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점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 of Addition of Fractionated Milk Fats on Fat Composition and Melting Behavior of Cocoa Butter (유지방 획분 첨가가 코코아 버터의 지방조성과 용융거동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Yong;Roh, Hoe-Jin;Oh, Deok-K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3
    • /
    • pp.482-491
    • /
    • 1997
  • The effect of addition of fractionated milk fats on the composition and melting behavior of cocoa butter was investigated. High melting fraction (HMF) of milk fat fractions had the highest contents of long chain fatty acid $(C16{\sim}C18)$ and saturated fatty acid followed by medium melting fraction 1 (MMF1), medium melting fraction 2 (MMF2), anhydrous milk fat (AMF), and low melting fraction (LMF) in a decreasing order. MMF2 had the highest contents of the short chain fatty acid $(C4{\sim}C10)$ and medium chain fatty acid $(C12{\sim}C14)$ followed by AMF, HMF, MMF1, and LMF in a decreasing order. When the fractionated milk fats were added to cocoa butter, the long chain fatty acid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fractionated milk fats.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decreased only when the LMF was added. The higher content of long chain triglyceride and the lower contents of short chain triglyceride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 were obtained from the fractionated milk fat of higher melting point. When the fractionated milk fats were added to cocoa butter, long chain triglyceride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the fractionated milk fats. The melting points of cocoa butter, AMF, HMF, MMF1, MMF2, LMF were $33.3^{\circ}C,\;31.2^{\circ}C,\;40.6^{\circ}C,\;37.4^{\circ}C,\;33.5^{\circ}C$, and $6.5^{\circ}C$, respectively. Cocoa butter had the highest content of solid fat followed by HMF, MMF1, MMF2, AMF, and LMF in a decreasing order. When the fractionated milk fat was added to cocoa butter at various temperatures, the solid fat content in the mixture of fractionated milk fat and cocoa butt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fractionated milk fa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anhydrous milk fat and fractionated milk fats had a good compatibility with cocoa butter.

  • PDF

Effects of Temper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Slip Melting Point of Fats (처리 온도 및 시간이 고형 유지의 상승 융점에 미치는 영향)

  • Yi, Young-Soo;Chang, Young-Sang;Shin, Zae-I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1
    • /
    • pp.19-24
    • /
    • 1991
  • Among the conditions changes for the slip melting point of temp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treated below at $4^{\circ}C$, slip M.P. were not effected by tempering time. But slip M.P. of lard and palm oil had fallen treated at $10^{\circ}C$, the reason was that low melting triglycerides did not form the perfect crystals. Therefore, in order to measure the slip M.P. should be decrease the free energy and from stable crystallization of fats. Recommendable tempering temperature was treated at $4^{\circ}C$.

  • PDF

Fabrication of Bi based solder glass (Bi계 저융점 유리의 제조)

  • 이창식;정경원;최승철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6 no.4
    • /
    • pp.55-59
    • /
    • 1999
  • One of lead free glass, Bi based solder glass is investigated for electronic packaging application. The melting temperature of glass about $550^{\circ}C$ at Bi based glass (70wt% $B_2O_3$ + l5wt%$B_2O_3$ + 8wt% $SiO_2$ + 2wt% $P_2O_5$ + 4wt% $A1_2O_3$ +lwt% ZnO) and varied with $P_2O_5$ content in this system. Crystallized glasses were obtainded after 1hr heat teratment at $450^{\circ}C$ with 10wt% of $P_2O_5$ addition. Much higher melting temperature was observed at $B_2O_3$ rich composition area.

  • PDF

Reflow properties of the lead-free solder with low melting temperature (저온 접합용 무연 솔더의 reflow 공정 특성)

