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향도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on Tidal Currents in a Bay - Application to Gamag Bay - (만내의 조류수치해석 - 가막만을 중심으로 -)

  • Lee, Gwan-Su;Lee, Yeong-Seok;Lee, Sam-No
    • Water for future
    • /
    • v.24 no.4
    • /
    • pp.41-48
    • /
    • 1991
  •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s in the Gamag Bay by using the two-dimensional nonlinear hydrodynamic euation. The basic equations are derived by Navier-Stokes momentum equation and continuity equ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critically are reviewed, and they are analysed by the implicit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numerical model is constructed two-dimensional(depth-averaged) simple layer mode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ability of solution and convergence of solution in application of the method to Gamag Bay,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simulation is also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field survey. The following items are clarifide through the numerical investigation; i)the reproduc-ibility of tidal range and currents are quite acceptable,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model tests and field data, and ii) tidal cycle for convergent solution is four tidal cycle, also, iii) bottom friction is successfully represented as c=(1/n))$h^{1/6}$.

  • PDF

Swimming speed measurement of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using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음향도플러유향유속계를 이용한 꽁치어군의 유영속도 측정)

  • Lee, Kyoung-Hoon;Lee, Dae-Jae;Kim, Hyung-Seok;Park, S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46 no.2
    • /
    • pp.165-172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swimming velocity of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migrated offshore Funka Bay of Hokkaido using an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OceanSurveyor, RDI, 153.6kHz) established in T/S Ushio-maru of Hokkaido University, in September 27, 2003. The ADCP's doppler shift revealed as the raw data that the maximum swimming velocity was measured 163.0cm/s, and its horizontal swimming speed and direction were $72.4{\pm}24.1\;cm/s$, $160.1^{\circ}{\pm}22.3^{\circ}$ while the surrounding current speed and direction were $19.6{\pm}8.4\;cm/s$, $328.1^{\circ}{\pm}45.3^{\circ}$. To calculate the actual swimming speed of Pacific saury in each bins, comparisons for each stratified bins must be made between the mean surrounding current velocity vectors, measured for each stratified bin, and its mean swimming velocity vectors, assumed by reference (threshold > -70dB) and 5dB margin among four beams of ADCP. As a result, the actual averaged swimming velocity was 88.6cm/s and the averaged 3-D swimming velocity was 91.3cm/s using the 3-D velocity vector, respectively.

Application of SeaWiFS Chlorophyll-a Ocean Color Image for estimating Sea Surface Currents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y (GOCI) data (정지궤도 해색탑재체(GOCI) 표층유속 추정을 위한 SeaWiFS 해색자료의 응용)

  • Kim, Eung;Ro, Young-Jae;Jeon, Dong-Chul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6 no.2
    • /
    • pp.209-220
    • /
    • 2010
  •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in measuring oceanic conditions is to produce oceanic current information. In effor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various attempts have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peed and direction of ocean currents by utilizing sequential satellite images. In this study, we have estimated sea surface current vectors to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aximum cross-correlation method by using sequential ocean color images of SeaWiFS chlorophyll-a. Comparison of surface current vectors estimated by this method with the geostrophic current vectors estimated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in-situ ADCP measurements are good in that current speeds are underestimated by about 15% and current directions are show differences of about $36^{\circ}$ compared with previous results. The technique of estimating current vectors based on maximum cross-correlation applied on sequential images of SeaWiFS is promising for the future application of GOCI data for the ocean studies.

