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행병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for Safe Transportation in the era of Pandemic Infectious Disease (팬데믹 감염병 시대에 안전이송을 위한 정보시스템 연구)

  • Kim, Seung-Yong;Hwang, In-Cheol;Kim,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35-336
    • /
    • 2022
  • 연구목적: 감염병 유행시 감염병 의심 환자의 구급활동을 위해 출동한 소방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여 현장 통제 및 지원이 가능한 소방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감염병 의심 환자를 분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감염병 의심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병 의심 환자로부터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 식별용 NFC태그를 1회용 형태로 개발한다. 현장에서 입력되는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해당 업무 관련자에게 제공하여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의 이송을 개선하는지 평가한다. 연구결과: 실험결과 스마트폰 앱에 구현된 알고리듬을 통해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으며, 적정 이송병원으로 이송함으로써 재이송 비율히 현저히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응급의료 서비스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응급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감염병 의심환자에 대한 적정병원 이송으로 이송시간 단축 및 응급환자의 소생률 향상과 함께 구급대원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ociations between depressed mood with negative health behaviors of Korea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유행 기간 동안 한국인의 우울한 기분과 부정적인 건강 행동 사이의 연관성)

  • Jung, Suyeon;Lee, Ji-Young;Kim, Hee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4
    • /
    • pp.79-88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behaviors and depressed moo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 cross-sectional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using proportional samples of Korean adults an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As a result, negative changes of daily sitting or lying down time, daily walking tim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being more depres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dds ratios (ORs): 2.23 (95% CI=1.77-2.81), 2.04 (95% CI=1.63-2.56), 2.84 (95% CI=1.51-5.36), and 1.82 (95% CI=1.26-2.63),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strategies to promote positive health behaviors change (increased activities and decreased consumption of smoking and alcohol) could help address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자돈의 병원성 대장균증과 난황항체 활용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4 no.8
    • /
    • pp.566-569
    • /
    • 1998
  •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자돈의 대장균증 중 대표적인 것이 신생 및 포유자돈에서 주로 발생하는 설사병과 이유자돈의 부종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돈의 대장균증은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나 전염성위장병(TGE)처럼 폭발적인 발생을 하지는 않지만 지역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피해는 오히려 폐사율은 높으나 주기적이고 산발적인 발생을 하는 바이러스성 설사병보다도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자돈의 대장균설사증 대책으로 몇종의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나 완벽한 장관면역을 형성시켜주는 예방약은 아직 세계적으로도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고, 치료대책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도 내성균 확산으로 치료제 사용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부종병의 경우 치료 및 예방대책이 없어 양돈농가로서는 속수무책인 실정이다. 수의과학연구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장균증을 동시에 치료, 예방할 수 있는 병원성대장균에 대한 난황항체를 개발하여 실험실 및 야외적용시험을 실시한 결과 대장균설사증은 물론 부종병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기에 소개드리고자 한다.

  • PDF

모기에 의한 피해와 류코사이토준병 예방대책

  • 조동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6 no.7 s.417
    • /
    • pp.96-101
    • /
    • 2004
  • 사람들이 모기를 싫어하는 이유는 많다. 모기는 사람과 가축에 각종 병원체를 옮기며, 또한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이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가축에서는 가축이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게 하고, 질병을 일으켜서 경제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모기로 인해 육계는 성장이 늦어지고, 산란계에서는 산란율이 떨어진다. 사람이 모기에 물리게 되면 간지럽고, 빨갛게 붓는 피부 알러지가 생기고, 잠잘 때 윙윙 소리를 내어 수면을 방해한다는 점, 그로 인한 불쾌감,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피해를 입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모기가 주는 가장 큰 피해는 각종 질병을 옮기고 다닌다는 것이다. 모기로 인해 옮겨지는 병으로는 뇌염(encephalitis), 마랄리아(malaria), 상피병(filaria), 황열병(yellow fever), 뎅기열(dengue fever)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 발병하는 병은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말라리아, 상피병 등이 알려져 있다. 가축에서 오는 모기 매개 질병은 소의 아까바네병, 유행열, 이바라기병 및 츄잔병, 아이노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있고, 돼지에서는 사람에게 뇌염을 일으킬 수 있는 돼지일본뇌염이 있고 닭에서는 닭류코사이토준병이 있다.

  • PDF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 Lee, Seung-Kyun;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

현명한 주부의 식단 - 유행성 독감을 다스리는 요리

  • Lee, Min-U
    • 건강소식
    • /
    • v.34 no.1
    • /
    • pp.34-35
    • /
    • 2010
  • 겨울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 바로 독감이다. 요즘은 변종 바이러스가 계절과 지역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기도 한다. 독감은 전염성이 강하고 노인이나 어린이, 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겐 치명적이어서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독감은 감기와 전혀 다른 병이므로 백신 접종을 비롯한 규칙적인 운동과 영양섭취를 통해 철저히 예방해야 한다.

  • PDF

A Brief Study on Isolation Meaurse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

  • Park, Jeong-Il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16 no.1
    • /
    • pp.289-312
    • /
    • 2015
  • The propag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s very dreadful. It is not easy to detect through whom and where Infectious diseases start. Due to traffic development, these days, viral infectious diseases that weren't known in Korea in the past sometimes emerge in Korea, that is, probability to be propagated by certain viral infectious disease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thoroughly blocked before they are introduced, nevertheless, when introduced, the government has a duty and responsibility to prevent them from spreading as soon as possible. There may be a terrible case that a certain infectious disease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Of course, in this case,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an ever. But even in this situation, the nation's role should not decrease. Quarantine Law in Korea says that the government can take a quarantine measures to minimize the risk of infection. So the government can isolated questionable people with the risk of infection as well as people with the risk of infection. Quarantine or Isolation is a quit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the viral infectious disease, however, it allows all subjects' right of freedom to be restricted. So, in any case that a infectious disease is spreading quickly, the probability for subjects to be isolated unreasonably or preposterously can probably happen. In this paper, I'll consider and discuss about the harmony between Public Health and Human Rights through quarantine or isolation.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News Big Data related to SARS-CoV, MERS-CoV, and SARS-CoV-2 (COVID-19)

  • Woo,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8
    • /
    • pp.91-101
    • /
    • 2021
  • This paper intends to draw implications for preparing for Post-Corona in the health field and policy fields as the global pandemic is experienced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s and trends of media companies through temporal analysis of the three infectious diseases, SARS-CoV, MERS-CoV, and SARS-CoV-2 (COVID-19), in which the domestic infectious disease preventive system was active throughout the first year of the outbreak. To this end, by using the news analysis program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Big Kinds', the number of news articles per year was digitized based on the period when each infectious disease had an impact on Korea, and major trends were implemented and analyzed in a word clou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peaked wh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a warning and (suspicious) confirmed cases occurred. According to keyword and word cloud analysis, 'infectious disease outbreak and major epidemic areas', 'prevention authorities', and 'disease information and confirmed patient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the main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from the three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infodemic was identified by performing word cloud analysis on information in uncertain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able to derive the roles of the health authorities and the media that should be preceded in the event of a new disease epidemic through previously experienced infectious diseases, and areas to be rearranged.