  • Yu, A-Mi;Jang, Jae-Won;Kim, Mok-Soon;Lee, Jong-Hyun;Kim, Jun-Ki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76-76
    • /
    • 2009
  • 눈부신 전자산업의 발달로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다기능/경박단소화 되고 있어, 고밀도 실장 기술인 양면 표면실장과 고집적 패키징 기술인 패키지 적층 공정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양면 표면실장 및 패키지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저온 접합용 무연 솔더 즉, $183^{\circ}C$(Sn-37Pb 공정 솔더 융점)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저온 무연 솔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미세피치 적용 분야에 있어 ACF/P를 이용한 COG 접속 분야 외에도 최근 저온 접합용 무연 솔더를 이용한 접속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접속피치 미세화에 대응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온 무연 솔더 paste 제조 및 공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대표적인 저온 무연 솔더 조성은 Sn-Bi계($138^{\circ}C$ 융점)와 Sn-In계($120^{\circ}C$ 융점)이다. 하지만, 이들 조성의 신뢰성 등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무연솔더 조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137^{\circ}C$의 융점을 갖는 Sn-57.6Ag-0.4Ag 저온 무연 솔더 paste를 $217^{\circ}C$의 융점을 갖는 Sn-3.0Ag-0.5Cu 솔더 paste와 비교하여 인쇄성, reflow 특성, void inspection, 미세조직 관찰 및 underfill 적용 등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Rapid Manufacturing for Jewelry Master Patterns (주얼리용 마스터패턴의 쾌속제작에 관한 연구)

  • 주영철;이창훈;송오성;송미희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67-69
    • /
    • 2002
  • 주얼리 제품에서 마스터패턴 제작비는 최종제품의 20% 정도로 전체 주얼리제품 시장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기존 주얼리 제품을 제작하는 일반 공정인 ‘디자인 시안→상세도면 제작→1왁스형 제작→석고 플라스크 제작→은 마스터패턴의 제작→왁스패턴의 대량생산→정밀주조→최종제품’의 복잡한 단계를 ‘CAD 디자인 시안→쾌속조형기 듀라폼 음각몰드 제작→저융점 합금으로 마스터패턴 제작→정밀주조→최종제품’의 공정으로 단순화하면서도 대폭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신공정을 제안하였다. 주요공정인 selective laster sintering (SLS)형 쾌속조형기(rapid prototype: RP)를 이용해서 분해온도가 190℃인 듀라폼 분말로 미리 3D CAD로 설계한 직경 20mm의 구, 링 요소를 각각 상하형의 합체형 몰드와 일체형 몰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몰드에 융점이 70℃인 Pb-Sn-Bi-Cd 저융점 합금을 주입하여 마스터패턴을 제조하였다. 완성된 마스터패턴은 목표형상에 비해 치수 변형율이 2% 이내로 우수하고 주입공정 및 후가공공정이 용이하여 주얼리용 마스터패턴으로 응용이 가능하였다.

Melting and Melt Viscosity Behavior of Wet-PAN Systems (물을 함유한 아크릴 중합체의 용융 및 용유점도 거동)

  • 오세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2
    • /
    • pp.136-143
    • /
    • 1993
  • PDSC(pressuriz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물 또는 물 -DMF(N,N-dimethylformamide) 혼합물을 함유한 아크릴로니크릴 중합체(wet-PAN)의 융점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wet-PAN 용융체의 점도측정에 적합한 모세관형 점도계를 제작하여 전단속도 및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를 고찰하였다. 물에 의한 wet-PAN의 융점 및 용융점도 는 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근적으로 감소하여 25wt%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물(25wt% 기준)의 일부를 DMF로 대체하였을 경우에는 융점이 감소하였다. 한편 wet-PAN의 용융점도는 power-law 거동에 준하였으며 물계에서는 power-law 지수(n)가 0.16(19$0^{\circ}C$)~0.18(17$0^{\circ}C$)인데 비하여 물(95)~DMF(5) 혼합물계에서는 0.24(175$^{\circ}C$)~0.25(16 5$^{\circ}C$)로서 점도의 전단담화거동이 약해졌으나 흐름의 활성화에너지는 다소 증가 하였다.

  • PDF

A Compositional Design of Low Melting Lead-free Glass (저융점 Lead-free glass의 조성설계)

  • Lee, Young-Hun;Choi, Byung-Hyun;Kim, Sei-Ki;Lee, Mi-Jai;Lee, Hong-L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453-454
    • /
    • 2005
  • PDP에 사용되는 유전체, 격벽재, 봉착재 등의 glass들은 모두 PbO를 다량 함유하는 저융점 유리조성계로 되어있다. 최근 환경규제에 따라 Pb 대체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 유전체를 겨냥한 저융점 이면서 무해한 3성분계 Pb-free 유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SnO 계 유리와의 혼합 용융에 의한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유리로서의 고유물성과 응용용도별 특성을 함께 고찰하였다.