Analysis on pothole landforms at Naerin River in Inje-gun (인제군 내린천의 포트홀 지형 분석)

  • LEE, Gwang-Ryul;KIM, Dae Sik;KIM, Chang Hw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113-122
    • /
    • 2012
  • The geomorphic properties of potholes at Naerin River, Inje-gun are analyzed to discover the geosites of DMZ geopark in Gangwon-do. The furrow-type potholes along the river flow are mainly found in the P1 and P2 sites. The P3 site can be divided in to the zones where the furrow-type potholes densely distribute and various types of potholes are scattered, while the various types of small potholes are scattered in the P4 site. After measuring the 44 potholes, the potholes with a U-shaped cross-section, similar directivity with river flow and deposited gravels with in them show large values in length, width, depth and slope. Because the P1 and P2 sites are characteristic in the scales and forms of potholes and show beautiful scape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y are suitable for the geosite developments.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erry-related Traits in Grape Seedlings (포도의 교배집단을 이용한 과립 형질에 대한 유전체 전장 연관 분석)

  • Ryu, Hyang Hwa;Hur, Youn Young;Im, Dong Jun;Kim, Su Jin;Park, Seo-Jun;Lee, Dong hoon;Choi, Kyeong 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19-19
    • /
    • 2019
  • 유전체 전장 연관분석 (GWAS)은 단일염기다형성(SNP)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통계적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품종 선발용 SNP Marker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no Red와 Ruby seedless 교배실생 278 계통을 대상으로 여러 과실 특성에 따른 관련 SNP를 동정함으로써 육종 선발에 필요한 DNA marker 개발에 필요한 기초 유전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 계통 당 5~10개의 포도알을 선택하여 과립중, 과육탄성, 과피탄성, 과육경도, 과피경도, 과립당 종자갯수, 과립당 종자무게 및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개체는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방법으로 Sequencing하여 Reference genome (Vitis vinifera PN40024 12X v2.)과 mapping 하였다. MAF (Minor allele frequency) >5%, Missing Data <30% 의 조건을 가진 SNPs 만 1차 선발하여 TASSEL과 GAPIT 프로그램으로 GWAS 분석을 하였다. Manhattan plot 결과 과립중 형질에서는 33개, 과립당 종자무게 25개와 인장강도에서는 20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SNPs 가 선발되었고, 특이적으로 이들 모두 18번 염색체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형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s를 선발하지 못하였다. 과실의 인장강도는 수확 후 저장성과 유통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Marker 개발을 통한 품종선별이 중요하다. 향후 이러한 특성과 본 연구를 통해 동정된 SNPs 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Marker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opography and Ground Characteristics of Landcreep Reoccurrence in the Yangpyeong Area (양평지역 땅밀림 재발생지의 지형 및 지반 특성 분석)

  • Park, Jae Hyeon;Lee, Sang 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1 no.2
    • /
    • pp.263-275
    • /
    • 2022
  • We conducted this study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implementing restoration measur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eology, topography, and soil of the landcreep areas in Yangpyeong-gun, Gyeonggi-do. The strata of the survey area comprised topsoil, weathered soil, weathered rock, and soft rock layers. The landcreep area, caused by colluvial debris, was located in a convex topography shape distributed as bedrock with shales and incorporated with sandston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displacement meter, the surveyed area has crept from 1.1 mm to 6.5 mm during the recurrent landcreep between 1 July and 27 August, 2020. The landcreep had progressed over two directions (S65° W, E45° S, and E70° S) which were similar to the groundwater flow direction (E82.5° S and S16.8° W). The average slope of the landcreep area occurred on a gentle slope (19.3°), lower than the average slope of the mountain area (25°) in Korea. The bulk density in the groundwater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other surveyed areas.

Development of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 (SRRI)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Method and Hydrodynamic Model (퍼지합성법과 동수역학 모형을 이용한 공간적 하천친수지수 (SRRI)의 개발)

