 그리고 양(陽)의 1인데, 이는 태극(太極)을 중심으로 음양(陰陽)을 합친 3이면서 1이 된다. 마찬가지로 천(天) 1과 지(地) 1, 그리고 인(人) 1이 삼재(三才)의 3인데, 천지(天地)의 으뜸인 인(人)이 중심이 되어서 1이 된다. 율려(律呂)는 이러한 '함삼위일(含三爲一)'의 도수(度數)를 지닌 기준음(基準音)이 분화(分化)를 거치면서 12율(律)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락률(樂律)의 근원 또한 중화미(中和美)에 근원한 인본주의(人本主義)에 바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