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희

Search Result 36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Historical Transition and Current Meaning of Traditional Language Plays - Focusing on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 (전통적 언어유희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적 의의 - 한국 재담(才談)과 중국 상성(相聲)을 중심으로 -)

  • Jiang, Xiao-Qia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7
    • /
    • pp.61-94
    • /
    • 2018
  • This article examined that the historical changes and current significance of the Jaedam(재담) and the Xiangsheng(相聲),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guage games. Both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are representative language games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laughing. The origin of the Jaedam can be traced back to Uheui(우희). Uheui has been called Changyouxi in China, Bae Woo-hee, and Jo Hee in Korea. Uheui is the most traditional language game and a variety of performances were derived from its spreading and inheriting process. Among them,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can be said to be a piece of art that has successfully inherited Uheui tradition. From the late 18th century, Korean Jaedam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performance arts, and became highly active in many performance by professional joker Park Chun-jae and other performers. With the development of gramophone recor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Jaedam was mainly made on the theater stage and radio. At this time, the new performance art of 'Mandam(만담)' was derived from the Jaedam, which focused more on satire current events and criticizing the social situation. Mandam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and then extinct in the 21st century. The jaedam have been handed down only in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so far. Meanwhile, Chinese Xiangsheng, which was built in the mid-19th century, a bit later than Korean Jaedam, was initially considered to be a vulgar art of the lower class, but finally became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mid-20th century, Xiangsheng was transformed into a new character, which mainly deals with social praise and edification of the masses. But since 'New Xiangsheng' does not focous on a satire on social conditions, the humor has been reduced. In the early 21st century, Xiangsheng was on the verge of extinction just like Mandam, but through the efforts of young actors to revive tradition, another reformation of this art was made to return to tradition and small theater. Currently, the 'traditional Xiangsheng', which has returned to tradition, is once again receiving the love and support of the Chinese audience.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have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history and recruitment, but they are now in different fates. There is also a great deal in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 content and form of the two arts. In the case of Xiangsheng, it is one of the traditional folk art forms which is still loved by the Chinese people 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Jaedam as independent performance arts has disappeared and now only can be seen in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Korean mask theater'. The fact that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have undergone similar changes in their spreading and inheriting process, while Korean Jaedam have disappeared and Chinese Xiangsheng is well preserved. The reas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The Method of the Cultivation of Taste and the Possibility of the Edification of Personality & the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It: The Approach to Analyzing the Examples of the Judgment of Negative Taste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32-33) (취미 도야의 방식과 이를 통한 인성의 교화 및 문화발전의 가능성: 칸트의 『판단력비판』 §§32-33 부정적 취미판단의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Yang, Hee-J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17
    • /
    • pp.139-167
    • /
    • 2017
  • This essay attempts to reveal how taste spontaneously cultivates and why it is necessary for cultivating taste to edify our personality and to develop culture. It is a key of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that taste always reflects its judgment through pleasure. Because the grounds of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judgment of taste are found, whenever taste tests the validity of its own judgment, the so-called 'delight of discovery' makes taste cultivate itself. For having the moral personality, we need to practice spontaneously the morality of our own behaviour and for judging whether an artwork to represent the period is succeeded or not, we need to have a high insight to select the cultural heritage. But the autonomous thinking can delightfully be made a habit, judging the beauty of artworks. In the main body of this essay, it is determined from the three examples of the negative judgment of taste which Kant suggested in deduction. According to Kant, the negative judgment of taste means that the beautiful work is displeased, but what it asserts is that taste is cultivated. I formalize the methods of reflection of taste revealed in three negative judgments of taste into'resisting', 'indicating of error', 'self-retracting'.(Chapter 2) And from this, I emphasize the necessity to cultivate taste in the way that these methods of the cultivation of taste can affect building our personality by stimulating our reason to have interest in moral(Chapter 3) and in the way that taste directly judges the product of cultural succession.(Chapter 4) In the end of last chapter, I examine further essentially the method of the reflection of taste, to inquire into how to enable it.(Chapter 5) Especially, I try to illuminate its grounds through Schiller's concept of the "impulse of amusement(Spieltrib)", because his explanation helps u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taste's delight of discovery. Although the abilities of mind conflict with each other, taste has the characters that it reflects to encourage them for each other and that it is vitalized by its own activity. We, as it were, can pleasantly handle two tasks, because taste makes the impulse of amusement from conflictive impulses in mind. In conclusion, I state that we have to experience directly the impulse of amusement like creative artist, because it is maximized from creation.