  • Siyoon Kwon;Il Won Seo;Byungu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1-501
    • /
    • 2023
  • 하천에서의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친수활동에 대한 안전도 평가가 사고예방을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친수 활동의 안전은 수리 및 수질 인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기존 친수지수는 수질 인자에만 집중되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세일링, 패들링, 저동력보트 등 입수형 친수활동의 경우, 다양한 수리 현상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속, 흐름 방향, 수심 및 수면 폭 등의 수리인자를 친수지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수활동에 위험이 되는 수리적 조건은 유량 조건과 하천의 평면적 공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하기에 이를 공간적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천 친수 활동에 대한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친수활동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SRRI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를 제안하였다. SRRI의 개발을 위해 1단계에서는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EFDC 동수역학모형을 이용하여 수리 인자들의 공간적 분포를 재현한 후, 2단계에서는 퍼지합성법 (FSE)를 적용하여 수리인자의 모든 소속도와 가중치를 종합하여 하천 지점별 하천친수지수를 산정하였다. 개발한 SRRI를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에 적용한 결과, 유량 및 지형 조건에 따라 각 수리인자가 친수활동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유향(흐름 방향)은 합류지점 부근에서 친수활동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 사행구간에서는 수심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유량 조건에서는 유속이 세일링 및 패들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세일링은 유량 변화에 민감하여 고유량시에는 주흐름부와 합류부 부근을 제외하고 일부 공간에서만 안전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무동력 및 저동력보트는 유량 변화에 덜 민감하여 고유량 조건에서도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지만 사행구간의 고수심부에서는 위험 등급으로 권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RRI는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을 기반으로 공간적 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이용자들이 하천에서 보다 안전한 친수활동을 즐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usal effect of urban parks on children's happiness (도시공원 면적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 Nayeon Kwon;Chanmin Ki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1
    • /
    • pp.63-83
    • /
    • 2023
  • Many existing studies have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een spaces, including urban parks, and children's happiness. Furthermore, it was implied that the area/proximity of the urban park would be effective in enhancing infancy happiness. However, inferring causal effects from observed data requires appropriate adjustment of confounding variables,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of urban parks and children's happiness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The causal effect of urban parks on children's happiness was estimated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methods for adjusting confounding variables, regression adjustment using a regression method, weighting method, and matching method were used, and key concepts of each method were described before the analysis results. Confounder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using a directed acyclic graph.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found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city park and children's happiness.

Analysis of Numerical Results of 1-2D Link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홍수범람 수치해석을 위한 1-2차원 연계모의결과의 분석)

  • Kim, Hyung-Jun;Kim, Boram;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5-335
    • /
    • 2021
  • 하천의 홍수터는 평상시 수면위로 노출되어 국민의 여가생활을 위한 공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다 홍수기 수위가 상승하면 침수되는 하천공간이다. 홍수범람 면적 또는 홍수위 산정을 위한 수치모의 시, 홍수의 평면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1차원 모의결과와 지형정보를 연계하여 범람면적을 산정하거나 2차원 수치모형의 격자를 대상공간에 대하여 구축한 후 모의를 수행한다. 1차원 수치모형은 계산효율이 우수하고 지류의 합류에 의한 영향을 다수 반영하거나, 긴 구간의 하천단면 구축을 통하여 경계조건이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국부적인 유속변화와 유향의 평면적인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범람면적의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홍수범람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홍수위험지도는 2차원 수치모형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2차원 수치모형은 하도의 만곡, 제방의 형상 등과 같은 지형에 의한 유속장의 변화, 흐름영역의 수축 및 확대에 의한 유속의 변화 등을 자세히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수치격자 생성 및 계산결과 도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계산영역 설정의 한계로 인하여 경계조건이 흐름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기법을 연계하여 하나의 모형으로 구축한 1-2차원 수치해석 모형이 개발 또는 적용되고 있다. 1-2차원 연계해석기법은 1차원 해석영역과 2차원 해석영역을 연계함에 있어서 흐름방향 연계와 횡방향 연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을 연계하는 기법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치모의결과를 비교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리실험 관측결과가 있는 사례에 모형을 적용한 후, 한강지형에 수치모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한다. 또한,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격자의 해상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한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홍수위험지도 제작, 홍수위산정 및 홍수예보 등에 새로운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