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질특성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meat quality using visible light (가시광을 이용한 육질의 비파괴적 측정에 관한 연구)

  • Maeng, Gab-joo;Lee,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48-250
    • /
    • 2009
  •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meat quality, we performed experiment using optical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meat quality was measured by using spectrum analysis and we can obtain the meat quality by experiment value of distribution of meat and fat.

  • PDF

생봉독처리에 의한 비육돈의 도체 및 육질 특성

  • Choe, Yang-Il;Jo, Seong-Gu;Jo, Hyeon-Jeong;Lee, Jang-Geol;Park, Gi-Su;Jang, Gye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15-118
    • /
    • 2005
  • 1. 도체특성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봉독 1처리구와 2처리구의 경우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도체중, 도체율이 증가하였으며, 등지방두께도 두꺼워졌다. 이러한 도체특성은 도체등급을 향상시켜 A와 B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육질특성과 PSE육 발생율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봉독 1처리구와 2처리구의 경우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등심육의 일반성분중 지방함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pH와 보수력이 높고, 육즙손실과 가열감량이 낮아 우수한 육질특성을 나타냈다. 그 외 주관적 판정의 마블링 점수가 높았고, 육색측정에서도 진한 적색을 나타내어 우수한 외관을 보여주었다. PSE육 발생율에서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3개 생봉독처리구에서 발생율이 감소했는데, 특히 생봉독2처리구가 낮았다.

  • PDF

Investigati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by Spectroscopic Methods in Visible Region (광학적 방법에 의한 육질 특성 조사)

  • Maeng, Gab-Joo;Hwang, Dae-Seok;Lee,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52-454
    • /
    • 2007
  • 가시광을 사용하여 시중에 시판되는 고기 육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 실험을 수행 하였다. 고기 육질의 특성은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540-580nm 영역에서 myoglobin의 분포에 따라 흡광도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기 육질에서 살코기와 지방의 분포를 통해 간편하게 고기육질 특성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한우육의 등급 및 저장기간에 따른 육질특성

  • Lee, Ui-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3.06a
    • /
    • pp.95-117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육의 육질등급과 저장기간에 따른 육질 및 저장특성과 맛성분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도축 24시간 후 도체등급판정을 실시한 한우 36두의 등심부위를 시료로 취하여 $2^{\circ}C$ 냉장실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육질등급에 따른 도체 특성에 있어서 등급간의 지방두께,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량등급은 차이가 없었으며, 육색과 지방색, 성숙도 등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1등급육이 3등급육에 비하여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육은 3등급육에 비하여 지방함량(9.87${\pm}$2.23%)이 높았으며, 수분함량(67.75${\pm}$l.63%)이 낮았으나(p<0.05), 단백질함량은 육질등급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축 24시간후의 L, b, h-값은 등급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a와 C-값은 2등급육이 다른 등급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L, a, b-값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pH는 육질등급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1등급육은 3등급육에 비하여 드립감량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감량은 등급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1등급육이 가장 적은 가열감량을 나타냈다. 보수력은 1등급육이 2, 3등급육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근절길이와 콜라겐 함량은 등급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단력값은 3등급육이 1, 2등급육에 비하여 다소 높은 전단력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등급간에 차이가 없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합에 따라 전단력값은 점차적으로 낮아졌고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1등급육이 2, 3등급육에 비하여 TBA가가 높았고, VBN함량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가와 VBN함량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풍미는 육질 등급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1등급육이 3등급육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Pork Quality and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between Jeju Black Pig and Domesticated Pig Breeds (제주 개량 흑돼지와 국내에 도입된 주요 돼지 품종의 육질 특성 및 근섬유 특성 비교)

  • Ko, Kyong Bo;Kim, Gap-Don;Kang, Dong-Geun;Kim, Yeong-Hwa;Yang, Ik-Dong;Ryu, Youn-Chu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5 no.5
    • /
    • pp.467-473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the pork quality and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Jeju black pig (JBP) and domesticated pig breeds, including three-way crossbred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LYD), Berkshire (B), Duroc (D), Landrace (L), Meishan (M), and Yorkshire (Y) pigs. JBP had the lowest carcass weight among the pig breeds (p<0.05) and its NPPC marbling score was lower than the other domesticated pig breeds (p<0.05), except for M. M had the highest value for backfat thickness among the pig breeds (p<0.05), whereas its NPPC marbling score was the lowest (p<0.05). The pH values were higher in JBP and B at 45 min and 24 h postmortem, respectively, but LYD and M had the lowest pH values at 45 min and 24 h postmortem, respectively (p<0.05). M had a higher lightness and lower redness than the other breeds (p<0.05). Moreover, M had the highest drip loss among the pig breeds (p<0.05), whereas D had the lowest drip loss and the highest redness (p<0.05). In terms of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JBP and LYD had the largest type IIB fibers (p<0.05). The fiber number and area composition of type I fibers were higher in JBP than the others (p<0.05) however type IIA fibers were lowest in JBP among the pig breeds (p<0.05). Overall, our results indicate that JBP provided better pork quality compared with M, but the carcass trait and pork quality of JBP were not better than LYD and D, respectively.

돼지 전지 부위의 주요 근육별 육질특성

  • Kim, Jin-Hyeong;Kim, Yeong-Tae;Park, Beom-Yeong;Jo, Su-Hyeon;Hwang, In-Ho;Kim, Dong-Hun;Lee, Jo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94-296
    • /
    • 2004
  • 본 연구는 전지 부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새로운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전지 부위에서 8개 근육에 대한 육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근육별 물리적 특성과 육색특성을 비교해 보면, IS와 SB 근육이 육즙 손실량이 적고, 연하며, 육색이 붉은 것으로 나타나, 신선육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지 부위에서 근육을 분리할 때 가장 경제적이고 적절한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고 근육 특성에 따른 요리방법의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Po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from Domesticated Pig Species (국내에 보급되어 이용 가능한 돼지 품종의 부위별 육질특성 탐색)

  • Kang, Hyun-Sung;Seo, Kang-Seok;Kim, Kyung-Tai;Nam, Ki-Chang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1 no.6
    • /
    • pp.921-927
    • /
    • 2011
  • To compare pork quality from different pig species domesticated for Korean consumers,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5 different pure breeds of Landrace (L), Yorkshire (Y), Duroc (D), Berkshire (B), and Chester White (C) were determined from the 3 parts of loins, butts, and bellies. The fat content of loins was higher in breed D than in the other breeds, while that of butts and bellies was higher in breed B. The CIE color $a^*$ and $b^*$ values of the loins and butts from breed C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breeds, but the color values of the belly par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breed due to the high fat accumulation. The drip loss and cooking los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eat parts: breeds D and B were inferior in loins and butts but superior in bellies. The lipid oxidation of raw meat did not increase during the 7 d storage. The cooked butts of breed C had les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values than those of the other breeds at 7 d, and the cooked bellies of breeds D and B had less. Moreover, there were only minimal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by pork breed and part. From the view points of the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analysis of pork from different pig species, it is estimated that breed D had better meat quality in the loin part and breed B had better meat quality in the butt. The belly meat quality of breed C showed the least value. Although the meat quality of pig species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s and it was difficult to compare the meat quality of a part using the meat quality parameters of another par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meat quality of different parts of pig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