The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m, Gyu-Hong;Lee, Jong-Ho
    • 한국산학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57-77
    • /
    • 2006
  • 모바일 인터넷 시장은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인터넷 환경과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연구되어 왔던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모바일 환경에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화한 후,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을 검토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들과 신뢰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용성, 용이성, 이동성, 유희성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용성, 용이성, 신뢰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ersona of Digital Space for Avatar Design (아바타 기획을 위한 디지털 공간의 페르소나)

  • Lee, Don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9 no.4
    • /
    • pp.33-43
    • /
    • 2009
  • The Digital Space that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with the imagination of utopia is entering upon the new phase no more playground than the space of cre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sona of digital space included the digital game and the virtual world.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persona formation processes -creation, activity, death phase- and interpret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This is a valuable study for avatar design in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 PDF

Plasmid-DNAgram : Anagram Solving by Molecular Computing Based on GFP-Expressing Plasmid DNA (Plasmid-DNAgram : 녹색형광단백질 발현 Plasmid DNA 기반 분자컴퓨팅에 의한 언어 퍼즐 문제 해결)

  • Kim, Su-Dong;Lee, Eun-Seok;Zhang, Byoung-Ta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293-299
    • /
    • 2003
  •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다라 생체서열과 언어 사이의 대응 관계가 부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Lewis Carroll의 언어 유희 사례를 컴퓨터생물학의 측면에서 재조명하고, Carroll이 제시한 문제 중에서 간단한 anagram 문제의 해결을 다루고자 한다. 우선 DNA 컴퓨팅의 방법론을 적용한 DNAgram의 개념을 확장하여 plasmid-DNAgram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이 개념을 형광단백질에 대한 DNAgram의 개념을 확장하여 plasmid-DNAgram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이 개념을 형광단백질에 대한 FRET(fluorescent resonance energy transfer)분석기법의 응용 사례인 cameleon 형광단백질에 대한 FRET 분석기법에 적용함으로써 anagram 문제의 어휘론적, 구문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 측면에 대응하는 바이오분자 컴퓨팅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PDF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카탈로그 구매자들의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에 관한 성별 차이 연구)

  • Yoh,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51-15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탈로그 구매자들이 의복쇼핑과 관련한 변인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총 207명의 의류카탈로그 소비자들을 남성그룹 (N=97)과 여성그룹 (N=110)으로 나누어 카탈로그 의복쇼핑과 관련하여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을 비교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유희적, 가격 중시, 편리성 중시 구매자 성 향을 높게 보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남성 에 비해 카탈로그 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더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편리성, 용이성, 유희성, 안전성, 경제성 면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유일한 항목은 카탈로그의 브랜드 구색이었다. 이처럼 카탈로그 의복쇼핑의 만족도에 관한 성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카탈로그를 통한 의복쇼핑 행동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의류 카탈로그 업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Understanding, Moral Judgment, and Emotional Reactions about Different Types of Lies : Links to Children's Popularity (아동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거짓말에 대한 이해, 도덕적 판단 및 정서 반응)

  • Park, Young-Ah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0 no.1
    • /
    • pp.89-10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er popularity is linked to children's understanding, moral judgment, and emotional reactions about three different types of lies. Participants were second (n=53) and fourth (n=54) grade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1) popular children afforded better understanding of white lies than unpopular children; most children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an antisocial lie, but not a trick lie. (2) Popular children rated lies more positively than unpopular children. Second graders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morality of white and trick lies; fourth graders rated white lies as the least serious type of lie. (3) Second graders anticipated greater positive emotional reaction for antisocial lies and greater negative emotional reaction for white lies and trick lies, respectively, than fourth graders.

  • PDF

공간클럽(09)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418
    • /
    • pp.86-89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2)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5 s.421
    • /
    • pp.98-102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3)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8 s.412
    • /
    • pp.60-65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