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은나노와이어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은나노와이어-그래핀옥사이드 하이브리드 투명 전도성 박막의 제작 (Fabrication of Silver Nanowire-Graphene Oxide Hybrid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with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 김주태;우주연;한창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03-909
    • /
    • 2015
  • In this study, we used GO (graphene oxide) in order to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Ag NWs (nanowires) and substrates. By using a mixture solution of GO and Ag NW, a vacuum filtration process was used to fabricate a 50nm diameter thin film. Next, by using a light annealing process,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stability of Ag NW network was improved without any other treatm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g NW - GO hybrid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was characterized in terms of a bending test, resistance and transmittance test, and nanoscale imaging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실크 스크린 프린팅 기법을 적용한 용액 기반의 탄소나노튜브와 은 나노 와이어 코팅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olution-based Carbon Nanotube and Silver Nanowire Coating Technology using Silk Printing Technique)

  • 김무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33-39
    • /
    • 2023
  • 나노 크기의 물질은 여러 기판에 코팅이 가능하며, 이 소재는 투명하며, 전도성이 있기 때문에 전자소자의 투명전극이나 전원 공급용 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CNT와 Ag 나노와이어를 실크스크린 기법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코팅하였으며, 5번까지 형성한 샘플을 제작하여, 광학 및 전기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크스크린 코팅된 샘플 표면은 코팅 방향에 의한 자국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코팅한 횟수에 따른 투과도 및 표면 저항의 경향성을 조사하였다. 코팅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투과도 및 표면 저항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투과도의 경우 2번과 5번에서 변화폭이 컸으며, 이러한 변화는 Ag 나노와이어 코팅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700nm를 기점으로 이전 파장 영역에서는 파장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면 저항은 1번 코팅했을 때 9Ω/cm2 에서 5번 코팅을 진행하였을 때 0.856Ω/cm2 으로 낮아졌다. 투과도와 유사하게 Ag에 의하여 저항값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Ag 나노와이어의 Ag 농도 및 다른 방법으로 코팅하여 투명도가 높은 CNT와의 융합을 통하여 원하는 투명 전극을 구현하여 전자소자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MBE 법에 의해 성장된 고종횡비 InGaN 나노와이어 광촉매 (High aspect-ratio InGaN nanowire photocatalyst grown by molecular beam epitaxy)

  • 안소연;전대우;황종희;라용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3-148
    • /
    • 2019
  • 우리는 분자선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법을 사용하여 광전기화학적 물분해 수소생산용 고종횡비 GaN 기반 나노와이어를 Si 기판 위에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분산형 분광법(EDX)은 p-GaN:Mg 및 p-InGaN 나노와이어가 고밀도와 함께 수직으로 성장 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p-InGaN 나노와이어의 발광 파장을 552 nm에서 590 nm까지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p-InGaN 나노와이어는 태양광을 통해 외부 전위 없이 물분해가 가능한 수소생산용 광촉매로써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은나노와이어·전도성고분자 하이브리드 필름을 이용한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lexible Transparent Capacitive Pressure Sensor Using Silver Nanowire/PEDOT:PSS Hybrid Film)

  • 안영석;김원효;오해관;박광범;김건년;좌성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연하고 투명한 특성을 지닌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를 제안하여 기존의 X, Y 좌표 위치 인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3차원 인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제작하였다.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는 상부 기판, 압력 감지층, 하부 기판의 3 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은나노와이어 전도성고분자 하이브리드 필름이 상부 및 하부 기판으로 사용되었다.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의 터치 면적은 5인치이며,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11개의 driving line과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19개의 sensing line으로 구성되었다. 은나노와이어 전도성고분자 하이브리드 필름 및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계적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굽힘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작된 은나노와이어 전도성고분자 하이브리드 필름은 평균 투과율 91.1%, 평균 탁도 1.35%로서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었고, 평균 면저항은 $44.1{\Omega}/square$이었다. 굽힘 시험 결과 은나노와이어 전도성고분자 필름은 곡률 반경 3 mm까지 저항의 변화가 거의 없어 매우 우수한 유연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000회의 반복 굽힘 피로 시험 결과, 저항의 증가는 매우 미미하여, 유연 내구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의 평균 투과율은 84.1%, 탁도는 3.56%이었다. 또한, 직경 2 mm의 팁으로 눌렀을 경우, 누르는 압력에 따라 센서가 잘 작동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멀티 터치 및 멀티 포스 터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유연 투명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는 유저인터페이스, 사용자 경험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액증 전기폭발에 의한 금속 나노분말 제조 (Preparation of the metallic nanopowders by wire explosion in liquid media)