  • PDF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Polyester Yarn (리싸이클 폴리에스터사의 물리적 성질)

  • Lee, Sun-Young;Won, Jong-Sung;Hahm, Wan-Gyu;Lee, Seu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73-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리싸이클 방법에 따른 리싸이클 폴리에스터사의 물리적 성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료로는 물리적 리싸이클 방법과 화학적 해중합을 통한 리싸이클 방법을 사용한 폴리에스터사를 사용하였다. 리싸이클 폴리에스터사의 표면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SEM을 이용하였고, 열적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 DSC를 이용하였으며, 미세 구조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XRD 분석을 하였고, 역학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 인장강도와 절단신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리싸이클 방법에 따라 Tg, 결정화 온도, 융점과 융해열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화학적 리싸이클 PET사는 Virgin PET사보다 Tg가 약간 상승하였고, 승온 시 결정화 온도는 하강하였으며, 융점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중합에 의해 PET의 비결정영역의 고분자 사슬 간의 거리가 좁아져 더 높은 Tg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물리적 리싸이클 PET사의 융점과 융해열은 화학적 리싸이클 PET사의 융점과 융해열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정화도에서는 리싸이클 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는 리싸이클 공정이 폴리에스터의 결정영역 변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의 인장강도는 리싸이클 PET사는 virgin PET사보다 약간 더 낮았고, 물리적 리싸이클 PET사와 화학적 리싸이클 PET사는 비슷하게 나타났고, 절단신도는 virgin PET사, 물리적 리싸이클 PET사와 화학적 리싸이클 PET사 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ithmooth Based Glass System for Transparent Dielectric in Plasma Display Panel ($Bi_2O_3-ZnO-SiO_2$ 유리계의 PDP 투명유전체에 적용 가능성)

  • 전재삼;차명룡;정병해;김형순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6-196
    • /
    • 2003
  • 현재 PDP(Plasma Display Panel) 상판의 유전체층은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한 저융점 유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융점을 낮추기에 용이한 PbO계가 주 성분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최근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Pb-free을 추구하는 새로운 유리조성의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PDP의 격벽과 봉착용 조성으로 많이 연구되어진 비스무스계 유리를 고려하여 PDP의 투명유전체용 조성을 찾고자 한다. Bi$_2$O$_3$-ZnO-SiO$_2$3원계를 기본으로 하는 유리조성에 유리망목형성제등을 첨가하여 열적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적특성은 DTA를 이용하여 유리 전이 점(Tg) 및 융점(Tl)등을 측정하였고 TMA를 이용하여 선팽창계수(CTE)를 측정하였으며 유리섬유를 제조한 후 Littleton softening point (Ts)를 측정하였다. 광학적 특성은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스크린프린팅 후 54$0^{\circ}C$~$600^{\circ}C$에서 1-2 h동안 소성하여 투광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열적특성으로는 400~5$50^{\circ}C$의 Tg, 450~$600^{\circ}C$의 Ts 및 5~11$\times$$10^{-6}$K의 CTE 값을 나타 내었고 광학적 특성으로 투광성은 양호한 특성(60% 이상)을 나타내었다. Bi$_2$O$_3$ 계를 현재 PDP의 투명유 전체에 적용시키기에는 유리용융시에 높은 점도와 환원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열적특성과 광학특성면에서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향후 연구를 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 PDF

Melting Behavior of Compound of 2 kinds of Latent Heat Storage Materials (2종류 잠열축열재의 혼합물에 대한 융해거동)

  • Yu, Jik-Su;Horibe, Akihiko;Haruki, Naot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207-207
    • /
    • 2011
  • 본 논문은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중온온도영역($100{\sim}250^{\circ}C$)에서의 패열을 잠열축열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을 목적으로 잠열축열재인 에리스리톨와 만니톨 그리고 이것들을 혼합한 혼합물에 대한 조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만니톨에 에리스리톨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융해 응고온도가 조정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이때 에리스리톨과 만니톨 그리고 이것들의 혼합물의 융점과 잠열량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시험관안에 상변화물질을 충전하여 융해 응고거동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 된다. DSC측정결과에서는 만니톨의 함유량이 50~60mass%에서는 3개의 융점, 70~90mass%에서는 2개의 융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관을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는 만니톨의 함유량에 따라서 각 각 다른 융해 응고거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