  • 조주현;김병걸;이홍식;임근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38-1539
    • /
    • 2006
  • 직경 0.3mm, 길이 40mm의 은 와이어를 증류수 중에서 전기폭발(wire explosion)을 발생시켰다. 전기폭발에 의해서 액체 중에 충격파 발생에 의한 공간의 형성과 더불어 금속 증기 및 플라즈마가 발생하고, 증기의 응축에 의해서 나노분말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성된 나노분말은 생성공간의 붕괴와 더불어 액체속으로 자연스럽게 분산되었다. 제조된 은 나노분말은 비교적 잘 분산된 구형의 분말이었으며 비표면적은 $16.2m^2/g$(평균입도 35nm)을 나타내었다.

  • PDF

게르마늄 응축 공정의 모델링과 나노와이어 PMOSFET 응용 (Process Modeling of Germanium Condensation and Application to Nanowire PMOSFET)

  • 윤민아;조성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39-4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게르마늄 응축 공정을 모델링하고 공정을 적용한 나노와이어 구조의 게르마늄 PMOSFET의 특성을 소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게르마늄 응축 공정 과정에서 얻게 되는 벌크 영역에서의 게르마늄 농도($C_B$)에 대한 실리콘 게르마늄-실리콘 산화막 계면에서의 게르마늄 농도의 비율($C_S$)은 약 4.03, 해당 공정 온도에서 게르마늄 원자의 유효 확산 계수($D_{eff}$)은 약 $3.16nm^2/s$으로 추출되었다. 나아가, 게르마늄 응축 공정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실리콘 코어 상에 얇은 게르마늄 채널을 갖는 나노와이어 채널 구조의 PMOSFET을 설계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영역을 실리콘으로 혹은 게르마늄으로 하는 채널을 갖는 소자에 비하여 실리콘 코어-게르마늄 채널의 동축 이종접합 채널을 갖는 소자가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은 나노와이어 특성에 따른 커피 링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ffee-ring Effect of Silver Nanowire with Different Parameters)

  • 강기호;;성백훈;이형동;변도영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20
    • /
    • 2017
  • A coffee-ring effect is from capillary flow by different evaporation rate across the droplet. The capillary flow tends particles to accumulate at the edges of the droplet and makes the ring-shaped stain pattern. These coffee-ring formation and suppression of coffee-ring have been a critical role in printing and coating technologie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experimental study on coffee-ring effect of silver nanowire inside the evaporating sessile droplet. Size and concentration effect of nanowires at coffee-ring effect has been investigated. From the coffee-ring, we observed the regimes of connected rings and disconnected ones and measure the resistivity of single ring pattern with different nanowire length.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은 나노 와이어 필름 전기적 절연 (Electrical Isolation of Ag Nanowire Film using Femtosecond Laser)

  • 윤지욱;박정규;다니엘뵈머;세바스찬잰더;조성학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4-338
    • /
    • 2012
  • Electrical isolation of Ag nanowire, which is one of the candidates as electrode for display devices, on polymer with femtosecond pulse laser has been investigated. Line patterning to Ag nanowire with various pulse energy and scan speed were experimented. Duo to the results of the line patterning experiment, we fabricated the isolated squares and measured electrical resistance. The profile of the selectively ablated area was analyzed with AFM(Atomic Force Microscope). The width of the patterned line was $1.8\;{\mu}m$ and the depth was $1.6\;{\mu}m$. We demonstrated electrical isolation of the Ag nanowire using femtosecond laser by evaluat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ample between isolated and opened area.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은 나노와이어 코팅 전도사 개발 (The Development of Electro-Conductive Threads Coated with Silver Nanowires for Use in Wearable Devices)

  • 김지민;윤창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74-684
    • /
    • 2021
  • Recent advances in electronic technology have engendered a need for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materials in clothing. Electro-conductive fibers are expected to be a crucial element of wearable de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develop electro-conductive threads and cables using silver nanowi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 nanowire, in which electro-conductivity can be imparted via heat treatment, we prepared conductive threads by coating nylon yarn with silver nanowires and curing at temperatures of 140℃, 150℃, and 160℃. Conductive threads cured at 140℃ had the highest conductivity, followed by threads cured at 160℃ and 150℃ respectively. The order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hreads after tensile testing wa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order of the conductivity of the threads. When we evaluated the sensing performance of electro-conductive cables fabricated from these threads, the cables manufactured from threads cured at 140℃ and 160℃ were found to function normally within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ll the cables operated normally in illuminance and electrocardiogram sensors. Thus, we believe that threads made of silver nanowire have su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to be utilized as wearable sen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